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흔한 먹방을 넘어선 '골목식당', 서바이벌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 '미스트롯'이 성공사례를 쓰면서 예능에 새 바람이 불고 있다. 집 구하기, 세대 갈등, 갑을관계를 조명한 다양한 아이템도 이제는 예능에서 만난다.
한동안 방송사들이 몰두했던 리얼 버라이어티의 시대가 가고 먹방, 쿡방, 관찰 예능 흥행도 점점 막을 내리는 추세다. 빤한 소재로 타 예능의 성공을 답습하는 프로그램은 빠르게 사장되고 있다. 그 가운데, 새로이 떠오른 예능의 키워드는 비틀기와 새 아이템 개척이다.
◆ '골목식당'과 '미스트롯', 평범한 먹방·서바이벌 넘었다
'골목식당' 백종원은 이미 다양한 방송사와 프로그램에서 먹방, 쿡방, 맛집 소개 등 먹을 거리와 관련해 수없이 많은 아이템들을 소화해왔다. SBS에서 방영 날마다 화제가 되는 '골목식당'은 조금 다른 포인트에 착안했다. 죽어가는 지역 골목상권의 상인들에게 성공한 요리 사업가인 백종원이 직접 솔루션을 주고 상권 살리기에 이바지 한다는 게 프로그램의 기본 취지다.
그 과정에서 다양한 상인들이 등장했고, 안타까운 사연을 가진 이들도 있었지만 시청자들을 분노하게 하는 대책없는 이들도 있었다. 일부러 노이즈마케팅을 노린 것이냐는 목소리가 나올 정도였다. 덕분에 골목식당은 7~8%의 시청률을 유지하며 MBC 수요 심야예능 '라디오스타'를 누르고 동시간대 1위를 지키고 있다. 하지만 '골목식당'이 가져온 효과는 시청률 하나에 그치지 않는다. 출연자들 외에 어려움에 처한 많은 요식업자들이 방송을 통해 실제로 무언가를 배울 수 있다는 게 바로 또 하나의 '백종원 효과'다.
[사진=포켓돌 스튜디오] |
TV조선은 최근 케이블 채널 Mnet이 주도한 서바이벌 열풍의 새로운 수혜자가 됐다. 지난 2월 말부터 방송한 '미스트롯'이 무려 18.1%의 시청률로 종영하며 대한민국을 트로트 열풍에 몰아넣었다. 그동안 어린 연습생들을 대상으로 했던 서바이벌 프로그램의 주인공도 바뀌었다. 트로트라는 장르의 변주가 흥행의 비결이 됐다.
급기야 우승자 송가인은 MBC 음악방송 프로그램 '쇼! 음악중심'에도 출연하며 전국을 뒤흔든 인기를 증명했다. 앞서 JTBC에서 시도했던 크로스오버 뮤지션 서바이벌 '팬텀싱어'에 이어 새로운 서바이벌에 도전한 TV조선이 '어른들의 프로듀스101'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는 평가다.
◆ 현실과 일상의 영역으로 뻗어가는 예능, '구해줘 홈즈·가시나들'
KBS와 MBC에서는 예능 아이템으로는 생각지 못했던 다양한 영역에 도전 중이다. KBS에서 방영 중인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는 박원순 서울시장부터 이연복 셰프, 가수 타이거JK, 농구감독 현주엽, 심영순 요리연구가까지 각 분야의 성공한 리더들과 그 직원들의 '갑을관계'를 조명했다. 누구도 갑질을 의도적으로 하지 않는다는 데서 착안한 이 프로그램은 TV를 보면서 일상적으로 갑을관계에 놓인 이들의 '자발적 자아성찰'을 유도한다.
MBC에서 새로이 방영한 '가시나들'은 '가장 시작하기 좋은 나이'라는 말에서 착안해 이름을 붙였다. 나이 여든에 한글 공부를 시작한 '인생 만렙' 할머니들과 '애기 짝꿍' 위키미키 최유정, (여자)아이들 우기, 우주소녀 수빈, 이달의 소녀 이브, 배우 장동윤의 호흡을 담았다. 이 프로그램은 지난 19일 첫방송에서부터 '무공해 청정 예능'이라는 호평을 이끌어냈다. 첫 방송은 수도권 기준 3.4%로 시작했지만 분당 최고 시청률이 6.1%까지 치솟으며 흥행을 예감하게 했다.
[사진=MBC 가시나들] |
또 박나래, 김숙을 필두로 현대인들의 집 구하기를 돕는 발품 중개배틀쇼 '구해줘! 홈즈' 역시 신선한 소재로 주목받았다. 현재 일요일 심야 시간대에 6% 시청률을 유지하며 꾸준한 반응을 얻고 있다. 앞서 비슷한 시기 파일럿 예능으로 시작해 정규 편성에 실패한 타 프로그램에 비해 안정적으로 자리잡았다는 평가다.
한 방송 관계자는 "식상하거나 예전에 봤던 기획은 어떤 반응을 이끌어내기 어렵다. 먹방이나 서바이벌도 뭔가 차별화 지점이 있어야 성공한다. 모든 분야를 염두에 두고 새로운 아이템을 적극적으로 발굴하는 추세"라면서도 "하지만 새 아이템을 시도하는 것 역시 위험이 따른다. 장기 프로젝트가 아닌 파일럿, 시즌제를 고민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jyy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