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마켓·금융

속보

더보기

핀테크 대어 앤트그룹 A+H 상장에 관련 테마주 급등

기사입력 : 2020년07월22일 14:25

최종수정 : 2020년07월22일 14:25

A주 최대 IPO, 귀주모태 시총 추월 기대
A주 40개 '앤트 테마주' 시총 합계 343조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중국 알리바바그룹 산하 금융계열사인 앤트그룹(螞蟻集團, 구 앤트파이낸셜)이 중국본토와 홍콩 증시에 동시 상장을 추진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관련 테마주들의 주가가 들썩이고 있다.

앤트그룹이 양대 증시에 정식 상장하면 A주(중국 본토증시에 상장된 주식) 시장 역대 최대 규모의 기업공개(IPO)이자 최대 시가총액(시총)을 자랑하는 대형 우량주로 부상할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와 함께 A주 시장에 상장돼 있는 앤트그룹 관련 테마주는 물론 홍콩증시에 상장돼 있는 알리바바 테마주 또한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실제로 앤트그룹이 동시 상장 소식을 알린 다음날인 21일 A주에 상장돼 있는 앤트그룹 테마주의 주가는 급등했다. 대표적으로 신개보(新開普 300248.SZ)는 10.01%, 샹우테크(湘郵科技 600476.SH)는 10.04%, 해태발전(海泰發展 600082.SH)은 10.08%, 화수미디어(華數傳媒 000156.SZ)는 10.01%, 장강테크(長江高科 600895.SH)는 9.99%, 윤화소프트웨어(潤和軟件 300339.SZ)는 9.98%, 군정그룹(君正集團 601216.SH)은 9.94% 급등했다. 

홍콩증시에 상장된 알리바바 테마주 또한 7.63% 급등했다. 그 중 중국동향(中國動向 03818.HK)과 알리건강(阿裏健康 00241.HK)의 주가는 각각 31.76%와 13.82%이나 급등해 눈에 띄는 상승폭을 기록했다. 이와 함께 나스닥에서 알리바바(BABA)의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3.10% 뛴 254.81달러로 마감했고, 시총은 6892억 달러로 올랐다. 홍콩 증시에서도 알리바바(阿裏巴巴 09988.HK)의 종가는 257홍콩달러를 기록해 전거래일 대비  7.26% 급등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0.07.22 pxx17@newspim.com

◆ A주 최대 규모 IPO, 귀주모태 제치고 시총 1위 기대

앤트그룹은 중국 내 9억명 이상의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는 모바일 지불 결제 서비스인 알리페이(支付寶∙즈푸바오)의 성공에 힘입어 세계에서 가장 몸값이 높은 유니콘(기업가치 10억 달러 이상의 비상장사)으로 성장했다.

현재 앤트그룹은 세계 최대 머니마켓펀드(MMF)인 위어바오(餘額寶), 오픈형 금융정보서비스 플랫폼인 자오차이바오(招財寶), 자산관리 플랫폼인 마이쥐바오(螞蟻聚寶∙Ant Fortune), 개인신용평가사 즈마신용(芝麻信用), 인터넷전문 은행인 왕상은행(網商銀行∙마이뱅크), 소액대출 서비스인 마이화베이(螞蟻花唄∙Ant Credit Pay) 등을 운용하고 있는 명실상부 중국 최대 핀테크(Fintech, 금융과 기술을 결합한 서비스) 기업으로 불린다.

이번 앤트그룹의 기업공개(IPO)는 A주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구체적인 상장 일정과 목표 조달 금액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으나, 시장에서는 이번 IPO를 통해 앤트그룹이 100억~200억 달러(약 12조~24조원)의 자금조달에 나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앤트그룹은 중국 국영 석유회사 페트로차이나(中國石油 601857.SH), 중국 5대 국유상업은행 중 하나인 농업은행(農業銀行 601288.SH) 등을 넘어 A주 사상 최대 규모의 자금 조달에 나서게 되는 셈이다. 

시장에서는 앤트그룹의 기업가치를 2000억 달러(약 239조원) 정도로 평가하고 있다. 다시 말해 앤트그룹은 상장과 동시에 A주 상장사 시총 순위로 세 손가락 안에 꼽히는 기업이 될 것이라는 뜻이다. 만약, 앤트그룹 상장 첫날 주가가 50% 이상 오를 경우 현재 A주에서 최고 몸값을 자랑하는 귀주모태(貴州茅臺 600519.SH)의 시총을 위협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현재 A주 시총 3위 기업은 귀주모태, 공상은행(工商銀行 601398.SH), 중국평안(中國平安 601318.SH)으로 7월 22일 기준 시총은 각각 2조1300억 위안, 1조8100억 위안, 1조4500억 위안에 달한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0.07.22 pxx17@newspim.com

◆ 40개 A주 '앤트그룹 테마주', 시총 343조 육박

중국 증권매체 증권시보(證券時報)와 증시정보 플랫폼 수쥐바오(數據寶)에 따르면, 현재 A주에 상장돼 있는 앤트그룹 테마주는 총 40개로, 이들 종목의 시총을 합치면 2조 위안(약 343조원)에 달한다.

앤트그룹 테마주는 △직접 또는 간접 출자를 통해 앤트그룹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 △앤트그룹이 출자에 나선 기업 △앤트그룹과 합작을 추진하고 있는 기업 등 3개 종류로 분류된다. 

차이나라이프(中國人壽 601628.SH), 중국인민보험그룹(中國人保∙PICC 601319.SH), 신화보험(新華保險 601336.SH) 등 3개 보험회사는 앤트그룹에 대한 직접 출자를 통해 총 1.72%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장강테크, 자이언트 인터랙티브(巨人網絡 002558.SZ), 건강원(健康元 600380.SH) 등은 간접 출자를 통해 앤트그룹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다. 

반대로 앤트그룹이 간접 출자에 나선 기업들도 있다. 항생전자(恒生電子 600570.SH), 위녕건강(衛寧健康 300253.SZ), 낭신테크(朗新科技∙longshine 300682.SZ) 등이 대표적이다. 항생전자의 경우 앤트그룹이 20.62%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고, 위녕건강과 낭신테크의 경우 앤트그룹 자회사인 상해운흠(上海雲鑫)이 각각 5.05%와 8.64%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앤트그룹과의 업무 합작을 추진하고 있는 재통증권(財通證券 601108.SH), 창업혜강(創業慧康 300451.SZ), 우신테크(宇信科技 300674.SZ), 신통매트로(申通地鐵 600834.SH) 또한 대표적인 앤트그룹 테마주로 꼽힌다. 재통증권과는 자산관리 분야에서, 창업혜강과는 인터넷 의료시스템 개발 분야에서, 우신테크와는 클라우드 컴퓨팅 개발 분야에서, 신통매트로와는 음성인식 티켓구매 및 얼굴인식 등 알리바바가 개발한 인공지능(AI) 기술의 시범 운용을 위한 분야에서 합작을 추진 중이다. 

특히, 앤트그룹에 직접 출자한 3개 보험사를 제외하고 항생전자는 앤트그룹 테마주 중 유일하게 시총이 1000억 위안을 넘어서는 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항생전자를 비롯해 8개 종목의 앤트그룹 테마주가 이미 상반기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동항주식(東港股份 002117.SZ), 합비성건(合肥城建 002208.SZ), 가도테크(佳都科技 600728.SH) 등은 상반기 순이익이 배 가까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주가 방면에서는 우신테크와 위녕건강의 2개 종목이 올해 들어 주가 상승폭 100% 이상을 기록했다. 반면, 윤화소프트웨어와 항천정보(航天信息 600271.SH)는 올해 들어 각각 -22.71%와 -20.12%의 비교적 높은 주가 하락폭을 기록했다. 

pxx17@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카카오, '오픈AI'와 전략적 제휴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카카오가 오픈AI와 국내 기업 최초로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고, 카카오톡과 AI 에이전트 '카나나' 등 주요 서비스에 챗GPT 기술을 접목하는 등 한국형 AI 서비스 대중화에 나선다. 4일 카카오는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AI 기술을 통한 새로운 서비스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이용자 중심의 AI 서비스 대중화 청사진을 공개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키노트를 통해 AI가 가져올 일상의 혁신적 변화를 제시했다. 그는 "카카오는 모든 관계가 무제한으로 확장되는 가운데, 나만의 맞춤형 초개인화 일상이 존재하는 세상을 그리고 있다"며 "지인과 비지인의 경계를 넘어 AI 에이전트로 관계가 확장되고, 쇼핑이나 메시지 등을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넘어 나에게 적합한 초개인화된 기술이 복합적으로 수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정신아 카카오 대표와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4일 오전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카카오 미디어데이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02.04 mironj19@newspim.com 이어 "모바일 시대 카카오는 메시지, 커머스, 모빌리티, 엔터테인먼트, 금융 등 일상에서 국내 최고 플랫폼 회사로 시대의 기술을 쉽게 쓸 수 있도록 제시했다"면서 "AI 시대에도 이 가치 본질은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카카오의 핵심 가치를 강조했다. 나아가 "사용자에게 집중해 의미 있는 가치를 창출하고, 사용자가 가장 쉽게 AI를 활용하고 일상이 편리하게 하는 것이 카카오가 제공할 핵심적 가치"라며 "이를 위해 카카오는 AI 기술이 일상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경쟁력 있는 기술과 서비스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는 이러한 비전 실현을 위해 'AI 모델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을 핵심으로 내세웠다. 정 대표는 "카카오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은 단순 서비스 제공에 그치지 않고 카카오 전체 생태계를 활용해 사용자 맥락을 심도 있게 분석하는 것"이라며 "이를 위해 서비스별 특성에 맞는 최적의 AI 모델을 선별적으로 활용하고, 때로는 여러 모델을 복합적으로 조합해 최상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4일 오전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카카오 미디어데이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5.02.04 choipix16@newspim.com 또 "사용자들이 각각의 AI 모델 특성을 일일이 파악하고 선택할 필요 없이, 오케스트레이션을 통해 자동으로 최적의 결과를 받아볼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했다"면서 "이는 카카오가 가진 플랫폼 역량과 AI 기술의 결합이 만들어낸 혁신"이라고 강조했다. 카카오는 AI 에이전트 '카나나(Kanana)'를 통해 이러한 전략을 가장 먼저 구현할 계획이다. 카나나는 일대일 대화뿐 아니라 그룹대화에서도 맥락을 이해하고 적절한 답변을 제시하는 등 이용자의 관계 형성과 강화를 돕는 서비스로, 카카오는 자체 언어모델과 오픈AI의 최신 기술을 결합해 한국 이용자들에게 최적화된 AI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정 대표는 "기술적으로는 한국에서 한국 상황을 가장 잘 이해하는 카나나 모델을 자체 개발 중이고 파인튜닝을 통해 고도화하고 있다"면서 "개발자들이 모델을 활용하기 쉽도록 카카오 AI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에 AI 기술이 쉽게 적용될 수 있게 했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4일 오전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카카오 미디어데이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5.02.04 choipix16@newspim.com 또한 "모든 사용자가 안전한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자체 세이프가드를 개발해 악의적 인용이나 편향성 이슈가 없도록 AI 윤리 원칙을 작동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이날 카카오와의 협력에 대한 기대감을 전했다. 샘 올트먼 CEO는 "카카오는 기술이 일상생활을 풍요롭게 하는 방식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지고 있으며, 이용자들에게 혁신적인 경험을 지속적으로 제공해 왔다"면서 "카카오의 수많은 이용자들에게 첨단 AI를 제공하고, 이 기술을 카카오의 서비스에 통합해 이용자들의 소통과 연결 방식을 혁신하는 데 협력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 샘 올트먼 CEO는 한국 시장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하며 협력의 구체적인 방향성도 제시했다. 그는 "한국은 에너지, 반도체, 인터넷 기업 등 강력한 AI 도입 기반을 갖춘 시장으로, AI 채택률이 놀라운 수준으로,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시장이 될 것"이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카카오와 AI, 메시징에 대한 비전을 공유하고 있어 함께 탐구할 수 있는 영역이 매우 많다"면서 "생산성과 엔터테인먼트 등 모든 분야에서 협력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4일 오전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카카오 미디어데이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2025.02.04 mironj19@newspim.com AI 기술 발전과 관련해서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모델로 진전을 이루고 있으며, 작년과 비교해 운영 비용이 10배 가량 감소했다"면서 "6개월 전에는 불가능했던 것들이 이제는 가능해졌으며, GPT를 통해 수개월 걸리던 작업이 훨씬 더 빨라졌다. AI 역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비용은 지속적으로 절감되고 있어, 머지않아 GPT4가 모바일에서도 구현되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예측했다. 특히 AI 안전성에 대해서는 "AI 안전성은 나중에 생각할 문제가 아니라 개발 단계부터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로, 특히 AI 에이전트 개발에서는 안전성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며 "컴퓨터를 실제 제어할 수 있는 에이전트에서 안전은 추상적인 아이디어가 아니다"라며 "안전과 공동 프로덕트 개발은 같은 선상에서 고려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카카오와 오픈AI는 지난해 9월부터 기술과 서비스, 사업 등 다양한 범위에서 협력 방안을 논의해왔다. 카카오는 이번 협력을 통해 5000만 카카오톡 이용자를 위한 다양한 AI 서비스를 준비 중이며, 향후 한국 시장에 특화된 공동 상품도 개발할 예정이다. 오픈AI와 챗GPT 로고. [사진=뉴스핌DB] 정신아 대표는 "이번 파트너십으로 카카오는 국내에서 가장 앞선 AI 기술 환경을 확보하게 됐다"면서 "한국 시장을 깊이 이해하는 카카오와 글로벌 서비스 경험이 풍부한 오픈AI의 시너지를 통해 혁신적인 AI 서비스를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이어 "오랜 기간 축적한 플랫폼 서비스 역량을 바탕으로 이용자를 가장 잘 이해하는 개인화된 AI를 구현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고 강조했다. dconnect@newspim.com 2025-02-04 13:24
사진
'최대 9.54%' 청년도약계좌 유리한 은행은? [서울=뉴스핌] 송주원 기자 = 청년세대의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책인 청년도약계좌 2월 가입이 열렸다. 은행별로 급여통장, 카드 실적 등 조건에 따라 우대금리를 제공하기 때문에 가입 희망자들은 자신에게 적합한 조건을 따질 필요가 있다. 3일 서민금융진흥원에 따르면 청년도약계좌 2월 가입신청기간은 이날부터 14일까지다. 서민금융진흥원 CI. [사진=서민금융진흥원]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취급 은행 애플리케이션(앱)에서 신청해 가입요건 확인 절차를 거쳐 계좌를 개설할 수 있다. 이번 가입대상으로 안내받은 1인가구는 2월20일~3월14일에, 2인 이상 가구는 3월4일~14일에 계좌를 개설(영업일만 가능)할 수 있다. 취급은행은 NH농협·신한·우리·하나·IBK기업·KB국민·부산·광주·전북·경남·iM뱅크(구 대구은행) 등이다. 은행별로 기본 금리와 우대 금리 및 우대 조건이 차이가 있어 자신에게 유리한 은행이 어딘지 살펴보고 가입하는 것이 좋다.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의 예금상품금리비교 탭에서 기본 금리와 우대 금리 및 우대 조건을 비교할 수 있다. 청년도약계좌는 5년 동안 일정 금액을 내면 만기에 본인 저축액, 은행 이자와 더불어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있는 상품으로 청년의 목돈 마련을 지원하기 위해 출시됐다. 납입 금액은 월 1000원부터 70만원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월 70만원씩 5년간 적립하면 만기에 약 5000만원을 모을 수 있다. 지난 1월에는 누적 162만 명이 계좌를 개설했다.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은 데다 비과세 혜택도 받을 수 있다. 연 소득 2400만원 이하면 최고 연 6% 금리를 제공한다. 이보다 소득이 높으면 최고 연 5.5%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다. 총 급여 6000만원 이하면 정부가 기여금을 붙여주는 구조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자 모두에게 이자소득세 및 농어촌특별세 비과세가 적용된다. 정부 지원금과 비과세 혜택까지 고려하면 실질금리 수준은 더 높다. 이에 더해 올해부터 만기 때 받을 수 있는 금액이 더 늘어난다. 금융위원회는 월 최대 기여금을 기존 24000원에서 33000원으로 늘렸다. 총 급여 2400만원 이하 가입자가 월 70만원씩 5년간 가입하면 4200만원을 납입해 만기 때 최대 5061만원까지 불릴 수 있다. 연 9.54% 일반 적금에 가입한 것과 같은 수준이다. 총 급여 3600만원 이하는 만기 때 최대 4981만원, 총 급여 4800만원 이하는 최대 4956만원을 받는다. jane94@newspim.com 2025-02-03 08:5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