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산업 ICT

속보

더보기

"디즈니, DC 출신 한자리에" 카카오엔터, 글로벌 리더 공개

기사입력 : 2021년09월16일 17:50

최종수정 : 2021년09월16일 17:50

웹툰·웹소설 플랫폼 '타파스' '래디쉬' 이끌어
카카오엔터 글로벌 전략 리더, 500명 규모

[서울=뉴스핌] 김정수 기자 =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북미와 아세안, 중화권 등 주요 글로벌 거점에서 활약하는 글로벌 핵심 리더들을 공개한다고 16일 밝혔다.

월트디즈니컴퍼니와 DC코믹스, 워너 브라더스 등 유수의 엔터테인먼트사를 거친 리더들이 카카오엔터테인먼트 글로벌 사업을 이끌고 있어 눈길을 끈다.

올해 초 카카오엔터테인먼트에 합류한 북미 웹툰 플랫폼 '타파스'와 웹소설 플랫폼 '래디쉬' 리더들은 글로벌 콘텐츠 기업의 중진이었던 이들이 다수 포진해 있다.

[사진 제공 = 카카오]

먼저 타파스 최고 크레이티브 책임자(CCO)인 미셸 웰스(Michele R. Wells)는 20년간 노하우를 닦은 스토리 지식재산권(IP) 전문가로 월트 디즈니와 글로벌 출판사들을 거쳐 DC 엔터테인먼트 부사장을 지냈다.

올해 초 타파스 CCO로 합류해 북미 현지 오리지널 웹툰 IP의 제작을 총괄하는 한편 김창원 대표와 타파스의 비전 수립을 이끌고 있다. 미셸은 뉴욕타임즈가 선정한 어린이 도서의 저자이며 저소득층 어린이들에게 도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영리 단체 퍼스트 북(First Book)의 창립 멤버이기도 하다.

이승윤 대표의 래디쉬 최고 크레이티브 책임자(CCO)인 수 존슨(Sue Johnson) 역시 미국 최대의 지상파 방송국인 ABC 방송국에서 약 20여년간 일일 드라마 제작을 총괄한 스토리텔링 전문가다. '올 마이 칠드런'(All My Children)' '원 라이프 투 라이브(One Life to Live)' 등과 같은 유명 드라마들을 거쳤으며 일일 드라마 '왓 이프(What if)'를 통해 에미상을 수상했다.

타파스 편집장인 제이미 리치(Jamie S. Rich)는 '배트맨' '원더우먼' '슈퍼맨' 등 세계관으로 유명한 DC 코믹스의 편집장을 지냈다. 케빈 니콜라스(Kevin Nicklaus)는 워너 브라더스와 소니픽쳐스를 거쳐 현재 타파스에서 오리지널 IP의 영상화 전략과 제작을 총괄하고 있다.

이밖에도 20년간 최고재무책임자(CFO)로 활약한 래디쉬 CFO 벤 스턴버그(Ben Sternberg)는 스타트업계에서 유명한 인수합병(M&A) 전문가다. 대형은행 UBS 및 레인그룹의 투자 디렉터를 지냈고 이후엔 본인도 스타트업을 창업한 바 있다. 또한 말로리 만골드(Mallory Mangold) 타파스 마케팅 이사는 워너 브라더스, 파라마운트 픽쳐스, 소니 픽쳐스 등을 두루 거쳤다.

현재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글로벌 전략을 이끄는 리더들은 해외 자회사 인력, 해외 법인, 한국 본사 인력을 합쳐 약 500명 규모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 관계자는 "리더 대부분이 드라마성 강하고 서사가 탄탄한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프리미엄 IP와 독보적인 글로벌 네트워크의 성과, 스토리·뮤직·미디어를 아우르는 사업 포트폴리오 역량에 매력을 느껴 합류를 결정했다"며 "굴지의 엔터테인먼트사에서 이채로운 경력을 쌓은 이들의 합류로, 영화와 드라마 등으로 자유롭게 변주되는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웹툰·웹소설 IP사업은 전방위적 경쟁력을 갖추게 됐다"고 말했다.

박종철 스토리플랫폼 부문장은 "카카오의 글로벌 사업을 이끄는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더 공격적이고, 글로벌 전 지역을 아우르는 진출을 준비 중"이라며 "K스토리를 글로벌 시장에 알린다는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비전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freshwater@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홍상수·김민희, 혼외자 법적 상속권은 [서울=뉴스핌] 최문선 인턴기자 = 혼외 관계인 영화감독 홍상수(64)와 배우 김민희(43)가 아들을 출산, 법적 상속권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최근 득남한 영화감독 홍상수와 배우 김민희. 2025.04.09 yooksa@newspim.com 9일 영화계에 따르면 김민희는 최근 아들을 출산하고 현재 경기도 하남에 위치한 산후조리원에서 몸조리 중이다. 김민희에게는 첫 자녀이며, 홍상수 감독에게는 법적 아내와의 첫 딸에 이어 둘째 자녀가 된다. 김민희는 미혼이기 때문에 아들을 자신의 단독 호적에 올릴 수 있다. 2008년 호주제가 폐지되고 가족관계등록부 제도가 시행되면서 미혼 여성도 단독으로 출생 신고가 가능하다. 하지만 자녀가 홍상수의 혼외자로 등록되기 위해서는 인지 절차를 거쳐야한다. 인지는 자녀가 부친의 법률상 자녀로 인정받기 위한 과정으로, 유전자 검사 등으로 부성을 확인한 뒤 인지 청구를 통해 가족관계등록부에 등록할 수 있다. 인지 절차가 완료되면, 해당 자녀는 법적 혼인 관계에서 태어난 자녀와 동일한 법적 상속 권리를 갖는다. 기본적인 상속 비율은 배우자가 1.5, 자녀는 각 1씩의 비율로 나뉜다. 유언장이 없는 경우에는 법률혼 중의 자녀와 혼외자가 균등하게 유산을 분할받게 된다. 홍상수 감독과 김민희는 10녀전인 2015년 영화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를 통해 인연을 맺었고 홍감독은 2017년 '밤의 해변에서 혼자' 언론 시사회에서 연인 관계임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김민희는 출산 직전까지 홍상수 감독과 함께 제75회 베를린국제영화제에 참석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당시 두 사람이 공동작업한 33번째 장편영화 '그 자연이 네게 뭐라고 하니'가 경쟁 부문에 공식 초청되었고 만삭의 김민희가 동행한 모습이 포착됐다. 홍상수는 현재 법적 아내와 이혼하지 않은 상태다. 2016년 이혼 조정을 신청했지만 불발됐고 2019년 이혼 소송에서도 패소했다.   moonddo00@newspim.com 2025-04-10 09:21
사진
[서울이코노믹포럼]김현철"신남방정책 재건"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최수아 인턴기자 = 김현철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잘못된 경제 정책으로 초래된 대한민국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재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8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계속된 경제 추락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경제 전략적 안정성과 우월성 관점에서 글로벌 경제 전략을 다시 설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그는 현재 대한민국의 가장 큰 경제 위기는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라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관세를 낮추는 자유무역협정(FTA)과 같은 기존의 통상 정책으로 극복할 수 없다"며 관세 협상뿐만 아니라 방위비, 조선업, 에너지 등을 총체적으로 트럼프 정부와 협상하는 신통상 정책을 제안했다. 대중국 전략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며 '탈중국'을 선언했다. 당시 경제계와 학계는 경악하며 '탈중국은 절대 안 된다'고 경고했지만 사회는 침묵했고 결국 2023년 경제성장률 1.4%라는 수치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경제를 무너뜨렸다"고 지적했다. 신남방 정책 재건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는 자주적 신남방 정책을 버리고 한국판 인태전략이라는 종속 정책을 채택했다"며 "이제는 공급망 발상이 아니라 판매망 발상으로 바꾸는 새로운 신남방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경제 영토도 확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신남방을 중심으로 아프리카와 중남미 지역을 포함해 유럽, 호주, 캐나다, 일본 등을 대한민국의 경제 파트너로 끌어들이는 'A+1,1,1'이라는 새로운 경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정책 외에도 대한민국 지역 전략을 새롭게 설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구체적으로 ▲제조업 재활성화 ▲AI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전략 설정 ▲신기술 전략 설정 및 육성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 교수는 기존의 수출 중심 경제 모델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물론 수출은 대한민국 경쟁력의 원천이긴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한 시대가 됐다"며 "새로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수립하고 내수 경제도 활성화시키면서 대한민국을 다시 한번 글로벌 허브로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12:4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