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재해법 조사, 외벽균열에 아파트 주차장 붕괴까지
건축·주택 비중 67% 절대적, 안전지향 임병용 체제에 위기
기업 이미지 불명예, 검단 아파트 재시공시 수천억 손실
[서울=뉴스핌] 이동훈 기자 = 인천 검단신도시 아파트의 주차장 붕괴 사고를 계기로 GS건설의 임병용 부회장 체제가 최대 위기를 맞았다.
임병용 부회장은 11년간 4연임을 할 정도로 건설업계 장수 CEO(최고경영자)로 꼽힌다. 안정적인 기업 경영과 실적으로 호평을 받았으나 아파트 붕괴사고로 그동안 쌓아올린 성과가 무너질 위기에 놓인 셈이다. 공기 지연에 따른 실적 부담이 커졌고 부실시공 건설사라는 불명예가 한동안 따라 붙을 것이란 평가가 많다. 아파트 재시공에 나설 경우 수천억원대 손실을 떠안을 여지도 있다.
◆ 외벽균열에 공사현장 붕괴까지...브랜드·신뢰도 타격
3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인천 검단신도시에 짓고 있는 '안단테' 아파트 지하 주차장이 무너지면서 11년째 이어가던 GS건설 '임병용號'가 대형 암초에 직면하게 됐다.
지난 2013년 취임한 임병용 부회장은 검사 출신으로 LG그룹 회장실 법률고문실 상임 변호사, LG텔레콤 마케팅실장, GS 경영지원팀장 등을 거치며 그룹 차원에서 전략적으로 육성된 CEO라는 평가를 받는다. 그만큼 기업 경영에 전폭적인 지원을 받았고, 임 부회장도 안정적인 실적과 신규사업 확장에 성과를 보였다. 부임 첫 해인 2013년 해외사업 손실을 반영하며 9000억원대 영업손실을 기록한 이후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2018년 창사 이래 첫 영업이익 1조원을 돌파했고 그 이후에도 연간 5000억원 이상 이익을 냈다.
하지만 올해는 임 부회장은 부임 이후 최대 위기에 놓일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작년 말 경기도 시흥 공사장에서 근로자 1명이 사망해 고용부가 중대재해기업처벌법(중대재해법) 조사에 들어갔다. 과실 여부에 따라 CEO가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다. 지난달에는 서울 중구 '서울역 센트럴자이' 아파트 필로티 기둥의 균열로 논란을 빚었다. 정밀 검사에서 안전에는 큰 문제가 없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준공 6년 만에 외벽에 균열이 생겨 입주민들은 부실시공을 했다는 의심을 하고 있다.
지난달 29일 저녁 발생한 검단신도시 '자이안단테' 아파트의 지하주차장 붕괴는 초대형 악재다.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대형 건설사의 건설현장 사고로 안전 불감증이 재조명되고 있다. 이 사업에는 GS건설과 동부건설, 대보건설이 컨소시엄으로 참여했는데 GS건설이 주관사라는 점에서 임 부회장이 사고 책임에서 자유롭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고로 실적 부담이 커졌다. GS건설은 현재 도급공사 40여건, 민간공사 120여건, 해외공사 10여건 등 총 170여 곳의 공사 현장을 보유하고 있다. 아파트 공사장 붕괴로 주요 사업장의 안전 진단과 감리를 다시 받아야 할 판이다. 실제 인천광역시는 검단현장 사고가 발생한 직후 유정복 시장의 긴급지시로 시내 5개 GS건설 현장에 대한 안전점검을 실시키로 했다. 그때까지 공사는 중단된다.
전 사업장이 멈춰서진 않겠지만 안전에 문제가 없다는 평가를 받기 이전에는 공사에 속도를 내기 어렵다. 안전에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부분적으로 재시공을 해야 하고 이에 따른 공기 지연은 지체보상금 확대로 이어진다.
국내 주택·건축사업이 실적이 미치는 영향이 절대적이다. 지난해 이 부문 매출이 8조1768억원으로 전체의 66.5%를 차지했다. 2021년 50.0%, 2022년 56.0%에서 더 늘었다. 주택경기 호황에 분양사업을 확대한 결과로 이 기간 해외 플랜트, 인프라 사업 비중은 줄었다. 건설현장의 대대적인 안전 강화가 이뤄지면 비용 증가가 불가피한 것이다.
브랜드 이미지에도 타격이 우려된다. GS건설은 올해 시공능력평가 5위로 아파트 '자이'로 강력한 브랜드 파워를 자랑하고 있다. 하지만 외벽 균열, 붕괴 사고가 잇달아 발생하면서 안전하지 못하다는 인식이 확산하고 있다. 주택이 재산상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지만 주거 공간으로 안정감을 줄 수 없다면 브랜드 이미지가 쇠퇴할 수밖에 없다. 2020∼2022년 국토부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에 가장 많은 사건이 접수된 곳으로 GS건설(573건)이 꼽히기도 했다. 2위에 오른 HDC현대산업개발(376건)보다 하자 사건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지난 2일 인천 검단신도시 아파트 주차장 붕괴사고 현장을 찾은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국토부] |
◆ 붕괴사고 여파 장기화...최악엔 검단 아파트 재시공
아파트 붕괴 사고로 GS건설이 겪을 후폭풍이 쉽게 가시지 않을 것이란 분위기가 감지된다.
지난 2일 붕괴 사고가 현장을 찾은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발주청인 LH와 시공사인 GS건설은 무거운 책임을 각오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행정처분 등 법적이 책임을 묻겠다는 얘기다. 위험 요소와 품질을 소홀히 한 후진적 건설사고로 불법하도급 여부도 들여다볼 예정이다.
GS건설 입장에서 최악의 결과는 재시공이다.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해 관계기관 합동 특별점검과 관계전문가 정밀 조사에 들어갔다. 지난해 1월 붕괴 사고가 발생한 광주광역시 ′화정아이파크′처럼 시공에 중대한 결함이 발견되면 건물을 부수고 처음부터 다시 진행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검단 아파트 입주민 커뮤니티에서는 "건물이 무너질까 입주하기 겁난다", "공사를 처음부터 다시 지어야한다", "안전에 문제가 없다는 걸 어떻게 믿고 입주하느냐" 등 성토의 글이 올라와 있다.
투자은행(IB) 업계 한 관계자는 "100곳이 넘는 건설현장의 안전 강화와 감리가 이뤄지면 공사가 지연돼 원가율이 높아지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며 "금전적인 문제보다 안전사고는 기업, 브랜드 이미지에 큰 타격을 준다는 점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손실이 더 클 것"이라고 말했다.
leed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