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GAM 주식

속보

더보기

[2022 예측] '출발은 미미하나...' 중국 A주 설 전 상승장 시동

기사입력 : 2022년01월10일 17:14

최종수정 : 2022년01월10일 18:07

중국 증시 '1월 효과' 실종, 대세는 상승장
부동산 은행주 전망 밝아, 리튬 조정후 반등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중국 증시 A주가 2022년 들어서도 영 맥을 추지 못하고 있다.

새해 초 주가가 오르는 통상적인 '1월 효과'도 올해는 실종된 분위기다. 중국 증시는 새해 첫 개장일인 4일 부터 7일까지 일주일간 상하이 지수와 선전 지수 모두 1.66%, 3.46% 하락세를 나타냈다. 창업판 지수는 일주간 6.8%나 떨어졌다.

2021년 한해 상승 랠리를 기록했던 신에너지와 반도체 제약 업종, 하반기들어 회복 조짐을 보였던 바이주(白酒, 고량주) 종목이 새해 들어 일제히 하락했다. 반면에 2021년 부진했던 부동산과 석유화학 가전 등의 섹터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 증시는 해가 바뀐 뒤 대체로 연초에 주가가 상승하는 '1월 효과'를 보여왔다. 제일재경은 하이퉁(海通) 증권을 인용해 A주는 지난 20년 동안 여덟번 만 하락했고 12차례 상승했다고 밝혔다.

올해는 새해 첫장인 4일 부터 상하이와 선전, 창업판 지수가 일제히 하락 압력을 받고 있다. 올해 1월 효과 실종은 2021년 4분기와 2022년 초 경제 하강압력과 관련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전문 기관들은 2월 설과 베이징 동계 올림픽, 3월 정책 양회 등의 이벤트가 줄줄이 이어진다며 주가 전망을 대체로 낙관적으로 점치고 있다. 중진(中金)공사는 지방 경제가 일부 회복되고 경제 지표도 호전되는 기미가 보인다며 주가 앞날을 밝게 점쳤다.

중국 매체 제일재경은 2022년 1월 한달 A주 시장에는 리스크 보다 기회가 많다고 전망했다. 안정 위주의 경제 운영과 유동성, 각종 정책 등 3대 시장 지지 요소와 저점 형성에 대한 기대감으로 투자 분위기가 개선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2022.01.10 chk@newspim.com

중국 증시 전문가들은 새해 초 영덕시대(宁德时代, 닝더스다이)를 비롯한 신에너지 종목들이 조정을 받았지만 2022년 한해에도 신에너지 태양광 섹터에는 계속해서 투자 자본이 몰려들 것으로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작년에 부진했던 은행과 부동산, 홍콩 증시 저평가 종목에서 주가 수익을 기대해 볼 만 하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소비와 면세 등 그동안 코로나19로 맥을 추지 못했던 업종도 투자 기회로 주목할 만 하다는 조언이다.

새해들어 완커(萬科, 만과)A, 산이중공업(三一重工) 중궈핑안(中國平安, 중국평안) 등 2021년 주가가 부진했던 부동산 업종과 은행 섹터의 주가가 강한 상승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거리전기(格力電器,격리전기) 메이퇀(美的) 그룹 주가도 상승했다.

화시(華西)증권은 부동산 섹터는 주식 가치가 여전히 저점에 위치해있다며 이분야 실적은 확정성이 강하고 주식 배당률이 높아 주목할 만 하다고 밝혔다. 2022년 부동산 투기 억제 정책이 지속되겠지만 안정 성장이라는 정책 목표하에 통화 정책이 대체로 완화 기조를 띨 것이라는 전망이다.

여기에다 중앙 정부가 분양 주택의 안정적인 인도를 강조하고 있어 부동산 판매도 대체로 평온하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새해 초 중국증시에서는 중기 건설 분야의 중앙 국유 기업중 중국철건(中國鐵建) 중국중철(中國中鐵) 중국전건(中國電建) 등이 주가 호조를 나타냈다.

2021년 A주 시장의 히어로로 주목을 받은 친환경 리튬 이온 전지 분야는 2022년 새해 초 큰 폭 조정을 면치 못했다. 리튬 전지 업종 대표 기업 영덕시대는 새해 들어 한주 거래일 만에 주가가 10%나 떨어졌다. 친환경 테마주 시짱광업(西藏礦業) 옌후고빈(鹽湖股份) 도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하지만 중국 A주 증시에서 스마트 투자자로 꼽히는 외국인 투자자금은 2021년 말 이후 계속해서 리튬 이온전지를 비롯한 친환경 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주목을 끌고 있다. 외국 기관들의 리튬 전지 테마주 매입은 새해 들어서도 첫 2거래일 동안 계속 이어졌다.

중신(中信)증권은 2022년 세계 리튬 전지 시장에선 수급난이 일부 해소될 것이라며 다만 앞으로는 주가 상승 동력이 제품 가격 상승보다는 실적에서 판가름 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리튬 전지 섹터는 2022년에도 여전히 투자 전망이 밝다고 점쳤다.

베이징= 최헌규 특파원 chk@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SKT 이용자 1천명, 공동손배소 예고 [서울=뉴스핌] 최수아 인턴기자 = SK텔레콤(SKT) 유심 정보 해킹 사태와 관련해 이용자 1천여 명이 SKT를 상대로 집단 손해배상 청구 공동소송을 예고했다. 법무법인 대륜은 22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소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주 또는 늦어도 다음 주 초에는 약 1000명 규모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1인당 손해배상 청구 금액은 100만원으로 전해졌다.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손계준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가 21일 오후 SK텔레콤의 유심(USIM) 정보 유출 사태 고발인 조사를 위해 서울 중구 남대문경찰서에 출석하며 입장을 밝히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은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와 보안 담당자 등을 정보통신망법 위반,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배임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2024.05.21 yym58@newspim.com 대륜은 "집단소송 신청자는 1만 명 이상이나 서류 취합까지 완료된 분들에 한해서만 1차 민사소장 접수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들은 해당 소장을 접수한 이후에도 2차 소장 모집을 계속할 계획이다.  대륜은 "역대 최대 규모의 유심정보 유출 사고로, 장기간 해킹에 노출된 정황이 있으며 피해자들은 유심 교체 등으로 현실적인 불편을 겪었다"면서 "SKT는 보안에 소홀한 반면 높은 영업이익을 유지해왔고, 지금까지도 피해 규모나 경위에 대해 충분히 밝히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러한 점을 종합하여 1인당 100만 원의 위자료 청구가 정당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또 "SKT는 고객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보호에 있어 구조적인 소홀과 의도적인 비용 감축 정황이 확인된다"고 주장했다. 공동소송이란 원고 또는 피고 혹은 그 쌍방이 여러 사람일 경우, 즉 소송주체가 다수일 경우를 의미한다. 이번 사건처럼 다수에게 피해가 발생했을 때 다수의 피해자가 함께 소송에 참여한다.  앞서 대륜은 지난 1일 SKT 유영상 대표이사와 SKT 보안 책임자를 업무상 배임과 위계 공무집행 방해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으며 전날(21일) 남대문경찰서에서 고발인 조사를 받았다. geulmal@newspim.com 2025-05-22 12:49
사진
폭스콘 "AI 데이터센터, 단계 건설"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세계 최대 전자 위탁생산업체인 대만 폭스콘이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와 함께 추진 중인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가 최대 100메가와트(MW) 규모로 단계적으로 건설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류양웨이 폭스콘 회장은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2025 컴퓨텍스 타이베이' 기조연설에서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엄청난 전력이 필요한 만큼, 단계적으로 구축할 것"이라며 "1차로 20메가와트 규모로 시작한 뒤, 40메가와트를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며, 궁극적으로는 100메가와트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프로젝트는 전날 엔비디아가 대만을 대표하는 제조 기업 TSMC·폭스콘 및 대만 정부와 함께 초대형 AI 생태계를 대만에 구축한다고 발표한 데 따른 후속 설명이다. 2024년 10월 8일 대만 타이페이에서 열린 폭스콘 연례 기술 전시회에 전시된 폭스콘 전기이륜차 파워트레인 시스템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2025.05.14 kongsikpark@newspim.com 류 회장은 "전력은 대만에서 매우 중요한 자원"이라며 "공급 부족이라는 표현은 쓰고 싶지 않지만, 이를 감안해 여러 도시를 대상으로 부지를 분산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부 시설은 대만 남서부 가오슝시에 우선 들어서며, 나머지는 전력 여건에 따라 다른 도시로 확대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류 회장의 키노트 무대 위로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깜짝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황 CEO는 "이번 AI 센터는 폭스콘, 엔비디아, 그리고 대만 전체 생태계를 위한 시설"이라며 "우리는 대만을 위한 AI 팩토리를 만들고 있다. 여기에는 대만의 350개 파트너사가 참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확보를 통해 AI 학습 및 추론 속도를 크게 높이고, 대만 내 AI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oinwon@newspim.com 2025-05-20 23:4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