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라이브
KYD 디데이
중국 경제일반

[중국 핫스톡] 코로나 백신 성과에 뜨는 중국 최대 의약품 유통기업 '시노팜'

기사입력 : 2020년06월18일 16:58

최종수정 : 2020년06월29일 13:51

국약그룹 계열사, 백신 성과에 주가 뚜렷한 상승세
중국 최대 약품유통사 국약공고 건실한 실적 보여

[서울=뉴스핌] 이동현기자=중국 국영 제약기업인 중국의약그룹(中國醫藥集團·시노팜) 산하 국약공고(國藥控股·01099.HK)가 최근 '코로나 백신 수혜주'로 급부상하고 있다. 같은 그룹 내 계열사인 중국생물(中國生物·CNBG)의 코로나 백신 개발 성과에 주가가 강한 상승 기류를 타고 있는 모습이다.   

중국생물은 지난 16일 코로나 백신 임상시험에서 항체가 성공적으로 생성됐고, 참가자들에게서 부작용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발표했다. 이에 '코로나 백신 테마주'로 분류되는 국약공고의 주가는 이번 호재에 지난 17일 9.21% 껑충 뛰었다.

이와 함께 중국의약그룹 산하 5개 상장사도 강세를 보였다. 중국중약(中國中藥·00570.HK)의 17일 주가는 2.82%올랐고, 같은 날 A주시장에선 국약고분(國藥股份·600511.SH),국약일치(國藥壹致·000028.SZ),현대제약(現代制藥·600420.SH)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중국생물과 국약공고의 모회사는 국영 제약기업인 중국의약그룹(中國醫藥集團)으로, 2019년도 전체 계열사 매출은 약 5000억 위안(약 85조원)에 달한다. 이중 의약품 유통업체인 국약공고(國藥控股·01099.HK)는 중국 최대 의약품 유통업체로, 그룹 내 간판 계열사로 꼽힌다. 

◆백신 임상시험 진전, 의약품 유통업체 국약공고에 투자자 '눈 독'

'항체 100% 생생'. 중국생물기술이 베이징과 허난(河南)성에서 두 곳에서 동시에 진행한 1상~2상 코로나 백신 임상 시험에서 얻은 성과이다. 이번 임상시험은 18세~59세 연령대의 1120명의 건강한 참가자를 대상으로 실시됐고, 2차례 백신접종을 시행한 것으로 전해진다.

각 임상 시험 대상 실험군마다 접종량과 접종 시기를 달리해서 임상 시험을 전개했다. 특히 시험 첫째 날과 28일째 시험일에 접종을 시행한 임상 실험군의 참가자들은 모두 항체가 생성된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생물기술측은 2차 접종 후 안정성과 효과가 입증된 백신은 이번이 세계 최초라고 강조했다.

3상 임상시험은 해외에서도 진행될 전망이다. 중국생물측은 이미 해외 다수의 기업에서 협력을 제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약그룹은 지난 16일 코로나백신 임상 시험에서 진전 소식을 알렸다[사진=바이두]

이 같은 코로나 백신 개발 진전 소식에 같은 그룹내 계열사인 국약공고(國藥控股·01099.HK)의 주가는 껑충 뛰었다. 17일 오전장 중 주가는 한때 14% 이상 뛰었고, 최종 9.21% 상승하면서 장을 마감했다.

자본들도 국약그룹 계열사에 '눈 독'을 들이고 있다. 지난 17일 남하자금(南下資金·홍콩에 유입된 중국 투자금)이 매수한 투자금은 5849만 홍콩달러에 달한다. 앞서 J.P. 모건은 지난 10일 353만주의 국약공고의 지분을 매수하기도 했다. 또 다른 계열사인 국약고분(國藥股份·600511.SH)도 17일 상한가를 기록했고, 5월 29일부터 누적 주가 상승률은 27%를 넘어선다.

국약공고의 주력사업인 프랜차이즈형 약국, 의약품 도소매 유통, 의료기기 사업은 건실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 2019년도 매출은 동기 대비 각각 23.44% 증가한 4252억 7273만위안(약 72조원)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중 프랜차이즈 약국 사업 매출은 3373억 위안에 이른다. 순이익은 전년 대비 7.14% 늘어난 62억 5300만 위안(1조 630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국약공고의 1분기 실적은 코로나 여파에도 선방하는 모습을 보였다. 올 1분기 매출은 동기 대비 0.8% 감소한 944억 위안(약 16조원)에 이른 것으로 집계됐다.  

탄탄한 유통망은 국약공고의 핵심 경쟁력으로 꼽힌다. 2019년 연말 기준 19개 성(省)에 걸쳐 5021개의 프랜차이즈 약국 점포가 운영되고 있다. 또 전문의약품 매장은 중국 전역에 걸쳐 1183개가 영업 중이다.

국약공고 의약품 매장[사진=바이두]

각 기관들은 국약공고의 주가 전망에 대해 대체로 낙관적인 전망을 내놨다.

교은국제(交銀國際)증권은 국약공고의 투자등급을 '매수 등급'으로 설정했다. 현재 주가 수준보다 25% 가량 높은 26.5 홍콩달러를 목표 주가로 제시했다. 이 기관은 국약그룹의 백신이 더 많은 임상 과정을 필요하지만 빠른 임상 진전 추이에 대해선 높은 평가를 내렸다. 특히 코로나 재확산 조짐과 맞물려 국약공고의 의약품 유통 사업 실적이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봤다.

국태군안(国泰君安) 증권은 국약공고에 대해 '비중확대' 등급을 부여했다. 목표주가는 28홍콩달러로 제시했다. 향후 주가가 40% 가량 상승 여지가 있을 것으로 봤다. 중금공사(中金公司)도 '비중 확대' 등급을 제시했다. 목표 주가는 23 홍콩달러고 제시했고, 향후 약 10% 추가 상승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봤다.  

dongxua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푸틴, 김정은에 A-50 조기경보기 줬다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북한이 공중조기경보통제기(AWACS) 형태의 항공기를 27일 전격 공개하면서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전 북한군 참전의 대가로 김정은에게 해당 시스템을 제공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이 27일 공개한 공중조기경보통제기 형태의 사진. [사진=조선중앙통신] 2025.03.27 yjlee@newspim.com 이날 북한 관영매체인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25~26일 이틀간 무인정찰기와 자폭드론 개발과 성능시험 현장을 참관했다고 전했다. 북한은 김정은이 노동당과 군부 핵심 측근과 함께 공중조기경보통제기 형태의 항공기에 올라 내부를 돌아보는 모습도 공개했다. 김정은은 "이런 장비들은 우리 군대의 각종 정보수집 작전능력을 제고해 주고 적의 각이한 전투수단을 무력화시키는 데 충분한 위력을 발휘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을 분석해보면 동체 위에 지름 9m의 회전 레이돔(rotodome)을 장착한 특징이 드러나는데, 이는 러시아 일류신(IL)사가 만든 조기경보기 A-50(베리예프)과 동일한 것으로 파악된다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러시아 일류신(IL)사가 만든 조기경보기 A-50(베리예프). 동체 위에  지름 9m의 회전 레이돔(rotodome)을 장착한 특징이 드러난다. [사진=뉴스핌 자료] 2025.03.27 A-50은 구 소련 시절인 1974년 6월 공군에 첫 인도된 조기경보기로 IL-76 수송기 기체에 레이더시스템을 탑재한 기종이다. A-50은 길이 56.59m, 날개길이 50.5m로 순항 속도는 700km, 항속거리 6700km에 이른다. 15명의 승무원이 탈 수 있고 대당 가격은 3억3000만 달러(한화 약 4800억원) 인 것으로 알려 지고 있다. 러시아 공군이 28대 정도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우크라이나전 과정에서 일부가 격추된 것으로 보도됐다. 우리 군에서는 북한이 A-50을 도입한다 해도 당장 구형 미그기와의 합동작전에 한계가 있을 수 있지만, 한국 공군의 전투기를 정밀 추적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향후 작전계획을 변경해야 할 상황이 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 왔다. 일각에서는 푸틴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기술에 전용될 수 있는 군사정찰위성 보다 공중조기경보통제기를 김정은에게 주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북한 관영매체들은 27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5~26일 이틀 간에 걸쳐 무인정찰기와 자폭드론 개발과 성능시험 현장을 참관했다고 전했다. 사진은 김정은이 공중조기경보통제기 형태의 항공기 내부를 돌아보는 모습. [사진=노동신문] 2025.03.27 yjlee@newspim.com 북한이 공개한 조기경보통제기와 관련해 러시아가 보유한 기종을 직접 줬을 가능성과 함께 북한이 기존에 보유했던 IL-76에 레이더와 정찰 관련 시스템을 장착하는 기술과 자재·장비 지원을 러시아가 기술진 등을 파견해 수행했을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북한 자체 기술로 조기경보통제기를 개발하거나 운용한다는 건 무리일 것이란 측면에서다. 한미 정보 당국은 지난해 10월 북한이 평양 순안공항에서 IL-76으로 추정되는 항공기에 대한 개조작업을 진행 중인 정황을 파악한 바 있다. yjlee@newspim.com 2025-03-27 08:57
사진
작년 고위공직자 70% 재산 늘었다 [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지난해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관할 재산공개 대상 고위 공직자 재산이 평균 20억원을 넘어섰다. 전년도와 비교했을때 평균 약 6201만원이 늘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27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25년 공직자 정기 재산변동사항'을 공개했다. 이번 재산공개 대상자는 2047명이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27일 '2025년 공직자 정기 재산변동사항'을 공개했다. 사진은 재산변동사항 내역 책자/김범주 기자 재산 공개 대상자는 행정부 소속 정무직, 고위공무원단 가등급, 국립대학총장, 공직유관단체장, 광역·기초 지방자치단체장, 광역의회 의원, 시·도 교육감 등이다. 신고일은 지난해 12월 31일 기준이다. 국회, 대법원, 헌법재판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의 재산공개는 각 공직자윤리위원회에서 별도로 공개한다. 총액 기준으로 재산공개 대상자 중 70.3%인 1440명이 기존보다 재산이 증가했다고 신고했다. 재산 감소자는 607명(29.7%)이었다. 평균 재산금액 20억원을 신고한 재산공개 대상자가 644명(31.5%)으로 가장 많았고, 10억~20억원이 610명(29.8%), 5억~10억원이 373명(18.2%), 1억~5억원이 352억원(17.2%), 1억원 미만은 68명(3.3%) 순이었다. 현재 탄핵심판 절차가 진행 중인 윤석열 대통령의 재산신고액이 이번 재산공개 내역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공직자 재산신고 시점에 윤 대통령이 구속돼 이번 공개 대상에서는 제외됐다는 것이 인사처 측의 설명이다. 지난해 윤 대통령은 2023년 말 기준으로 74억 8112만원을 신고했다. 재산 대부분은 김건희 여사 명의였다. 공직자윤리법 제6조의3 제2항은 재산신고 대상자가 구속, 구금 등을 이유로 신고가 불가능한 경우 정기 변동 신고 유예 또는 면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지난 1월 15일부터 3월 8일까지 구속 상태로 정기 변동 신고를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다만 최근 구속에서 풀려난 윤 대통령은 오는 6월 1일까지 재산 변경 사항을 신고를 해야 한다. 중앙부처 공직자 중에서는 이북5도위원회 이세웅 평안북도지사가 가장 많은 1046억 8588만원을 신고했다. 변필건 법무부 기획조정실장은 477억 6129만원, 최지영 국제경제관리관이 410억 9040만원, 이원모 공직기강비서관은 397억 8948만원 순으로 각각 신고했다. 기초자치단체장 중에서는 조성명 서울 강남구 구청장이 가장 많은 482억 507만원을, 광역시‧도의원 중에서는 경기도 김성수 의원이 250억 836만원을, 공직유관단체 중에서는 김대진 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이 221억7715만원을 각각 신고했다. 재산 증가 원인으로는 토지·건물의 공시가액 상승과 저축, 상속 등이 꼽혔다. 지난해 개별공시지가는 전년대비 1.21%, 공동주택공시가격은 1.52%, 단독주택공시가격은 0.57%가 각각 상승했다. 반면 종합주가지수는 지난해 말 종가가 2399포인트(P)로 2023년(2655P)보다 낮았다. 고위공직자 재산 총액 상위자(단위 : 억원)/제공=인사혁신처 한편 윤리위는 재산공개 후 3개월 이내에 재산공개대상자 전원을 대상으로 재산 형성 과정 등 집중 심사할 예정이다. 거짓 기재, 중대 과실 등에 대해서는 해임, 징계의결 요구 등 조치를 취한다. 지난해 심사에서는 징계의결 요구 32건, 과태료 부과 267건, 경고 및 시정조치 1516건 등의 법적 조치가 있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간사인 천지윤 인사처 윤리복무국장은 "국민 상식에 부합하고 신뢰받는 공직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공직자의 성실한 재산등록을 지원할 것"이라며 "등록한 재산 사항에 대해서 엄정하게 심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wideopen@newspim.com 2025-03-27 00:00
안다쇼핑
`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