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경주서 깜짝 회동…DGX 스파크·HBM 선물 교환
엔비디아 GPU 5만장 투입 'AI 팩토리' 구축 가속
[서울=뉴스핌] 김아영 기자 =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31일 "한국은 세계 인공지능(AI) 산업의 중심이 될 것"이라며 AI 팩토리 구축과 반도체 협력 강화를 직접 언급했다.
황 CEO는 이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최고경영자(APEC CEO) 서밋이 열린 경북 경주에서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만나 고대역폭메모리(HBM) 협력 확대와 AI 생태계 협업 방안을 논의했다.
![]() |
| 최태원 대한상의(SK그룹) 회장(오른쪽)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대한상의] |
황 CEO는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강연을 마친 뒤 최 회장을 별도로 만나 선물을 교환했다. 전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함께한 '깐부치킨 회동'에는 참석하지 못했던 최 회장이 직접 경주로 내려와 황 CEO를 맞이한 것이다.
이 자리에는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와 김주선 사장도 함께했다. 세 사람은 예술의전당 복도를 걸으며 10여 분간 대화를 나눈 뒤, 취재진 앞에서 각자 준비한 선물을 주고받았다.
황 CEO는 최 회장에게 엔비디아의 개인용 AI 슈퍼컴퓨터 'DGX 스파크(DGX Spark)'와 하쿠슈 위스키를 건넸다. DGX 본체에는 '토니, 우리의 파트너십과 세계의 미래를 위해(Tony, To Our Partnership and Future of the World)'라는 문구와 젠슨 황의 친필 서명이 새겨져 있었다. '토니'는 최태원 회장의 영어 이름이다.
![]() |
| 최태원 대한상의(SK그룹) 회장(오른쪽)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대한상의] |
최 회장은 이에 SK하이닉스의 HBM 웨이퍼를 액자에 담은 기념패를 선물했다. 황 CEO는 이를 받아들며 "웨이퍼가 너무 비싸고 무겁다"고 웃어 분위기를 이끌었다. SK하이닉스는 현재 엔비디아에 HBM을 가장 많이 공급하는 반도체 기업이다.
양측의 회동에서는 AI 팩토리와 반도체 협력 강화 방안이 주로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SK그룹은 엔비디아 GPU 5만 장 이상을 활용해 AI 팩토리를 구축할 계획이다. 울산에 들어설 이 팩토리는 디지털 트윈·로봇·3D 시뮬레이션 등 산업용 AI 서비스가 중심이 될 예정이다. SK텔레콤 역시 엔비디아와 AI 네트워크 공동 연구개발 협약(MOU)을 맺고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황 CEO는 이날 APEC CEO 서밋 특별 강연에서도 한국을 향한 신뢰를 거듭 강조했다. 그는 "한국은 소프트웨어와 제조, AI 역량을 모두 갖춘 기술 강국"이라며 "이제 한국은 AI 주권 국가이자 AI 프런티어(개척자)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삼성과는 디지털 트윈 기반 AI 팩토리를, SK와는 산업용 AI 클러스터를, 현대차와는 로봇 공장을 구축할 것"이라며 "네이버와는 GPU 인프라를 6만 개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황 CEO는 이날 기자들과의 간담회를 마친 후 포항공항서 전용기를 타고 영국 런던 루턴공항으로 출국했다.
aykim@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