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뉴스핌] 홍재경 기자 =인천시는 접경지역인 강화·옹진군의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해 줄 것을 정부에 건의했다고 17일 밝혔다.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되면 규제 특례와 세제·재정 지원이 이뤄져 대규모 투자 유치와 신규 일자리 창출이 수월해진다.
기회발전특구는 시도지사가 신청하면 지방시대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정한다
현재 전국에는 비수도권지역 14곳의 시도가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돼 있다.
![]() |
인천시청 청사 [사진=인천시] |
시는 산업통상자원부와 지방시대위원회에 수도권지역의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위한 지역 및 신청 면적 상한 등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을 빠른 시일안에 마련해 줄 것을 촉구 했다고 밝혔다.
시는 수도권지역은 기회발전특구 지정에 필요한 구체적인 기준 등이 없어 신청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시는 접경지역인 강화군과 옹진군은 그동안 각종 수도권 규제에 묶여 투자 유치 등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며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기회발전특구 지정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이 2023년 발표한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중장기 방안 연구'를 보면 강화군과 옹진군은 지자체 낙후도(1∼5등급)가 각각 2등급, 3등급으로 분류됐다.
강화군은 지난해 7월부터 북한의 대남 확성기 소음으로 인해 접경지인 송해면, 양사면, 교동면, 강화읍 주민 2만명이 밤낮으로 고통을 겪고 있다.
김준성 인천시 글로벌도시국장은 "접경지역이면서 수도권 규제에 묶여 있는 강화군과 옹진군의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방시대위원회가 빠른 시일 안에 관련 기준을 마련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hjk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