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국정자원 화재에 정부 행정 시스템 마비
647개 시스템 중 62개 정상화…1등급 16개 포함
정보자원 준비·시스템 구축에 각각 2주 소요
[세종=뉴스핌] 김범주 기자 =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발생한 화재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행정정보시스템 96개가 대구 민관협력 클라우드 구역으로 이전·설치된다. 다만 정부는 서비스 운영을 위한 시스템 구축 등에 최소 1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날 12시 기준으로 장애가 발생한 647개 시스템 중 62개 시스템이 정상화됐다"며 "1등급 업무는 16개(44.4%)가 정상화 됐다"고 밝혔다.
![]() |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29일 오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구센터를 방문하여 국가 전산망 운영체계 등 안전 관리시설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제공=행정안전부] |
지난 26일 오후 늦게 대전 국정자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정부 행정정보시스템 다수가 마비된 가운데, 주민등록등본 발급 등 일상 생활에 영향이 많은 서비스를 중심으로 복구가 진행 중이다.
특히 화재 영향이 적었던 '1~6전산실'의 시스템부터 재가동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불이 난 5층 전산실은 전문업체가 분진 청소를 진행한 후 재기동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화재에 직접 영향을 받은 통합보훈(국가보훈부), 국민신문고 서비스(국민권익위원회), 국가법령정보센터(법제처) 등 96개 정부 시스템은 대구 민관협력 클라우드 구역에 설치될 예정이다.
다만 정보자원 준비에 2주, 시스템 구축에 2주 정도 소요될 예정으로, 해당 시스템의 정상화까지는 1개월 가량이 소요될 전망이다.
김 차장은 "대구센터 입주기업의 협조하에 최대한 일정을 당기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국민생활에 밀접한 영향을 끼치는 시스템들이 빠르게 복구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 |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이 29일 오후 세종시 도움로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브리핑실에서 열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브리핑을 하기 위해 입장하고 있다.[제공=행정안전부] |
추석 연휴를 앞두고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했던 우체국 우편·금융서비스는 우선 복귀됐다. 국민의 이용도가 높은 정부24 서비스는 이날 오전 8시 30분께 복구됐다.
또 국민신문고, 통합보훈 등 민원신청 시스템은 방문·우편 접수 등 오프라인 대체 창구를 운영 중이다. 국가법령정보센터는 대체 사이트를 민간 포털을 통해 안내할 예정이다.
장애 복구시간을 고려해 9월 재산세 납부 기한 등 각종 세금 납부 및 서류 제출 기한도 연장하기로 했다. 기존 오프라인에서 서류를 발급받을 때 발생하는 수수료도 전면 면제하기로 했다.
한편 대전 국정자원에 무자격 업체가 배터리 운반에 투입됐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서는 "사실 무근"이라고 반박했다.
김 차장은 "배터리 이전 준비 중 화재가 발생했고, 이때 작업자는 자격을 보유한 전문기술자이자 화재 부상자"라며 "스미싱과 같은 온라인 사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사항을 공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
wideope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