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문화·연예 전시·아트

속보

더보기

말레이시아 현대미술 작가 12명의 국제문화교류전 '말레이시아를 품다'

기사입력 : 2023년03월06일 08:22

최종수정 : 2023년03월06일 08:28

3월 8일에서 13일까지 서울 인사아트센터
강한 사회정치적 주제와 시각적 즐거움으로 말레이시아 현재의 모습과 고민 표출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한세예스24문화재단은 말레이시아 현대미술을 소개하는 국제문화교류전 <말레이시아를 품다 (Embrace Malaysia)>를 2023년 3월 8일에서 13일까지 서울 인사아트센터 1,2층 전시실에서 개최한다.

말레이시아는 말레이인, 중국인, 인도인, 파키스탄인 등 여러 민족으로 이루어졌다. 국교가 이슬람교로 국민 대부분이 이슬람교인이지만,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어 불교인, 기독교인, 힌두교인도 공존한다. 이렇게 다양한 민족과 종교로 형성되어 역동적인 문화를 이루었다.

이번 전시의 감독을 맡은 박일호 이화여대 조형예술대학 교수는 "1957년 말레이시아의 독립을 배경으로 전개된 말레이시아 현대 미술은 다문화 국가의 통일성과 다양성을 상징화하는 역할을 해왔다. 이 전시는 말레이시아의 현재 모습과 고민을 다루는 현대미술에 초점을 맞추었는데, 이를 통해 기계화·산업화된 사회에서 정체성을 묻고 찾는 우리나라의 현재와 부합하는 목소리도 들을 수 있다"고 전했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Chin Kong Yee, Stylo Hair Salon, Digital painting printed on canvas, 35.5cm x 40.5cm (each) (Diptych), Edition of 5 (2022) 2023.03.06 digibobos@newspim.com

또 "작가들은 사회정치적 주제를 전달하지만, 일상적 내용을 소재로 그 안에 주제를 재미있게 담으려 노력하고 있다. 또 작품 구성 형식에서 복합적이고 다면적인 요소들을 합쳐 조화와 긴장감을 이루는 방식을 택한다"고 설명했다.

이 전시의 참여작가는 아누렌드라 제가데바(Anurendra Jegadeva, b.1965), 친 콩 이(Chin Kong Yee, b.1973), 줄키프리 유소프(Zulkifli Yusoff, b.1962), 라진더 싱(Rajinder Singh, b.1964), 션 린(Sean Lean, b.1981), 누르 아지잔 라만 파이만(Noor Azizan Rahman Paiman, b.1970), 하미디 하디(Hamidi Hadi, b.1971), 이반 램(Ivan Lam, b.1975), 초이 춘 웨이(Choy Chun Wei, b.1973), 웡 치 밍(Wong Chee Meng, b.1975), 야우 비 링(Yau Bee Ling, b.1972), 쳉 옌 펭(Cheng Yen Pheng, b.1982) 등 말레이시아의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12명으로 회화·사진·비디오 등 다양한 미디어의 작품 33점이 선보인다.

참여 작가들 대부분은 말레이시아의 민족적·문화적 정체성, 산업화·도시화에 따른 사회변화, 동양적인 것과 서양적인 것의 대비와 조화 등에 관심을 갖고 있다.

아누렌드라 제가데바의 <젬푸탄(Jemputan)>이라는 그림은 말레이시아 전통 의상을 입은 남녀가 그려져 있고, 그림 아래 부분에 '결혼식 초대장(Wedding Invitation)'이라고 씌어져 있다. 하지만 앉아있는 여인의 지긋이 감은 눈과 그 뒤에 고개를 들고 서 있는 남자의 무뚝뚝한 표정은 왠지 결혼식 초대장과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 뭔가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드는 그림이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아누렌드라 제가데바 <젬푸탄(Jemputan)>, 종이에 혼합매체, 150cm x 150cm(2018) 2023.03.06 digibobos@newspim.com

작품 제목 '젬푸탄'은 '결혼 신청', '신부의 결혼지참금'으로 번역될 수 있다. 작가는 말레이시아 전통 풍습을 보여주면서도 이에 의문점을 던진다. 이 작가의 또다른 작품 <세임 올드송(Same Old Song)>은 하나의 액자 앞뒤에 전통적 관습에 묶인 여성과 현대적 여성의 모습을 넣어 양방향 대비를 시켰다. 이 작가는 서사적이고 시적인 작품을 통해 도발적 주제를 던진다.

션 린의 도자기 부조 작품은 전통 문화를 보여주는 듯 하다. 하지만 자세히 보면 자동차용 페인트와 철로 조각조각을 만들어 붙여 매끄럽지 않은 도자기이다. 철 프레임에 둘러싸인 실제 나무문을 이용한 작품도 눈길을 끈다. 이 작가 역시 말레이시아 사람들이 고민하고 겪는 정체성 문제를 다루는 것이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Sean Lean <청화룡문집호(青花龙纹执壶>, Automotive Paint on Steel, 160cm x 108.5cm(2022) 2023.03.06 digibobos@newspim.com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Sean Lean, 青花十八罗汉香炉, Automotive Paint on Steel 91cm x 200cm (2022) 2023.03.06 digibobos@newspim.com

누르 아지잔 라만 파이만의 작품은 선명한 색채, 어린이 미술 같은 이미지로 눈길을 끌지만, 이 작가 또한 말레이시아 사회적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다. 말레이시아가 급격하고 격렬한 산업적 변화와 경제성장을 이뤘지만, 그 과정에서 사회 한편에 남긴 문제점들을 해학적으로 표현한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Noor Azizan Paiman , Oil on canvas, 45cm x 60cm(2012) 2023.03.06 digibobos@newspim.com

전시는 관람의 편의를 위해 4 섹션으로 나뉜다. 평면과 입체 및 영상 작품을 혼합하고, 예술적 매체를 통한 화합의 미술을 시도하는 작가들을 다룬 ▲첫째 섹션 '매체 화합'(아누렌드라 제가데바, 친 콩 이), 사회적 정체성과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풀어낸 작가들을 다룬 ▲둘째 섹션 '정체성' (줄키프리 유소프, 라진더 싱, 션 린, 누르 아지잔 라만 파이만), 구상과 추상, 심리적인 것과 객관적인 것 등 미술의 고착화된 이분법을 넘어서려는 작가들을 다룬 ▲셋째 섹션 '경계를 넘어'(하미디 하디, 이반 램, 초이 춘 웨이), 일상적 삶의 내용이나 자신의 개인적 체험에서 나타난 정체성 변화를 표현하는 작가들을 다룬 ▲넷째 섹션 '일상과 나'(웡 치 밍, 야우 비 링, 쳉 옌 펭)이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Anurendra Jegadeva, A Garland for My Father, Lightbox with painted canvas insert 91cm x 91cm (2019) 2023.03.06 digibobos@newspim.com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Zulkifli Yusoff , Mixed Media, 122cm x 122cm(2014) 2023.03.06 digibobos@newspim.com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Zulkifli Yusoff, Craddock's King, Mixed media on canvas 122cm x 92cm (2007) 2023.03.06 digibobos@newspim.com

한세예스24문화재단은2014년 김동녕 한세예스24홀딩스 회장이 사재를 출연해 설립했으며, 한국과 동남아시아 국가들 간 문화교류를 확대하는 다양한 문화사업을 주최 및 후원하고 있다. 

2015년 '베트남 미술전'으로 시작해, 2016년 '인도네시아 바틱전', 2017년 '태국 미술전', 2018년 '미얀마 현대미술전', 2019년 '필리핀 현대미술전'을 열었으며,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지난 3년간 전시를 개최하지 못했으나 2023년에 말레이시아 현대미술을 소개하는 본 전시로 국제미술전을 재개하게 되었다.

조영수 한세예스24문화재단 이사장은 "말레이시아는 괄목할 만한 경제·문화적 발전을 이루었으며 경제적으로도 우리나라와 깊은 관계를 맺어온 나라다. 이번 전시를 통해 우리나라 미술 애호가들이 쉽게 접하기 어려웠던 말레이시아의 현대미술을 감상하는 기회가 되고, 양국의 문화적 교류에도 기여하기를 바란다. 우리 재단은 앞으로도 아시아 각국의 숨겨진 미술 작품을 찾아 꾸준히 선보일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digibobos@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강선우 청문보고서 재송부 요청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국회에 국방부, 국가보훈부, 통일부, 여성가족부에 대한 인사청문 보고서 송부를 재요청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금주 내에 임명을 마무리하고 신속한 국정 안정을 꾀하기 위해 기한은 오는 24일 목요일로 요청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레젭 타입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현행 인사청문회법에 따르면 국회는 임명동의안 등이 제출된 날로부터 20일 이내에 청문 절차를 마무리해야 한다. 만약 국회가 이 기간 내에 청문보고서를 송부하지 않을 경우, 대통령은 그로부터 열흘 이내 범위에서 기한을 정해 국회에 송부를 재요청할 수 있다. 앞서 이 대통령은 논문 표절 논란이 불거진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지명을 철회했으며, 보좌진 '갑질' 등 의혹이 불거진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임명 절차를 이어가기로 했다. 강 후보자와 관련해 야당뿐 아니라 시민사회단체들로부터도 반대 의견이 잇따르고 있다. parksj@newspim.com 2025-07-22 15:52
사진
[단독] '근로감독관법' 입법 초읽기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근로감독관 직무·권한·수사권 행사 기준 등 근로감독 업무 전반에 대해 체계적인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근로감독관법 제정안이 발의될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이후 근로감독관 증원 의지를 꾸준히 밝혀왔다. 이 대통령 대선 공약에는 임기 내 근로감독관을 최대 1만명까지 늘린다는 계획이 담겼다. 전문가들은 현행 근로감독에 대한 법적 근거가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과 훈령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한 만큼, 증원에 앞서 법체계를 정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21일 국회에 따르면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근로감독관법 제정안 발의를 준비 중이다. 이르면 이번주 발의를 마무리하고 국회 설득에 나설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제4회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제정안은 근로감독의 내용과 감독관의 책임 및 권한 등을 명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반복 위반 및 중대한 위법행위에 대한 즉각적 수사 착수 기준을 밝히고, 정기·수시·특별감독 유형 구분과 감독결과에 대한 처리기준을 명문화했다. 근로감독행정 정보시스템 및 노동행정포털 구축 등 디지털 행정 기반 마련, 권리구제지원관 도입 등 근로감독 역량 강화를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 근거도 포함했다. 전문가들은 근로감독관 증원, 근로감독권 지방 이양 등 근로감독 관련 대통령 공약 사항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법체계 정비가 먼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현행 법체계를 보면 근로감독관에 대한 법적 근거는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인 '근로감독관 규정'이 가장 상위 법령이고, 그 아래 시행규칙인 '근로감독관증 규칙'과 훈령 '근로감독관 집무규정'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하다. 근로감독 내용과 감독관 권한 등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법적 근거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 대통령은 취임 이후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근로감독관 증원 및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 필요성을 반복 강조해 왔다.  이 대통령는 지난 10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과 이를 위한 근로감독관 대폭 증원 등을 지시한데 이어, 지난 17일에는 "산업안전 업무를 담당할 근로감독관을 300명 정도라도 신속하게 충원해 예방적 차원의 현장 점검을 불시에 상시적으로 해 나가기를 바란다"며 구체적 증원 규모까지 언급했다. 이 대통령이 근로감독관 확대를 추진하는데는 근로감독관 인력 부족이 한계치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노동사건은 급격히 증가하는데 반해, 이를 조사할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임금체불 등 근로기준법 분야를 다루는 근로감독관 수는 2236명으로 지난 2019년 이후 정체 현상이 뚜렷하다.  김근주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근로감독관과 더불어 이들이 2~3년마다 순환 근무하는 노동위원회 조사관의 업무가 증폭하고 있어 인원 확충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근로감독) 권한 일부를 지방정부에 이양하는 등의 논의도 있다"며 "이런 부분이 현행 체제로는 가능하지 않아 법체계 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이번 제정안을 두고 "독자적인 근로감독법을 제정한다면 근로감독이라는 행정권한의 위상이 법적으로 확립될 것"이라며 "노동행정의 실행력이 강화될 뿐 아니라 일선 근로감독관의 전문성 제고와 집행의 일관성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sheep@newspim.com 2025-07-21 18:0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