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上에서 이어짐>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중국서 조선족으로 생활하는 것에 대한 소회 ?
중국내 조선족은 특출한 능력의 소유자
조선족은 중국 56개 소수 민족중 하나다. 조선족은 다른 많은 소수민족과 달리 한국 북한과 같은 민족 언어, 동일한 문화 풍습의 배경을 가지고 있고 자긍심도 강한 편이다.
중국내 조선족들은 전부터 '소를 팔아 공부시킨다'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교육을 중시했다. 나도 그런 생각을 가지신 부모의 뜻에 따라 베이징에 유학할 수 있었다.
주변의 조선족들 중에 중국어와 한국어를 기본으로 영어 또는 일본어를 포함, 3개국 언어 이상을 구사할 수 있는 사람이 적지않다. 이는 조선족들의 큰 경쟁력이다.
2007년부터 2년간 일본 도쿄의 특허 사무소에서 근무한 적 있었는데, 동료인 일본 변리사들도 조선족이 가지고 있는 이런 특출한 언어 능력을 부러워했었다. 이런 특성으로 인해 조선족은 중국 국내는 물론, 동아시아 국가와 중국간 경제 문화분아 에서 중요한 가교역할을 하고 있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중국 조선족 오경순 변리사. 2022.08.26 chk@newspim.com |
1970년대~1980 년 당시 북한 방문 경험은?
방학때면 '잘 사는' 북한 함경도 할아버지 집에 놀러가
북한 함경북도에 친 할아버지가 계셔서 70년대 말 80년대초, 방학때면 북한을 자주 오갔다. 그때까지 만 해도 대체로 북한의 생활수준이 중국보다 양호한 면이 많았다.
북한에 가면 싱싱한 해산물을 먹을 수 있었고 중국에도 가져오곤 했다. 어느 해 겨울 방학때는 아버지가 동생을 데리고 북한에 갔다가 마른 명태를 큰 보따리로 몇개나 가져온 기억이 난다.
어떤 집은 북한의 부자 친척 집에 갔다가 일본제 세이코 시계를 가져오기도 했다. 60년대 중반 이전에는 북한 경제 형편이 중국 보다 훨씬 좋았고 이웃 한족들은 북한에 친척이 있는 조선족을 부러워하기도 했다.
어려서 북한을 방문하면서 내가 태어난 고향인 옌볜 사투리와 할아버지가 사는 함경도 사투리가 똑같다는 점이 무척 신기했다. 어렸을 적 북한에 가면 논두렁 길로 자전거를 타고 놀았던 기억이 생생하다.
어린시절 기억속의 북한 주민들은 중국에서 만났던 한국사람들과 별 차이가 없었다. 다들 인정이 깊었다. 함경도 지역은 진짜 청정지역이었다. 높은 돌다리 위에서도 물가의 물고기들이 속속이 들여다 보일 정도였다. 큰 돌멩이를 내리 던져 물고기를 잡아 철렵을 했던 생각도 난다.
한 겨울에는 눈 내린 들판에서 토끼와 오소리 사냥을 하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북한에 간 건 대학 입학의 해인 1990년이었다. 그땐 중국이 개혁개방을 한지 10년이 지난 때였고 낙후한 북한 생활성을 실감할 수 있었다.
-반목이 깊어지고 있다. 한중 관계가 좋아지려면?
소통으로 오해 해소, 긍정적 언론 보도 많았으면
코로나19에 따른 이동 제한이 풀려 왕래가 늘어나면 서로에 대한 이해도가 증진되고 차츰 우호 교류도 회복될 것이라고 본다. 왕래가 자유로워져야 대화가 늘어나고 오해도 풀리면서 관광 비즈니스도 활발해지고 문화 교류도 확대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양국 관계 회복에는 특히 양국 지도자나 고위층 간의 상호 방문을 통한 신뢰 구축 노력이 중요하다. 국제 정세가 복잡하지만 진정성을 가지고 상호 관심사를 논의하고 존중하면서 교류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양국 언론도 서로 우호적인 분위기를 만들어 나가기를 희망한다. 역사 문화 분야에서 오해나 충돌이 빚어지는 이슈들을 크게 부풀려 보도하면 양국 국민 감정이 쉽게 상하고 상황도 악화할 수 있다. 양국 언론들이 상호간에 긍정적인 부분을 많이 조명헸으면 좋겠다.
-한중수교 30년에 사회 생활 시작, 베이징 삶과 비즈니스는?
베이징 호구에 내집 마련, 행운의 70년대생
중국에서 치링허우(70后, 70년대생)는 혜택을 받은 세대라고 생각한다. 부모의 지원이 없어도 직장 생활하면서 베이징에서 주택과 차 등 재부를 마련하였다.
1990년에 입학해 베이징사범대학을 다녔는데 대학 4년 학비는 무료였다. 그땐 모든 대학생들이 국가에서 생활보조금까지 받으면서 공부했다. 경제 형편이 어려워 대학에 못다니는 학생은 거의 없었다.
대학 졸업을 하자마자 운좋게 베이징 호구(戶口, 베이징시민권)를 획득했고 주택 구입과 차량 구입, 의료보험, 사회보험 등 기본적인 사회 보장 헤택을 모두 누릴 수 있었다. 스스로 노력도 했지만 개혁개방의 초기여서 사회적으로 많은 기회를 누릴 수 있었다.
변리사로 상표권 특허 등 지적재산권 분야 비즈니스를 하고 있지만 요즘은 2019년 말 발생한 코로나19로 인해 국내와 해외 출장이 제약되고 경제 침체기가 길어지면서 관련 업무에 일정한 영향을 받고 있다.
하지만 시작이 있으면 끝도 있는 법이다. 코로나19도 언젠가는 물러갈 것이라고 확신한다. 코로나 재난이 끝나고 하루 빨리 모든 일상이 예전 처럼 정상으로 돌아 왔으면 하는 바램이다. 모두를 위해서 한중 수교 30주년이 양국간 더 큰 발전을 위한 전환점이 되기를 기원한다.
베이징= 최헌규 특파원 ch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