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자립지원협의체 첫 회의 개최
장애인 자립 위한 협력과 체계적 접근
반기별 회의로 정책 개발 지속 추진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도가 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공공기관, 학계, 전문가, 장애인 단체와 협력해 '경기도 장애인자립지원협의체'를 구성했다고 31일 밝혔다.
|  | 
| 경기도가 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공공기관, 학계, 전문가, 장애인 단체와 협력해 '경기도 장애인자립지원협의체'를 구성했다. [사진=경기도] | 
도에 따르면 이번 협의체는 지난 30일 경기복지재단에서 열린 첫 회의를 통해 발족했으며, 경기복지재단, 경기주택도시공사(GH), 경기남부 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 한국장애인개발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및 관계자 15명으로 구성됐다.
협의체의 설립은 경기도가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계획 수립 시 당사자 및 관련 단체의 의견을 반영하고자 한 노력이 반영된 결과다. 장애인이 자립할 수 있는 주거공간, 일자리, 건강정보, 활동지원 서비스 구축을 위해 여러 기관 간의 협력이 필요하지만, 과거에는 단기적이고 일회성의 협업이 많아 체계적인 자원 연계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회의는 장애인 자립지원체계 구축과 효과적인 자립 정책 발굴을 주요 의제로 진행됐으며, 전문가와 수행기관의 사례 발표를 통해 장애인의 자립 현황을 진단하고 효율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경기도는 향후 각 기관의 장애인 자립 지원을 위한 계획과 필요사항을 공유하고 보다 실효성 있는 자립지원 정책을 개발할 예정이다. 협의체는 반기마다 1회 이상 정기적으로 모여 자립 지원 관련 현안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김훈 경기도 복지국장은 "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을 위해 당사자의 욕구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사회적 자원을 체계적으로 연계하겠다"고 언급했다.
한편 경기도는 4월에 발표한 '장애인 스스로 삶을 선택하는 기회의 경기도'라는 비전을 바탕으로 장애인 일자리 및 소득 등 3개 영역에서 43개 사업에 1조 6000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1141world@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