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보건복지부 2019년 자살예방백서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우리나라의 연간 자살자 수는 1만2463명이다. 하루에 34명이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셈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리투아니아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자살률이다. 2013년 이후 극단적 선택을 한 사람의 수는 줄고 있지만 이를 시도한 사람은 여전히 증가 추세다. 다양한 이유로 자살을 시도한 사람들은 그 뒤에도 같은 행위를 반복하거나 실제 자살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이에 뉴스핌에서는 지속적인 전문가 기고를 통해 생명존중 문화를 확산하고, 자살 예방을 위한 사회시스템 구축에 힘쓸 예정이다.
"세계보건기구(WHO)가 꼽은 가장 효과적이면서 비용이 들지 않는 자살예방정책은 '리더의 관심'이다"
올해 2월 국회자살예방포럼 1주년을 맞아 국회에서 처음으로 진행한 생명지킴이 교육에서 나온 말이다.
원혜영 국회의원 |
연간 교통사고 사망자 수의 3배에 달하는 1만2천여명이 자살로 생을 마감하고 있는 나라. 65세 이상 노인자살률이 OECD 회원국 중 압도적으로 많은 나라. 더 이상 이러한 오명이 계속되어선 안 된다는 절박함으로 지난해 여야 국회의원 39명이 뜻을 모아 국회자살예방포럼이 출범했다. 국회의 관심에 앞서 문재인 정부 역시 역대 정부 최초로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 문화 확산'을 국정과제에 포함시키고 '국민생명 지키기 3대 프로젝트'에 자살예방을 포함시켜 자살률 감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관심의 결과 자살관련 보도권고 기준 강화, 자살예방 예산 2017년 99억원에서 2019년 218억원으로 2배이상 증액, 생명지킴이 교육 100만명 이수 등의 구체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자살은 막을 수 없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적극적 정책으로 예방할 수 있는 사회적 문제라는 인식이 커지고 있다는 점에서 리더의 관심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금 절감한다.
물론 하루아침에 자살률을 줄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핀란드의 경우 세계 최초로 국가 차원의 자살예방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정책적 노력과 문화를 만들어가려는 국민적 노력을 기울인 결과 25년만에 자살률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었다.
도움이 필요한 순간 제때 적절한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계기관의 유기적 네트워크 강화가 필요하다. 병원, 응급실, 경찰, 소방서, 지방정부,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간 유기적 협조 시스템을 구축하는 게 시급하다. 국회자살예방포럼이 네트워크 구축을 촉진할 수 있도록 가교 역할을 다 하겠다.
끝으로 어디선가 자살을 고민하고 있는 이들에게 고(故) 임세원 교수(한국형 표준자살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 자살예방을 위해 헌신적으로 일해 온 정신과전문의)의 저서 「죽고싶은 사람은 없다」를 소개해주고 싶다.
임세원 교수는 그의 저서 에서 이렇게 말한다. 우울한 감정은 마치 서해의 밀물과 같다고. 때때로 밀물의 시간이 아주 길 수 있지만 우리 모두가 알고 있듯이 그것 역시 반드시 물러나게 되어 있다고. 그러므로 기다려야 한다고.
책의 첫머리에서 인용한 영국 시인 딜런 토마스의 시구처럼 '순순히 어둠을 받아들이지 말기를', 도움이 필요할 때 주저하지 않기를 바란다.
원혜영 국회의원 (국회자살예방포럼 공동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