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규모 분석 결과 발표
2형 당뇨병 유병률 약 4배 급증
13~18세 청소년 증가 폭 가장 커
저소득층일수록 당뇨병 발생률↑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30세 미만의 젊은 세대 중 새롭게 당뇨병에 걸린 사람의 비율(발생률)이 최근 13년간 인구 10만명당 27.6명에서 60.5명으로 2.2배 증가했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2008년부터 2021년까지 30세 미만 당뇨병 환자의 임상·역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국내 최초로 국제학술지인 JKMS(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에 발표했다고 26일 밝혔다.
과거 소아·청소년에서는 1형 당뇨병이 주로 발생했다. 1형 당뇨병은 자가면역 이상으로 인한 췌장 기능 손상에 따른 인슐린 결핍이 원인이 돼 발생하는 질병이다.
![]() |
1형 및 2형 당뇨병의 발생률 및 유병률 변화 (30세 미만 인구 10만명당) [자료=질병관리청] 2025.08.26 sdk1991@newspim.com |
그러나 질병청에 따르면 최근 전 세계적으로 청소년과 젊은 성인에서 2형 당뇨병 발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형 당뇨병은 주로 비만과 관련한 인슐린 저항성과 분비 부족으로 발생하는데 소아청소년 신규 2형 당뇨병 진단이 일본에서 80%, 대만에서 50% 증가하고 있다.
국내 30세 미만 국민을 대상으로 1형 또는 2형 당뇨병의 연도별 발생률과 유병률을 확인한 결과, 2형 당뇨병 환자 발생률은 인구 10만명당 27.6명에서 60.5명으로 2.2배 증가했다. 유병률(당뇨병을 가지고 있는 전체 인구 비율)은 73.3명에서 270.4명으로 약 4배 급증했다.
2형 당뇨병의 유병률도 21.8명에서 46.4명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1형 당뇨병 환자 발생률은 큰 차이가 없었다.
![]() |
1형 및 2형 당뇨병 유병률 변화 및 성차간 위험도 [자료=질병관리청] 2025.08.26 sdk1991@newspim.com |
성별에 따른 유병률 차이를 보면, 1형 당뇨병은 여성에서 26% 더 많았다. 반면 2형 당뇨병은 남성에서 17% 더 많았다.
연령을 0~5세, 6~12세, 13~18세, 19~29세로 나눠 살펴본 결과, 2008년 대비 2021년의 발병률은 1형 당뇨병의 경우 영유아기(0~5세)에서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다. 2형은 청소년기(13~18세)에서 가장 큰 증가 폭을 내비쳤다.
1형 당뇨병과 2형 당뇨병은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저소득층에서는 중·고소득층보다 1형 당뇨병이 2.9배, 2형 당뇨병이 3.7배 더 많이 발생했다.
이번 연구는 김재현 분당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연구팀이 국립보건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했다. 13만명의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 자료를 활용한 국내 최장기간 또는 최대 규모의 데이터 활용 연구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소아와 젊은 연령층에서 당뇨병 유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국가 차원의 관리가 시급하다"며 "특히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에서의 건강 형평성 확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sdk199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