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기술 전문인력으로 점검인력 재배치
빅데이터·AI 등 미래 신산업 적극 육성
[세종=뉴스핌] 임은석 기자 = 지난 50여년간 주기별 방문·대면으로 진행되면 전기안전점검이 상시·비대면·원격 점검치계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사업비용이 1491억원 절감되고 노동집약적 점검인력이 고기술 전문이력으로 재배치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전기안전관리법' 개정안이 14일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21일 공포됐다고 밝혔다.
혁신적 상시·비대면 원격 전기안전점검 체계로 전환 [자료=산업통상자원부] 2021.12.21 fedor01@newspim.com |
개정안은 지난 1974년부터 50여년간 전기안전공사 직원이 일일이 1~3년에 한번씩 방문·대면 점검 형태로 수행해왔던 전기안전점검 방식이 1인가구 증가 등 생활방식 변화,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인해 더 이상 지속되기 어려워졌기 때문에 마련됐다.
이에 전기안전관리의 실효성·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4차 산업기술을 활용해 상시·비대면 원격점검 체계로 전환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우선 원격점검 장치를 활용해 점검을 실시하는 경우 현행 정기점검 대체 또는 정기점검 시기 조정 근거를 마련했다. 원격점검 장치를 통해 측정한 데이터의 전산처리 등 효율적 관리를 위한 '관제센터'를 설치·운영한다.
법률 개정 후속조치로 2024년까지 가로등·신호등, CCTV 등 공공 전기설비 약 215만호를 대상으로 원격점검 장치를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이후 다중이용시설, 취약계층 거주 노후시설 등으로 점진적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관련 국가표준 제정, 전기재해 위험예측 기술개발 등을 위한 연구개발(R&D) 등을 통해 새로운 전기안전관리 체계를 조기 정착할 예쩡이다.
2025년 이후 원격점검 장치를 한국전력의 지능형 원격 검침망(AMI)과 연계해 시스템 고도화와 관련 인프라 등을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전기안전 원격점검 운영 및 보급계획 [자료=산업통상자원부] 2021.12.21 fedor01@newspim.com |
산업부는 원격점검 체계가 도입되면 전기설비의 소유자·거주자가 실시간 전기안전 정보를 취득할 수 있어 국민 누구나 안전관리 과정에 능동적인 참여가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전기안전점검 사업비용 1491억원(전력기금) 절감, 노동집약적 점검인력의 고기술의 검사·관리 인력으로 재배치 등을 통해 공공기관 운영 효율성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산업계 등 민간 차원에서도 원격점검 장치의 제조는 물론 통신, 플랫폼 등 다방면에 걸친 기술개발과 투자를 통해 에너지 신기술 산업이 발전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미래 전략산업인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신기술을 활용해 인공지능 전기화재 예측 서비스 등 에너지 관련 신사업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전기안전 예산절감 및 인력 재배치 [자료=산업통상자원부] 2021.12.21 fedor01@newspim.com |
fedor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