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서울청 기자간담회…시청·초등학교 폭파 협박 팩스 추가 신고
김정숙 여사 의상비 의혹, 혐의없음 종결
[서울=뉴스핌] 박우진 기자 = 일본발 폭파 협박이 잇달아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서울시청과 학교를 폭파하겠다는 협박 팩스가 수신됐다. 경찰은 사건을 병합했으며 국제 공조를 통해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는 25일 서울 종로구 서울경찰청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일본 변호사 사칭 폭파 협박 팩스 발송과 관련해 "8월에만 총 7건이 발생했는데 모두 일본 변호사를 사칭한 동일한 번호의 팩스였다"며 "2023년 8월부터 사건이 발생했으며 팩스 29건, 이메일 19건 등 총 48건을 병합해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에서 수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일본 변호사 가라사와 다카히로라는 명의로 국내 주요 시설을 폭파하겠다는 내용의 협박 팩스가 발송된 사건이 잇따르고 있다.
지난 7일에는 학생들에게 황산 테러를 하겠다는 내용의 팩스가 접수됐고, 10일에는 올림픽체조경기장(KSPO돔)에 폭발물을 설치했다는 내용의 팩스가 전달되기도 했다.
서울 중부경찰서와 남대문경찰서는 이날 오전 서울시청과 서울 지역 내 초등학교에 '폭발물을 설치했다'는 내용의 협박 팩스를 받았다는 신고를 접수했다.
박 직무대리는 "오늘 서울 시내 한 초등학교로 접수된 협박 글은 과거 사례와 유사하다고 판단했다"며 "저위험 수준으로 보고 경찰특공대나 자체 대응팀이 대기하고 있지만 자체 수색은 하지 않았고 112 연계 순찰 정도로 대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
경찰청 [사진=뉴스핌DB] |
경찰은 협박범 검거를 위해 국제공조를 이어가고 있으며 대응 지침 마련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박 직무대리는 "전화번호와 이메일 발신자를 추적하기 위해 일본 등과 공조하고 있다. 일본과 공조회의를 열고 일본 주재관을 파견해 경찰 영사를 통해 공조하면서 수사가 진행되고 있다"며 "공권력 낭비가 매우 심각하기 때문에 가이드라인을 세우려고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문재인 전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의 의상비로 청와대 특수활동비(특활비)가 사용됐다는 의혹에 대해 '혐의없음'으로 사건을 종결했다.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대통령기록관도 압수수색하고 광범위하게 조사를 진행했다"며 "관봉권 경로도 충분히 수사했으나 혐의를 인정할만한 정황이나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이유를 밝혔다.
김 여사는 문 전 대통령 재임 기간 중 의상을 구입하는데 특활비를 썼다는 의혹을 받았다. 시민단체 서민민생대책위원회는 2022년 3월 김 여사를 경찰에 고발했다.
서울경찰청 반부패수사대는 지난 5월 세종시 대통령기록관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지난달 29일 김 여사의 혐의에 대해 불송치로 처분했다.
krawj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