지난해 신설 HBM팀 1년 만에 해체…기술 완성도 자신감 반영
최고기술책임자 직속 AI 전략팀 신설, 사업부별 AI 전략그룹 배치
[서울=뉴스핌] 김아영 기자 = 삼성전자가 반도체와 AI 연구 조직을 동시에 재편하며 기술 경쟁력과 인공지능(AI) 내재화를 본격 추진한다. 세부적으로 이번 조직개편은 고대역폭 메모리(HBM) 개발팀을 설계팀 산하로 통합하고, 선행 연구 조직 SAIT를 '랩(lab)' 단위로 재편하며 전사 AI 전략 전담 체계를 새로 구축하는 내용을 담았다. 차세대 메모리 경쟁력과 AI 기술 확보를 동시에 강화하는 구조적 전환이라는 평가다. HBM4 공급 확대와 AI 기술 내재화를 동시에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것으로 해석된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날 임직원 대상 설명회를 열고 DS(반도체) 부문과 전사 조직 개편을 공식 발표했다. DS 부문에서는 기존 HBM개발팀을 해체하고 관련 인력을 D램개발실 산하 설계팀으로 재편했으며, 전사 차원에서는 AI 전략팀과 AX(AI전환)팀을 신설해 AI 중심 체제로의 전환을 본격화했다.
![]() |
| 삼성그룹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 삼성 깃발 [사진=뉴스핌DB] |
◆HBM 전담팀 해체, 설계팀 통합
DS 부문에서는 지난해 신설한 HBM개발팀이 해체되고 관련 인력이 D램개발실 산하 설계팀으로 이동했다. HBM개발팀장인 손영수 부사장은 설계팀장으로 선임됐다. HBM4, HBM4E 등 차세대 제품 개발은 설계팀 산하에서 이어가며, 실제 제품 경쟁력 확보와 사업 적용 속도를 높이는 구조로 재편했다.
이번 개편은 지난해 7월 HBM 전담팀 신설 후 1년여 만에 이뤄졌다. 당시 삼성전자는 SK하이닉스에 HBM 시장 주도권을 내주며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전영현 부회장을 DS부문장으로 선임한 후 HBM 전담팀을 신설했다. 이번 조직 개편은 시장 점유율 확보보다 기술 완성도와 사업 적용 속도를 중시하는 전략적 판단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는 내년 HBM4 공급 확대를 기반으로 HBM 시장 점유율 회복에 나설 계획이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026년 글로벌 HBM 시장에서 30% 이상 점유율을 기록할 것으로 관측된다.
◆전사 AI 체계 대폭 강화
전사 차원에서 AI 역량 강화가 이번 조직 개편의 핵심 과제로 부각됐다. 최고기술책임자(CTO) 직속으로 'AI 전략팀'을 신설해 전사 제품과 서비스의 AI 적용 로드맵을 수립하고, 관련 투자와 글로벌 협력 기회를 총괄하도록 했다. 아울러 각 사업부에는 'AI 전략그룹'을 배치해 사업부별 AI 기술 확보와 적용 전략을 설계·실행하도록 구성했다.
경영지원실과 사업부 직속 AX팀도 신설됐다. AX팀은 전략·개발·PM 그룹으로 구성돼 전사 사업부 AI 전환 전략 추진을 지원한다.
선행 연구조직인 삼성리서치는 산하에 있던 모뎀팀, 스마트홈AI팀, SoC(시스템온칩)팀은 각각 네트워크, 가전, VD(비주얼디스플레이)·MX(모바일경험) 사업부로 이동하고, 리서치 AI 프로덕티비티팀은 전사 조직 AX개발그룹으로 변경됐다.
SAIT(옛 삼성종합기술원)는 기존 센터 체제에서 소규모 랩(조직) 단위로 재편됐다. 일부 연구 인력은 현업 사업부로 전진 배치돼 연구 성과가 논문·검증 단계에서 머무르지 않고 바로 메모리·파운드리 경쟁력으로 연결되도록 했다. 연구 인력을 현장 중심으로 재배치하며 연구 성과의 실효성을 극대화하려는 전략이 뚜렷해졌다는 평가다.
하버드대 박홍근 석좌교수가 SAIT 수장을 맡아 AI 연구 역량을 강화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조직개편을 시행하고 관련 임직원에게 안내한 것으로 확인됐다. 내달 초에는 글로벌 전략회의를 열어 내년도 사업 계획을 점검할 예정이다.
재계에서는 이번 개편을 HBM 기술 경쟁력 강화와 AI 기반 미래 기술 확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노리는 전략적 전환이라고 평가한다.
재계 관계자는 "연구 조직과 현업 사업부 간 장벽을 낮추면서 HBM 개발 속도와 AI 내재화를 동시에 끌어올리겠다는 의지가 명확하다"며 "단순한 조직 정리가 아니라 차세대 메모리 경쟁력 확보와 AI 전환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사업 구조 전체를 재편하는 전략적 결단"이라고 말했다.
aykim@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