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5% "전용차로 도입 시 무공해차 구매의향↑"
[서울=뉴스핌] 신정인 기자 =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김소희 국민의힘 의원은 14일 정부의 무공해차 보급과 관련해 '전용차로 시범도입' 등 체감형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소희 의원실이 에너지경제신문을 통해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한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36.5%가 전용차로 도입 시 구매의향이 높아진다, 41.1%는 변화없다, 12.2%는 오히려 감소한다고 응답했다.
![]() |
김소희 국민의힘 의원. [사진=뉴스핌 DB] |
해당 조사는 지난 13일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507명을 대상으로 시행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4.4%포인트다.
무공해차 전용차로 도입에 대한 찬반 의견은 찬성 46.8%, 반대 45.2%로 찬성이 근소하게 앞섰다.
특히 잠재적 자동차 구매 대상인 18~29세에서 찬성 비율이 51.9%로 나타났다.
무공해차 구매를 유도할 가장 효과적인 추가 지원책으로는 '취득세·자동차세 감면 확대'가 44.9%로 가장 많았고, 이어 '충전요금 할인 확대' 16.8%,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 확대' 7% 순이었다.
김 의원은 "정부는 2030년까지 무공해차 450만대 보급으로 수송부문 온실가스 3170만톤 감축을 약속했지만, 현재 등록된 무공해차는 약 80만대로 목표의 18%에 불과하다"며 "이제는 규제가 아니라 유인 중심의 정책 전환, '무공해차 전용차로 시범도입' 같은 파격적인 체감형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했다.
allpas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