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라이브
KYD 디데이
중국 기업

속보

더보기

경제를 움직이는 사람들, 중국 재계 국가 대표급 CEO

기사입력 : 2018년07월25일 17:08

최종수정 : 2018년07월27일 10:10

알리바바 장융, 텐센트 마화텅 제치고 중국 최고 CEO
부동산 기업 CEO, 불황 불구 실적 성장세 이끌어

[서울=뉴스핌] 황세원 기자=리더가 누구냐에 따라 조직은 망하기도 하고 흥하기도 한다. 기업 경영에 있어서도 이 말은 적용된다. 지난해 알리바바와 텐센트 CEO는 전략적인 통찰력과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업계 선두 지위를 굳혔고, 현지 부동산 기업 경영자는 강력한 리더쉽을 바탕으로 불황 속에서도 기업 호조세를 이끌어냈다. 중국 경제를 이끌어 나갈 현지 최고의 CEO를 살펴본다.

◆ 알리바바 텐센트 CEO, 탁월한 경영 능력 인정 받아

최근 중국 유력 매체 제몐(界面)은 ‘2018년 중국 최고 경영자(CEO) 50인’을 선정해 발표했다. 이들은 작년 글로벌 경기 침체, 중국 경제 성장 둔화 등 어려운 대내외 여건 속에서도 탁월한 경영 능력을 발휘하며 기업 성장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영예의 1위는 알리바바의 장융(張勇) CEO가 선정됐다. 장융은 2015년 루자오시(六兆喜)의 후임으로 알리바바 CEO를 맡아 전자상거래 등 주력 사업 확장에 기여했다.

장융이 이끄는 알리바바는 2017년 중국 전역에 신유통(첨단 기술 활용한 온오프라인 소매와 물류의 융합) 열풍을 일으킨데 이어 당해 경쟁사를 압도하는 깜짝 실적을 내놓아 업계 주목을 받았다.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알리바바의 매출 연평균 성장률(CAGR)은 49%로, 순이익 CAGR은 38%다.

장융(張勇) 알리바바 CEO

마화텅(馬化滕) 텐센트 CEO는 지난해 1위에서 한 계단 떨어졌지만, 여전히 2위를 고수하며 저력을 과시했다.

마화텅이 이끄는 텐센트는 최근 3년간 순이익이 44%, 주가가 158% 오르며 고성장세를 지속했다. 특히 지난해 11월에는 시가총액이 4조 홍콩달러(약 570조 원)를 돌파하는 등 이정표적인 기록을 남겼다.

2017년 텐센트 매출은 2377억6000만 위안(약 40조 원)으로 전년 대비 56%가 증가했으며 주력 사업인 게임도 매출 978억8300만 위안을 기록하며 호조세를 나타냈다.

마화텅은 게임 외에 영상, 지불결제, 클라우드컴퓨팅, 인공지능(AI), 스마트유통 등 전방위 투자를 확대하며 장기 성장 동력 모색에 주력하고 있다.

마화텅(馬化滕) 텐센트 CEO

3위는 지난해 중국 어플 업계 최고 다크호스인 모모(陌陌)의 탕옌덩(唐巖登) CEO가 선정됐다. 중국어로 낯선 사람이라는 뜻의 ‘모성런(陌生人)’의 앞글자를 딴 모모는 가까운 지역 내 이용자와 채팅할 수 있는 위치 기반 모바일 채팅 앱으로 시작해 중국 최대 데이팅 앱으로 성장했다.

탕옌덩이 이끄는 모모는 2014년 미국 나스닥에 입성했으며, 이후 생방송, 쇼트 클립, SNS 등을 차례로 장악했다. 최근 3년간 모모의 매출 CAGR은 216%에 달하며 순이익 CAGR도 384%를 기록했다. 3년간 주가 상승률은 148%에 달한다.

탕옌덩(唐巖登) 모모(陌陌) CEO

◆ 중국 소비 업그레이드에 호텔 스포츠용품 기업 CEO 승승장구

그 외 주목할 만한 중국 CEO로는 중국 대표 호텔 브랜드 화주호텔그룹(華住酒店集團)의 장민(張敏), 현지 스포츠용품 브랜드 안타티위(安踏體育, 안타스포츠)의 딩스중(丁世忠) 등이 있다. 이들 CEO가 이끄는 상장사는 중국 소비 잠재력 폭발의 최대 수혜자라는 공통점이 있다.

장민 화주호텔그룹 CEO는 전체 순위 15위에 오르며 상위권 멤버로 부상했다. 최근 중국 호텔업은 중국인 구매력 향상, 소비 업그레이드 등에 따른 관광 시장 잠재력 확대로 주목받고 있다. 이 중에서도 화주호텔그룹은 수익 모델이 안정적이고 실적이 양호해 성장성이 부각된다.

지난해 장민 CEO는 프리미엄 브랜드 쥐쯔수이징(桔子水晶) 지분 100% 인수를 결정, 브랜드 다각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화주호텔그룹 산하 브랜드 평균 입주율은 약 90%대에 달하며, 최근 3년간 화주호텔그룹 주가 상승률은 620%에 육박한다.

장민(張敏) 화주호텔그룹(華住酒店集團) CEO

30위에 오른 딩스중 안타스포츠 CEO는 탁월한 기업 경영으로 글로벌 스포츠용품 브랜드 공세 속에서도 본토 브랜드 자존심을 지켰다는 평가를 받았다.

딩스중이 이끄는 안타스포츠는 지난해 오프라인 매장을 지속적해서 확장하는 한편 온라인 판매 증가율 50% 이상을 달성하며 판매 채널 다각화에 성공했다. 그 외 아동용 스포츠용품 등 브랜드를 세분화시켜 안정적 수익 모델을 구축했다.

국내 스포츠용품 브랜드인 휠라코리아와 합작해 설립한 풀 프로스펙트(Full Prospect)도 실적 고공행진을 이어가며 안타스포츠 성장세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풀 프로스펙트 매출은 지난해 50% 이상이 증가했으며 올해 1분기에도 1474억 원을 기록, 전년동기대비 95.4%가 증가했다.

딩스중(丁世忠) 안타티위(安踏體育, 안타스포츠) CEO

중궈헝다(中國恒大, 중국헝다)의 샤하이쥔(夏海鈞), 비구이위안(碧桂員)의 모빈(莫斌) CEO는 현지  부동산 불황 속에서도 실적 호조세를 끌어내며 기업 경영에 있어 CEO 역량의 중요성을 보여줬다. 

지난해 중국헝다와 비구이위안은 판매액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주가 급등에 따라 시총도 대폭 증가했다. 최근 3년간 중국헝다와 비구이위안의 주가 상승률은 475%, 383%에 달한다.

한편 제몐은 중국 본토, 홍콩 및 미국에 상장한 4753개 중국 기업 CEO를 대상으로 순위를 선정했다. 대상 기업은 2015년 6월 30일 이전 상장사로, 대상 경영자는 최근 3년간 해당 기업 경영을 맡은 CEO다.

제몐은 최근 3년 재무현황 및 주가 실적 등을 바탕으로 CEO의 경영 능력을 분석했다. 재무현황 주요 참고 지표로 매출 CAGR, 순이익 CAGR, 평균 ROE, 평균 순이익률 등을 사용했으며 주가 실적 측정 지표로는 최근 3년간 주가 상승률을 참고했다. 또한 CEO의 최근 3년 연봉 수준 등을 고려했다.

 

 

mshwangsw@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명동성당 프란치스코 교황 애도 물결 [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프란치스코 교황이 21일(현지시간) 선종한 가운데, 국내 명동대성당에 공식 조문을 위한 분향소가 마련됐다. 조문을 하러 온 천주교 신자들은 애통한 마음을 감추지 못하며 명복을 빌었다.  22일 명동대성당 지하성당에 프란치스코 교황 빈소가 마련됐으며 이날 오후 3시부터 일반 조문이 진행됐다. 여기에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이 조문을 다녀갔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22일 오후 지난 21일(현지시간) 선종한 프란치스코 교황의 빈소가 마련된 서울 중구 명동대성당 지하성당에서 조문객들이 추모를 하고 있다. 2025.04.22 pangbin@newspim.com 이날 공식 분향소에는 염수정 추기경, 정순택 대주교, 구요비 주교, 이경상 주교를 비롯한 주교단 조문 이후 일반인들의 조문이 시작됐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공식 분향소를 찾아 분향하고 "제266대 故프란치스코 교황은 천주교회와 전 세계 신자들에게 깊은 영적 가르침과 믿음의 유산을 남기셨다"면서 "늘 겸손하고 소탈하신 모습으로 가난한 이들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사랑을 실천하신 故프란치스코 교황께 깊은 감사와 애도를 표한다"고 밝혔다. 천주교 신자인 유인촌 장관도 오후 3시 20분께 조문했다.  [서울=뉴스핌] 사진공동취재단 = 염수정 추기경, 정순택 대주교 등 서울대교구 주교단이 22일 서울 명동대성당 지하성당에 마련된 프란치스코 교황 빈소를 찾아 조문하고 있다. 2025.04.22 photo@newspim.com 적지 않은 비가 내리는 평일 낮 시간임에도 공식 분향소에는 천주교 신자들의 조문이 조용히 이어졌다. 번잡하거나 사람이 북적이지는 않았지만, 차분한 표정으로 분향소를 향하는 조문객들의 발걸음이 분주했다. 검은 복장으로 공식 분향소를 찾은 박 씨(70대, 여)는 "(교황의) 선종 소식을 듣고 마음이 아팠다. 좋은 곳으로 가셔서 이제는 평안하시길 빈다"고 애도했다. 신앙을 함께하는 이들과 동행한 그는 "예수님을 먼저 뵙고 조문하려고 한다"면서 예배당으로 들어갔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22일 오후 지난 21일(현지시간) 선종한 프란치스코 교황의 빈소가 마련된 서울 중구 명동대성당에서 조문객들이 추모를 위해 줄을 서고 있다. 2025.04.22 pangbin@newspim.com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제266대 프란치스코 교황이 선종한 가운데, 22일 서울 중구 명동성당 영성센터 건물 외벽에 교황의 사진이 걸려있다. 2025.04.22 yym58@newspim.com 또 다른 천주교 신자 김 씨(60대, 여)는 "이렇게 빨리 가실 지 몰랐다. 제겐 비보로 다가왔다. 불과 며칠 전에 공식석상에서 말씀하셨던 모습을 기억한다"면서 "그분 말씀을 하니 마음이 또 뭉클하다. 항상 가난한 이들을 돌보셨던 훌륭한 분이다. 부활절 다음날 돌아가신 게 분명 좋은 곳으로 가시리라 믿는다"고 말했다.  서울대교구 측에 따르면 이날부터 언제까지 조문을 받을 지는 결정되지 않았다. 향후 교황청에서 장례 일정을 정하면 그에 따라 조문 절차를 운영할 예정이다.  jyyang@newspim.com 2025-04-22 16:49
사진
中, 3조 미국산 쇠고기 타국산 대체중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미·중 관세 전쟁으로 인해 중국 내 스테이크 레스토랑들이 미국산 쇠고기 대신 호주산 혹은 자국산으로 대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중 양국의 관세 분쟁으로 인해 미국산 쇠고기 가격이 급등할 것을 전망하는 중국 내 레스토랑 업체들이 미국산 쇠고기 사용을 중단하고 있다고 중국 관영 환구시보가 22일 전했다. 이들 레스토랑은 호주산 쇠고기로 공급선을 전환하고 있다. 현재 미국은 중국에 145%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중국은 맞불 관세 125%를 미국산 제품에 부과하고 있다. 중국 내 미국산 쇠고기 재고는 바닥을 드러내고 있다. 수입되는 미국산 쇠고기 가격은 같은 등급의 호주산에 비해 50% 이상 비싸다. 미국산 쇠고기를 사용하던 중국 레스토랑들은 속속 미국산 사용을 포기하고 있다. 베이징의 유명 스테이크 체인인 번레이(本垒)는 "미국산 쇠고기를 사용해왔지만 이제는 호주산을 사용할 방침"이라며 "다음 달부터는 호주산 쇠고기와 소시지를 원자재로 구매해 사용할 예정이며, 돼지갈비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미국산을 사용하지 않고 캐나다산을 사용할 방침"이라고 소개했다. 중국의 대형 마트 역시 미국산 소고기 판매를 감소시키고 있다. 기존의 재고가 소진되면 미국산 소고기를 더이상 판매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지난해 미국 쇠고기의 대중국 수출액은 20억 달러(2조 8500억 원)였다. 미국산 쇠고기는 중국 내에서 주로 호텔, 고급 레스토랑 등에서 사용되어 왔으며, 높은 단가의 메뉴에 사용되어 왔다. 미국 쇠고기 수입분은 호주산, 중국산 제품으로 전량 대체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브라질산 쇠고기의 수입도 증가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워싱턴 이스턴 마킷 소고기 판매 매장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2025.03.28 kongsikpark@newspim.com ys1744@newspim.com 2025-04-22 10:0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