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전국 경북

속보

더보기

[2024 재산공개] 이철우 경북지사 큰 변동없어...10만원 증가한 18억545만원

기사입력 : 2024년03월28일 10:05

최종수정 : 2024년03월28일 10:07

경북도의회 58명 평균 재산 21억1700만원...박영서도의원189억9346만원
박남서 영주시장, 80억원 이상 감소...64억530만9000원 신고

[경북종합=뉴스핌] 남효선 기자 = 2024년도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고위공직자 재산공개 결과 이철우 경북도지사의 재산은 큰 변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철우 지사는 지난 해보다 10만원이 늘어난 18억545만 원을 신고했다.

이철우 경상북도 도지사[사진=뉴스핌DB]

임종식 경북도교육감은 1620만원이 늘어난 9억5892만원을 신고했다.

또 경북도의회 의원 58명의 평균 재산 규모는 21억1700만원으로 나타났다.

배한철 경북도의회 의장은 지난 해보다 7126만원이 늘어난 7억5246만 원을 신고했다.

박영서 도의원(문경시)이 지난 해 보다 16억792만원 늘어난 189억9346만원을 신고해 경북도의원 58명 중 가장 많은 재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44억1719만원을 신고했던 박남서 영주시장은 무려 80억원 이상이 감소한 64억530만9000원을 신고해 눈길을 끌었다.

김학홍 행정부지사는 9억 4336만 원을, 지난달 27일 사임한 이달희 경제부지사는 11억 2270만 원을 신고했다.

◇ 장세구 구미시의원 77억9511만원....경북 시군의원 중 최고

한편 경북공직자윤리위원회 관할 시군의원 중 장세구 구미시의원이 77억 9511만원을 신고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 의원은 지난 해 대비 9억9600만원 가량 증가했다.

안경숙 상주시의원은 지난 해 보다 4억 7500만원이 늘어난 68억 6200만원을 신고해 뒤를 이었다. 그 다음은 권기한 영천시의원으로 62억 2700만원을 신고했다.

유관기관에서는 정용구 김천의료원장이 45억 3500만원을 신고해 가장 많았고, 30억 1900만원을 신고한 함인석 포항의료원장이 뒤를 이었다.

경북공직자윤리위 관할 재산 공개 대상자의 재산 규모 현황은 △ 10억원 미만 200명(70.2%) △1억원이상~5억원 미만 98명(34.4%)로 나타났다.

경북도 공직자윤리위원회는 이번에 공개한 재산변동사항은 오는 6월말(공개 후 3개월 이내)까지 국토교통부, 국세청, 금융기관 전산자료 조회를 통해 성실신고 여부를 심사할 예정이다.

심사결과 재산누락 및 불성실 신고자는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과태료 부과, 해임 요구, 경고 및 시정조치, 보완명령 등의 조치를 취할 방침이다.

nulcheo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특검 "尹, 구속연장 없이 기소도 검토" [의왕=뉴스핌] 김학선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재구속된 이후 조은석 특별검사팀의 출석 요구에 잇달아 불응한 가운데 15일 윤 전 대통령이 수감된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 앞의 모습. 특검은 이날 윤 전 대통령에 대해 구속기간 연장 없이 바로 기소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5.07.15 yooksa@newspim.com   2025-07-15 14:38
사진
'반구천의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선사시대의 생활문화를 엿볼 수 있는 바위그림인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는 12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한국 정부가 신청한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2010년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15년 만의 결실이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총 17건(문화유산 15건·자연유산 2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반구천의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반구천의 암각화'는 국보로 지정된 울산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와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포함하는 유산이다.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는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 등이 생동감 있게 표현돼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상화 생태계를 엿볼 수 있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2010년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지난해 1월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했다. 이후 서류 및 현장실사 등 심사를 거쳤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반구천의 암각화'에 대해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인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다양한 고래와 고래잡이의 주요 단계를 담은 희소한 주제를 선사인들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고 평했다. 이어 "선사시대부터 약 6000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이면서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사람들의 문화 발전을 집약해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세계유산위원회는 등재 결정과 함께 사연댐 공사의 진척 사항을 보고할 것과 더불어 반구천 세계 암각화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보장하고, 관리 체계에서 지역 공동체와 줌니들의 역할을 공식화하고,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주요 개발 계획에 대해 알릴 것을 권고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이번 '반구천의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는 국가유산청과 외교부,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 해당 지자체가 모두 힘을 합쳐 이뤄낸 값진 결과"라며 "이번 등재롤 계기로 '반구천의 암각화'가 가진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충실히 보존하는 한편, 지역주민과의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는 적극행정으로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상에 알려진 지 50여 년이 지났지만, 세계유산 등재까지는 쉽지 않은 긴 여정이었다"며 "앞으로도 국가유산청은 '반구천의 암각화'를 인류 공동의 유산으로서 가치를 지키고 잘 보존·활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alice09@newspim.com 2025-07-12 18:0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