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뉴스핌] 장일현 특파원 = 영국 경제가 7월 성장을 멈춘 것으로 나타났다.
올 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반짝 성장세를 보였던 영국 경제가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 |
지난 2023년 5월 6일 영국 런던의 한 식료품 매장에서 시민들이 쇼핑을 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영국 통계청은 12일(현지시간) 7월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0.0%에 그쳤다고 발표했다. 통계청은 "서비스와 건설 부문이 성장세를 보였지만 제조업을 포함한 생산 부문이 위축됐다"고 말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서비스 부문에서는 의료와 컴퓨터 프로그래밍, 사무 지원 서비스가 모두 좋은 성과를 보였지만 생산 부문은 제조업계 전반에 걸친 약세로 인해 감소했다"고 말했다.
영국 경제는 1분기에 비해 2분기 성장이 크게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고, 이 같은 어려움은 하반기에도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1분기 GDP 성장률은 0.7%였지만 2분기에는 0.3%로 크게 떨어졌다. 이런 상황에서 7월 지표가 0.0%로 나타난 것이다. 지난 6월 성장률은 0.4%였다.
GDP 지표와 함께 발표된 무역 데이터에 따르면 영국의 상품 무역 적자는 7월까지 3개월 동안 30억 파운드 증가한 619억 파운드를 기록했다. 통계청은 "7월 대미 수출이 8억 파운드 증가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이전 수준으로는 회복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재무부 관계자는 "경제가 완전히 망가지지는 않았지만 여전히 정체된 것으로 느껴지고 있다"며 "이는 수 년간 계속된 투자 부족의 결과이며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BCC의 리서치 매니저인 스튜어트 모리슨은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비용 압박으로 인해 투자와 채용, 거래가 어려움을 겪고 있어 경영 환경이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부 재정 상황도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코노미스트들은 레이철 리브스 재무장관이 올 가을 발표할 예산안에 세금 인상 내용을 담을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며 "일부는 정부가 재정 적자를 메꾸기 위해 200억 파운드(약 37조6000억원) 이상을 징수해야 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리브스 장관은 오는 11월 26일에 2차 예산안(가을 예산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금융시장에서는 영국 중앙은행인 영란은행(BoE)이 오는 18일 통화정책회의에서 현재 기준금리 4.0%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난 7월 인플레이션이 3.8%로 영란은행의 목표치인 2%를 크게 웃돌고 있기 때문이다.
이날 GDP 지표가 발표된 후 파운드화는 달러 대비 0.2% 하락해 1.355 달러에 거래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