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대변인, K뷰티 쇼핑 인증…황리단길 올리브영 외국인 매출 3배↑
IMF 총재도 방문한 K뷰티 부스…"기술과 문화의 융합 인상적"
아모레퍼시픽·LG생활건강, AI 진단·궁중미 전시로 글로벌 홍보 극대화
관광지=쇼핑공간으로…K뷰티, 외국인 유입 회복세에 탄력
                        
                        [서울=뉴스핌] 조민교 기자 =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APEC)에서 한국 뷰티 산업이 다시금 존재감을 입증했다. APEC 기간 동안 운영된 K뷰티 부스와 체험관에는 IMF 총재 등 해외 주요 인사들이 잇따라 방문하며 '한국을 찾으면 꼭 들러야 할 성지'로 자리 잡은 K뷰티의 위상을 실감케 했다.
|  | 
| [서울=뉴스핌] 2025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주간이 27일 시작됐다. 개막을 하루 앞둔 지난 26일 경북 경주역에서 외국인 관광객들이 문화체육관광부가 설치한 외국인 관광객 환영 부스 관계자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APEC 2025 KOREA & 연합뉴스] 2025.10.27 photo@newspim.com | 
◆ 외국 정상단 잇단 방문, K뷰티가 외교 무대의 새로운 얼굴로
31일 업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국 국빈방문에 동행한 카리나 레빗 백악관 대변인이 경주 황리단길의 올리브영 황남점을 찾아 K뷰티 제품을 구매하며 화제를 모았다. 레빗 대변인은 매장에서 약 20분간 머물며 뷰티 제품 13가지를 직접 고른 뒤 자신의 SNS에 "한국 스킨케어 추천템들(South Korea skincare finds)"이라는 글과 함께 제품 사진을 올렸다.
올리브영에 따르면 APEC 개막 이후 외국인 방문객이 급증하면서 경주황남점의 외국인 매출 비중은 평소 20% 수준에서 63%까지 치솟았다. 한옥 형태로 지어진 매장은 경주의 대표 관광지인 황리단길에 위치해 외국인들에게 'K뷰티 성지'로 인기를 얻고 있다.
|  | 
| 카리나 레빗 백악관 대변인 SNS. [사진=독자 제공] | 
APEC 부대행사에서 한국의 대표 뷰티 기업들이 운영한 K뷰티 체험 부스도 큰 주목을 받았다. 아모레퍼시픽은 'K뷰티 파빌리온'을 열고 설화수, 헤라, 라네즈 등 주요 브랜드의 제품 체험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특히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피부 진단 서비스와 맞춤형 메이크업 체험 프로그램을 마련해 첨단 기술력을 강조했다. LG생활건강은 자사 브랜드 '더후'의 궁중미(美) 콘셉트를 앞세운 '아트 헤리티지 라운지'를 운영하며 한국 고유의 전통미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 이곳에서는 나전칠기, 자개 공예 등 장인정신을 담은 전통문화 체험이 진행돼, 단순한 화장품 홍보를 넘어 '한국 문화의 확장'으로 주목받았다.
이 행사에는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가 직접 부스를 찾아 제품을 체험하며 관심을 보였다는 후문이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한국의 첨단 뷰티 기술과 문화적 감성의 결합에 "인상적이었다"는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  | 
| (위)아모레퍼시픽, 행사장 부스 전경 (아래)LG생활건강_사진_'더후 아트 헤리티지 라운지' 자개 공예 클래스. [사진=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제공] | 
◆ APEC 계기, 고급 이미지 강화와 해외 매출 확대 기대
한국 뷰티 산업은 이미 지난 수년간 'K뷰티'라는 키워드를 통해 세계 시장에서 입지를 다져왔다. 특히 중국, 미국, 동남아를 중심으로 한국 화장품 브랜드는 기능성과 디자인, 합리적 가격, 그리고 '한국적인 감성'이라는 요소를 기반으로 경쟁력을 쌓았다.
이번 APEC 참여는 그동안 쌓인 기술력과 문화적 정체성을 한 단계 끌어올린 계기로 평가된다. 과거 단순히 온라인몰 입점이나 해외 유통 확장에 머물렀던 마케팅이 '브랜드 체험'과 '문화 콘텐츠' 중심으로까지 확대되는 양상이다.
|  | 
| 올리브영 매장에서 외국인 고객을 대상으로 'K뷰티 도슨트 투어'를 진행하는 모습. [사진=CJ올리브영 제공] | 
여기에 외국인 관광객이 급증세를 보이면서 전략이 더욱 힘을 얻고 있다. 올리브영은 다국어 안내, 글로벌 택스프리, 맞춤형 쇼핑 서비스 등 외국인 고객 전용 인프라를 강화하며 '관광지=쇼핑공간'이라는 인식을 공고히 했다. 특히 서울 명동, 부산 해운대, 경주 황남동 등 주요 관광지 매장은 외국인 관광객이 반드시 들르는 필수 코스로 자리 잡았다. 한 업계 관계자는 "K뷰티는 이제 단순히 '화장품을 사는 곳'이 아니라 한국 문화를 직접 경험하는 공간이 됐다"고 말했다.
이번 APEC 행사는 단기적으로 한국 뷰티 브랜드의 글로벌 인지도를 높이는 촉매제가 될 전망이다. 세계적 리더와 VIP층이 직접 한국 브랜드를 경험하면서 고급 이미지가 더해져 향후 고소득층 소비시장 진입의 발판이 될 가능성도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외국인 관광 회복과 맞물려 K뷰티의 '관광+쇼핑' 복합형 수요가 본격화할 가능성이 높다. 업계에서는 관광지 매장, 체험형 공간, 프리미엄 라인업 확대 등이 산업 전반의 매출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보고 있다.
mkyo@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