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24·모바일 신분증 불통…국민 불편 현실화
"국가기반시설 한곳 집중 위험" 지적 재점화
국정자원 화재, 1등급 핵심서비스 줄줄이 마비
[세종=뉴스핌] 김범주 기자 = 정부·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의 정보통신(IT) 시스템을 총괄·관리하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국가전산망 관리가 또다시 논란이 될 전망이다.
앞서 2023년 행정전산망 마비 사태 당시 부실 관리 등 총제적 문제를 드러내며 큰 비판을 받았던 행정안전부가 이번 화재로 정보시스템의 장애관리 체계 구축·관리에 소홀했다는 비판을 피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 |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2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서울상황센터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정부 서비스 장애 대응을 위해 긴급 상황판단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제공=행정안전부] |
행안부는 국정자원 화재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위기상황대응본부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로 격상하고, 위기경보 수준도 기존 '경계'에서 '심각' 단계로 상향하는 등 대응에 나섰다고 27일 밝혔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이 주재해 행정정보시스템 장애 대응 상황판단회의도 열었다.
전날 오후 불이 난 국정자원은 정부와 지자체의 핵심 IT 인프라와 전산 시스템을 관리·운영하는 행안부 산하 기관이다.
전국적으로 공공기관 전산망의 중추 역할을 하는 핵심 기관으로 꼽힌다. 국민의 이용도가 높은 정부24 등 온라인 민원 서비스, 모바일 신분증 등 약 647종의 시스템을 총괄·관리한다.
특히 시스템은 크게 1~4등급으로 나눠 관리한다. 장애 발생시 신속한 복구를 위한 우선 순위 지정 등을 위한 조치다. 1~2등급이 주요 시스템이며, 정부24·우체국·금융과 같이 국민 이용도가 높은 시스템이 이에 속한다.
하지만 국정자원 화재로 정부24 등 국민 이용도가 높은 다수의 공공시스템이 마비되면서 약 2년 전 '행정전산망 마비사태'가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당시 공공전상망 마비 사태가 1주일가량 이어지면서 국민의 불편을 야기했다.
![]() |
정부24 서비스 이용 중단 안내 문구 [사진=정부24 홈페이지 캡처] 2025.09.27 jsh@newspim.com |
문제는 복구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을지 여부다. 행안부는 행정전자서명, 모바일 신분증 등 공통으로 사용하는 서비스는 재해복구시스템을 여러 지역에서 동시 가동하는 '멀티 리존'(Multi-Region) 방식을 적용하기로 했지만, 현재까지 다수의 공공 서비스의 동작이 중단됐다.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긴급브리핑에서 이재용 국정자원 원장은 "화재라든지 큰 재난이 발생했을 때 가동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며 "다만 시스템 피해 상황을 보고 판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백업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상황에서 국가데이터를 한곳에 관리하는 것이 리스크를 키운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온다. 이번 화재로 모바일 신분증, 국민신문고 등 1등급 12개, 2등급 58개 시스템이 중단됐다.
한편, 행안부는 국민 행동요령을 민간 포털 네이버 공지를 통해 대체 가능한 서비스 이용 방법을 제시했다.
이용석 행안부 디지털정부혁신 실장은 "공조 장치만 되면 (국정자원) 작동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며 "실질적인 가동 여부는 전문가들이 (국정자원) 진입해 상태를 확인한 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wideope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