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시축제' 계기 대형행사·지역경제·도시브랜드 역량입증 자신
200만 시민, 사고·쓰레기·바가지요금 없는 '3無 축제' 만족감
이장우 시장 "시민 체감 변화 위해 단합"...미래 성장 기대 ↑
[대전=뉴스핌] 오영균 기자 = 대전시는 '2025 0시 축제'를 시민과 함께 성공적 개최를 통해 대형 행사도 충분한 도시 역량을 입증하면서 자신감이 높아졌다. 이는 시민과 공직자가 합심해 안전사고, 쓰레기, 바가지요금이 없는 '3무 축제'로 진행해 대전의 경쟁력을 과시한 상징적 성과로 평가된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18일 주간업무회의 자리에서 "이번 0시 축제는 200만 명 이상이 찾은 흥행으로 공무원 모두가 하나 돼 이뤄낸 성과"라며 "중앙로가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아이들에게 평생 간직할 추억과 기억의 공간이 됐다"고 뿌듯해 했다. 이어 "대전시가 대형 행사도 충분히 치뤄낼 수 있는 역량을 가진 점을 입증했다"고 강조했는데, 이 같은 평가는 지역 축제가 지역 발전 전략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
이장우 대전시장이 18일 주간업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전시] 2025.08.18 gyun507@newspim.com |
이번 0시 축제는 무엇보다 환경, 교통 등 시민 안전 부서가 긴밀히 움직인 공직자들의 협업이 돋보였다. 이 같은 노력의 결과 고질적인 행사 관련 민원이 크게 줄었고,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와 인근 상인들의 현장 관리가 유지되면서 지역경제와 상생하는 축제로 자리매김하는 만족스런 결과가 나왔다.
◆ 대전만의 0시 축제, 지역경제·상권에 활력 넣어
축제의 성공은 지역 상권에도 즉각적인 파급 효과를 보였다. 수백만 명이 몰린 중앙로와 인근 상가는 연일 활기를 띠었고,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은 매출 증가를 체감했다.
지역 특산품과 연계한 새로운 상품이 인기를 끌면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했다. 먼저 축제 현장에 첫선을 보인 '꿈돌이 호두과자'는 9300여 박스가 판매됐고, '꿈씨패밀리' 굿즈는 개막 나흘 만에 9700만 원의 매출을 올리는 등 인기몰이로 조기 품절됐다. 또한 '꿈돌이 막걸리'는 1·2차 생산분 1만3440병이 모두 완판되면서 지역을 대표하는 새로운 브랜드로 급부상했다.
![]() |
대전 0시 축제 부스에 마련된 꿈돌이 호두과자. [사진=대전시] |
대전시와 롯데백화점이 함께 운영한 팝업스토어 '꿈씨상회'에서는 지역 브랜드와 캐릭터 상품이 함께 판매돼 총매출 8000만 원을 넘었다. 이는 단순한 축제를 넘어 도시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관광산업 확장으로 이어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 국제행사 유치·미래 성장 잇는 기점 역할
이번 0시 축제를 통해 대전시는 '시민 참여형 대형 행사 운영 노하우'를 축적한 성과를 얻었다. 이는 앞으로 국제행사 유치와 대규모 프로젝트 추진에 속도를 내는 기점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0시 축제를 통해 도시 브랜드 제고, 관광산업 확장, 지역경제 활성화가 선순환 구조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진 셈이다.
이장우 시장은 "앞으로도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위해 전 공무원이 하나 돼 움직이자"고 당부했다. 이는 축제를 단순히 마무리하는 것이 아니라 대전의 미래 전략으로 연결하겠다는 의지로 보인다.
![]() |
[대전=뉴스핌] 오종원 기자 = 대전 0시 축제를 찾은 방문객 모습. 2025.08.08 jongwon3454@newspim.com |
![]() |
[대전=뉴스핌] 오종원 기자 = '대전 스트릿댄스 경연대회' 공연을 보며 환호하는 모습. 2025.08.16 jongwon3454@newspim.com |
결론적으로 대전 0시 축제는 시민과 행정, 지역 상권이 함께 노력해 이뤄낸 결과물이다. 안전·질서, 상생·협력, 브랜드·문화가 하나로 어우러진 이번 행사는 대전이 '축제 도시'를 넘어 국제적 도시로 도약하는 발판이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에 0시 축제는 단순 행사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향후 대전의 미래 성장 동력을 구체화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는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gyun50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