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기업 재직자 인식조사
[서울=뉴스핌] 이석훈 기자 = 벤처기업 재직자 중 70%가 충분한 보상이 제공된다면 주 52시간 초과 근무도 가능하다고 답했다.
21일 벤처기업협회는 '벤처기업 재직자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
[사진=벤처기업협회] |
벤처기업협회는 설립 30주년을 맞아 지난 8월 19일부터 26일까지 8일간 벤처확인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 응답한 인원은 총 2141명이었다.
이중 벤처기업이 혁신적 기술을 중심으로 성장한다고 응답한 비중은 47.8%였다. '창의적이다', '빠르게 변화하고 성장한다'고 답한 비중은 각각 40.4%와 35.8%였다.
대·중견기업과 비교했을 때 응답자 중 40.6%는 '유연하고 신속한 의사결정 구조'가 벤처기업의 장점이라고 답했다. '수평적이고 유연한 조직문화'(23.6%), '유연한 근로시간 및 워라밸 보장'(15.1%)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대‧중견기업 대비 단점으로는 ▲미흡한 재정적 보상 및 복지 제도(30.8%) ▲체계적이지 않은 조직 운영 방식(28.4%) ▲불안정한 조직의 비전 및 재정상태(24.4%) 등을 꼽았다.
조직문화 만족도 측면에서는 전체 61.2%가 현재 재직 중인 벤처기업의 조직문화에 '만족한다'고 답했다. '만족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9.8%에 그쳤다.
'자율적인 업무 수행 환경'(34.3%), '자유로운 소통 환경'(29.1%) 등 수평적이고 유연한 분위기가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반면, 불만족 요인으로는 '비효율적인 협업 및 정보 공유체계'(30.7%), '불투명한 성과 인정 방식'(30.1%) 등 조직 운영체계에 대한 응답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근무환경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2.6%가 만족한다고 응답했으며, '만족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7.2%에 그쳤다.
주요 만족 요인으로는 '적절한 근로시간과 우수한 워라밸'(37.6%)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적정한 업무 부담과 안정적인 직무 강도'(26.7%) 등이 뒤를 이었다.
불만족 요인으로는 '낮은 급여 수준과 불균형한 보상 체계'(33.5%), '제한적인 복지 제도와 낮은 근무 편의성'(25.5%) 등 보상과 관련된 응답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전체 응답 재직자의 48.5%는 현재 재직 중인 기업을 지인에게 추천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반면, 추천하지 않겠다는 15.2%에 그쳤다. 응답자의 36.1%는 이직 시 '연봉 및 보상 수준'을 가장 고려한다고 응답했고, '기업 성장 가능성'(18.9%)과 '복리후생 및 근무환경'(14.9%)이 뒤를 이었다.
또 전체 응답자 중 35.9%가 향후 창업할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특히 부장 이상(45.8%), 대리(29.8%) 순으로 높은 창업 의사를 보였다.
유연근무제 활용에 관해서는 응답기업의 55.8%가 이를 활용 중이라고 답했다. 이 중 시차출근제(38.2%)와 탄력근무제(26.6%)의 활용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벤처기업 재직자의 70.4%는 충분한 보상이 제공된다면 주 52시간 초과 근무가 가능하다고 응답했다. 특히 '전략·기획'(81.2%), '연구·개발(R&D)'(80.0%) 직군에서 긍정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재무·회계' 직무는 62.4%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stpoemseo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