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임원인사 단행…161명 승진
AI·로봇·반도체 중심 기술리더 발탁
젊은 리더 중용해 세대 전환 가속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삼성전자가 2026년 임원인사를 확정하며 조직 전면에 기술 중심 인력을 배치했다. 삼성전자는 인공지능(AI)과 로봇, 반도체 핵심 분야에서 성과를 낸 인재를 대거 승진시키며 미래 기술 축을 강화했다. 30대 상무와 40대 부사장을 과감히 기용해 세대 전환 기조도 뚜렷해졌다.
삼성전자가 25일 2026년 정기 임원인사를 확정했다. 회사는 산업 변화 속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려는 취지로 총 161명을 승진시켰다.
삼성전자는 부사장 51명과 상무 93명, 펠로우 1명, 마스터 16명을 승진시켰다. 지난해 11월 승진자는 137명이었다. 회사는 AI와 로봇, 반도체 분야에서 성과를 낸 인재를 앞세워 미래 기술 축을 강화했다. 젊은 인재를 적극 기용해 차세대 경영진 육성 기반도 넓혔다.
![]() |
|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사진=뉴스핌DB] |
회사는 미래 사업 전략을 빠르게 추진하기 위해 기술 역량이 입증된 리더를 전진 배치했다. 디바이스경험(DX)부문에서는 이윤수 부사장이 데이터 기반 신기술 개발 성과로, 이성진 부사장이 생성형 언어 기술 역량으로 승진했다. 최승기 상무는 초슬림 폴더블 기종 개발로 기술력을 높였다. 김대영 상무는 퀀텀닷(QD)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신모델 개발을 이끌었고 최고은 상무는 자율주행 로봇 기술 기반을 다졌다.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에서는 장실완 부사장이 서버용 저장장치 핵심기술을 확보했다. 박봉일 부사장은 주문형 시스템반도체 개발을 주도했고 유호인 상무는 고대역폭메모리(HBM)4 개발 기반을 마련했다. 이재덕 펠로우는 차세대 V-NAND 기술을 이끌었고 강명길·김재춘 마스터는 신소자와 패키지 기술 고도화를 추진했다.
사업 경쟁력 강화 공로로 승진한 부사장도 늘었다. 강민석 부사장은 갤럭시AI가 적용된 신제품 기획에 힘을 보탰다. 이종포 부사장은 차세대 TV 개발을 추진했고 한의택 부사장은 가전 제품군 통합 전략으로 실적을 견인했다. 황근철 부사장은 통신망 성능을 높였고 홍희일 부사장은 HBM과 DDR5 등 주력 메모리 완성도를 높였다. 노경윤·김이태·김영대 부사장도 반도체 공정과 이미지센서 분야에서 성과를 냈다.
30대 상무와 40대 부사장을 폭넓게 발탁한 점도 특징이다. 권정현 부사장은 로봇 지능 기술을, 김문수 부사장은 차세대 TV 소프트웨어 기반을 다졌다. 김철민·이강욱 상무는 시스템과 생성형 모델 기술 역량을 인정받았다. 이병현·이강호·정용덕 부사장은 메모리·파운드리·제조기술 전반에서 성과를 냈다.
다양성과 포용성을 높이는 인사도 이어졌다. 정인희 부사장은 ESG 전략을, 이인실 상무는 가전 공급망 경쟁력을 높였다. 최보람 상무는 브랜드 경쟁력을 강화했다. 이성심 상무는 AI와 로봇 분야 기업결합을 추진했다. 제이콥주 부사장은 중국 사업 확대를 이끌었고 김경아 상무는 환경정책 고도화에 기여했다. 전하영 마스터와 노숙영 마스터는 반도체 공정과 광학 분야에서 주요 기술을 제시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인사로 경영진 구성을 마무리했다. 회사는 조직개편과 보직 인사를 조만간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syu@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