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기 신도시 핵심축 하남교산
지하철 3호선 연장·동남로 직결도로 등 광역망 확충
"자족형 신도시 완성을 위한 교통 인프라 확보가 관건"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정부가 하남교산 신도시의 광역교통대책의 차질 없는 시행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
| 김용석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 위원장이 24일 오후 하남교산 공공주택지구 현장을 찾아 광역교통개선대책 사업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국토부] |
24일 국토교통부는 김용석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 위원장이 '신도시 교통대책 신속추진 TF'의 일환으로 하남교산 공공주택지구 광역교통대책 현장 점검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점검에는 관계기관 담당자들이 참석해 주요 사업의 추진 현황과 향후 계획을 논의했다.
하남교산지구는 하남시 천현동·교산동 일대 685만㎡ 부지에 총 3만6000가구의 주택을 공급하는 대규모 공공주택지구다. 여의도 면적의 2.4배에 해당한다. 단순한 주거단지를 넘어 AI(인공지능) 혁신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산업과 도시가 결합된 자족형 복합도시로 개발될 예정이다.
교통 인프라 확충도 본격화된다. 서울 송파와 하남을 잇는 도시철도3호선 연장 사업을 비롯해, 서울방면 직결도로인 동남로 연결도로, 객산터널~국도43호선 신설 등 광역교통개선대책이 추진되고 있다. 이들 사업을 통해 서울 도심까지의 통행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되고, 출퇴근 편의성도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 위원장은 "하남교산지구는 수도권 동남부 미래산업을 이끌 핵심 신도시로, 주거와 일자리가 함께 어우러지는 자족형 도시로 성장하기 위해선 광역교통 인프라가 필수적"이라며 "각 기관이 긴밀히 협력해 교통대책이 차질 없이 추진되도록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2029년 첫 입주가 예정된 만큼, 사업 추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이나 지연 요인에 대해 대광위가 책임 있게 조정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강조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