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헌민주, 정권 교체 노리며 연대 타진
국민민주 등과 정책 노선 차이로 벽 높아
[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일본의 제1야당인 입헌민주당이 차기 총리 지명 선거를 앞두고 야권 단일화를 제안하며 정권 교체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국민민주당 등과의 정책 노선의 차이와 연립 여당의 결속으로 인해 실현 가능성은 낮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일본 정치권에서는 자민당과 공명당의 연립이 깨질 경우를 가정한 '야권 연립 시나리오' 가 거론되고 있다.
이 경우 입헌민주당, 일본유신회, 국민민주당 등 주요 야당이 협력해 다카이치 사나에 자민당 총재와 대항할 야권 인물을 총리로 선출하는 구상이다.
하지만 현실적인 장벽은 높다. 연립 여당이 실제로 결별할 가능성이 낮고, 설사 야권이 단일 후보를 세운다 하더라도 각 당의 정책 차이가 커 정권 운영의 지속 가능성이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입헌민주당의 아즈미 준 간사장은 최근 일본유신회와 국민민주당 간사장들과 잇따라 회담을 갖고, 총리 지명 선거에서 야권 단일 후보를 내세우자고 제안했다.
그는 "우리 당 대표인 노다 요시히코를 총리 후보로 고집하지 않겠다"며 폭넓은 연대를 모색했다.
9일에는 국회 내에서 레이와신센구미, 공산당, 참정당 등 소규모 야당 지도부와도 연쇄 회담을 열고 "야권의 공동 후보를 세워야 한다"고 거듭 호소했다.
![]() |
일본 국민민주당의 타마키 유이치로 대표 [사진=블룸버그] |
하지만 호응은 미지근하다. 국민민주당의 신바 카즈야 간사장은 기자들에게 "입헌민주당과 총리 지명 선거에서 협력할 생각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타마키 유이치로 대표 역시 "기본 정책의 일치가 필수인데, 입헌민주당과는 원전과 안보 정책에서 큰 차이가 있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입헌민주당은 탈원전·복지 강화를 내세우는 진보 성향 정당인 반면, 국민민주당과 일본유신회는 원전 재가동·재정 건전성을 중시하는 중도 보수 성향이다. 각자의 이념적 스펙트럼이 크게 달라 정책 조율이 쉽지 않다.
따라서 입헌민주당이 제안한 이번 단일화 구상은 '야권 결집'이라는 상징적 메시지 이상의 의미를 갖기 어렵다는 평가가 나온다.
일본 정치권 안팎에서는 "입헌민주당이 야권 주도권을 부각시키려는 전략적 제스처에 가깝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goldendo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