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부터 5년 단위 사업
불법드론 탐지·식별·무력화·포렌식 원스톱 시스템 구축
[서울=뉴스핌] 박우진 기자 = 경찰청과 우주항공청은 18일 오후 대전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민·관·군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원자력 시설에 대한 불법드론 침투 상황을 가정한 대응기술 시연회를 개최했다.
이날 시연은 양 기관이 주관하는 '불법드론 지능형 대응기술 개발' 사업의 하나로 한국원자력연구원이 2021년 4월부터 연구를 수행했다. 개발 사업은 5년 단위로 진행되며 총 83억원의 예산이 소요됐다.
![]() |
경찰청과 우주항공청은 18일 오후 대전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불법드론 지능형 대응기술 개발' 사업 관련 기술 시연회를 개최했다. [사진=경찰청] |
연구를 통해 불법드론에 대한 탐지, 식별, 제어권 탈취(무력화), 포렌식(사고조사)을 통합한 원스톱 시스템을 구축했다.
시연은 총 3단계로 구성된다. 1단계는 탐지·식별로 RF(Radio Frequency) 스니퍼를 이용해 드론이 조종기와 주고받는 통신 주파수를 분석해 불법드론의 기종 등 정보를 확인한다.
드론에 대한 탐지와 식별이 완료된 후부터 조종자의 위치, 촬영 중인 영상 등 증거를 '라이브 포렌식' 기술을 이용해 저장한다.
2단계는 제어권 탈취 단계다. 1단계에서 확인한 정보에 따른 취약점을 이용해 조종 권한을 빼앗는 것이다. 물리적 대응에 비해 드론 추락으로 인한 2차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공항과 원자력시설은 물론 도심지역에서 활용 가능하다.
마지막 단계는 포렌식으로 착륙시킨 드론 기체와 조종자로부터 획득한 조종기, 스마트폰을 분석해 비행경로, 촬영 사진·영상 등 범죄 입증 자료를 획득한다.
참석자들은 시연 후 질의응답 시간을 통해 미비점 보완을 요청했으며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오는 11월 이를 반영해 최종결과물을 이끌어낼 예정이다.
최주원 경찰청 미래치안정책국장은 "드론 기술의 급속한 발전만큼 관련 범죄에 대비한 포렌식 기술 확보가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성공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수사역량 강화에 보탬이 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경찰청과 우주청은 이번 시연에 이어 다음달 말에는 양양공항에서 2차 국가중요시설 대상 불법드론 대응 시연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krawj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