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여행상품 판매하는 아웃바운드 여행사는 나은 편
민관, 해외사례 참고 다양한 양질의 관광상품 개발해야
세계적으로 관광산업은 점점 규모가 커지는 황금시장이다. 2030년을 기준으로 18억명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는 관광시장은 전 세계 GDP와 고용의 10%를 차지하는 중요한 산업 중 하나다. 문제는 이웃나라 일본이 지난해 역대 최대의 관광객 입국을 자랑한 반면, 한국은 역대 최악의 역성장을 기록했다는 점이다. 지난해 입국객이 감소한 이유로는 크게 사드 보복 조치의 일환인 중국의 한국여행상품 판매금지와 북한 도발로 인한 한반도 정세 불안 등이 꼽힌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중국 전체의 한국 단체여행이 허용된다 해도 한국관광 산업이 크게 살아날 것으로 보고 있지 않다. 이들은 중국에의 지나친 의존과 서울에 집중된 지역 불균형, 획일화된 여행 콘텐츠, 관광 인프라와 인력 부족, 관광산업을 담당하는 조직 간의 엇박자 등 다양한 요소가 한국관광의 발전을 저해한다고 지적한다. 이에 뉴스핌은 한국관광의 발전을 가로막는 저해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해외사례 비교를 통해 대안을 모색하는 ‘한국관광 무엇이 문제인가’를 기획시리즈로 마련했다.[편집자]
[서울=뉴스핌] 김유정 여행전문기자 = 지난해 7월 2016년 상장사 평균시급이 공개됐다. 재벌닷컴이 코스피와 코스닥 12월 결산 1844개 상장사의 2016 회계연도 사업보고서상 평균 연봉을 기준으로 시급액을 분석한 결과, 직원 평균 시급은 2만2316원으로 집계됐다.
상장사의 평균 연봉 6516만원을 하루 8시간 기준 연간 노동시간으로 나눠 추산한 것이다. 당시 최저 시간당 급여 6470원의 3.4배 수준이다. 업종별로는 상장 정유사 직원의 평균 연봉이 작년 기준 1억594만원, 시간당 급여가 평균 3만6281원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상장 증권사가 3만454원, 자동차업(2만8353원), 전자업(2만7652원), 보험업(2만6573원), 철강업(2만6384원), 은행업(2만6260원)이 뒤를 이었다.
반면 섬유업과 여행업, 수산업, 육가공업, 연예기획업, 교육업 등의 상장사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의 평균 시급은 정유업 근로자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직원 평균 연봉과 시급이 가장 적은 업종은 섬유업(1만1112원)이었지만 상장 여행사 직원들도 시간당 급여가 1만2082원으로 겨우 꼴찌를 면했다. 지난 2013년에는 40개 업종별 평균 임금에서 꼴찌를 차지하기도 했다.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의 여행의 질을 좌우하는 가이드는 외국어가 능통한 동시에 우리나라 관광 정보까지 섭렵한 인재여야 함에도 저임금과 비정규직 등 고용불안에 여행업을 떠나고 있는 게 냉정한 현실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현지에서 가이드가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이는 방한 여행시장의 질을 낮추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한국에 대한 전문적인 정보가 없는 무자격 가이드가 설명하다 보니 ▲남대문이 화재로 타 동대문이 국보1호가 됐다 ▲크리스마스가 공휴일인 이유는 한국이 미국의 식민지이기 때문이다 ▲지하철 1호선은 중국이 파준 땅굴로 기술이 전파돼 북한이 제3땅굴을 팠다는 등의 터무니 없는 허위 사실들이 방한 외국인 관광객에 전해지고 있다.
이와 관련,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1월 22일 나종민 제1차관 주재로 관광분야 최저임금 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에는 여행업, 호텔업, 마이스(MICE), 국제회의전문용역(PCO), 카지노업, 공연관광업, 휴양콘도미니엄, 유원시설 등 관광분야 업종별 협회 및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여행업 관계자들은 이 자리에서 단시간 근로자 등 비정규직 인력이 많고 주말 및 야간근무가 많은 관광업계 특성상 인바운드(해외관광객 유치)가 더욱 어렵다는 점을 어필했다. 관광산업 생태계 등 전체 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지원정책과 우수한 정규직을 채용하고자 하나 적합한 인재가 부족하다며 양질의 전문인력 양성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문체부는 최저임금 인상이 소비 진작과 관광 수요 확대로 이어지길 바라고 국내관광 활성화 등 선순환 구조 형성을 기대한다는 원론적인 답변을 내놨다. 아울러 지난해 하반기 일자리 안정자금 등 대책 마련을 통해 지원하고 있으니 관련제도를 활용하길 바란다고 업계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대답만 늘어놨다. 정부도 업계 지원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겠다고 밝혔으나 올해 상반기가 다 지나도록 아직 이렇다 할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하나투어, 인터파크, 롯데관광, 모두투어, 노랑풍선 등 대형 여행사 20곳은 올해 1635명을 뽑은 지난해보다 240명이 줄은 1395명을 고용할 예정이다. 그래도 해외여행상품을 판매하는 여행사(아웃바운드)는 사정이 나은 편이다. 국민의 해외여행 증가로 아웃바운드 여행시장이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하는 인바운드 여행업계에 비해 시장 환경이 양호하다.
◆ 아웃바운드 여행사가 인바운드보다 잘 나가는 이유?
전 세계를 다 다루는 종합여행사가 기본인 아웃바운드 여행사는 한 지역의 수요가 줄어도 다른 지역에서 채우는 방식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반면 규모가 작고 지역별로 세분화돼 있는 인바운드 여행사는 수요에 더욱 민감하다. 예를 들어 사드 관련 중국 단체 관광객의 급감 같은 일은 중국 관련 인바운드 여행사 전부가 무너지는 결과를 낳는다.
중국관광객 대상 한 인바운드 여행사 대표는 “인바운드 여행사도 한 지역에 의존할 것이 아니라 아웃바운드 여행사처럼 종합여행사로 거듭나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며 “소규모의 인바운드 업체가 조합을 만드는 등의 협력의 지혜가 필요하고 한국을 찾을 수 있게 다양하고 특색 있는 상품 개발 역시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중국 등 특정국가에 의존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천편일률적인 방한 여행상품과 쇼핑, 옵션이 난무한 질 낮은 여행상품도 방한 한국관광 시장을 저해하는 요인이다.
이를 극복한 사례도 있다. 방한 VIP 의전투어로 알려진 코스모진투어는 DMZ(비무장지대)·JSA(공동경비구역)의 안보관광 상품을 적극적으로 개발해 VIP의 개별투어와 일반 관광객의 단체여행에 독보적인 여행사로 자리 잡았다.
[DMZ=뉴스핌] 김유정 여행전문기자 = 제 3땅굴을 둘러보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관광객들youz@newspim.com |
뉴스핌이 직접 참여해 살펴본 국적에 관계없는 외국인 대상 DMZ 반일투어 상품은 DMZ 안에서 제3땅굴체험, 도라전망대 및 도라산 역 방문 등의 일정으로 구성됐다. 반일투어에는 쇼핑, 옵션 등이 전혀 포함되지 않았고 영어가 능통한 것은 물론 한국의 역사, 문화, DMZ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숙지한 가이드가 동행했다. 미국, 영국, 호주, 중국 등 다양한 국가에서 온 관광객 40여 명이 이 투어에 참가했다.
영국에서 온 관광객은 승무원의 신분으로 한국에 방문해 잠시 짬이 나 한국에서 가장 유니크한 DMZ를 찾게 됐다며 분단현장을 직접 눈으로 볼 수 있어 신기한 경험이라고 좋아했다. 또 미국과 호주, 중국에서 온 관광객 역시 잊을 수 없는 추억으로 남게 될 여행이었다며 한류나 뷰티밖에 몰랐던 한국의 속살을 들여다 본 것 같다고 귀띔했다. 경복궁과 덕수궁 등을 방문한 적이 있다는 또 다른 미국 여행객은 특별한 매력이 많은 한국 여행이 생각했던 것보다 즐거웠다고 소감을 전했다.
최근 큰 인기를 끈 TV 프로그램인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는 여러 나라에서 온 출연진들이 다양한 국가만큼이나 개성 있는 여행을 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한국인들조차 스스로 우리나라가 이런 매력이 있는 곳인지 몰랐다는 반응을 보였다. 개성 있는 한국여행을 지켜보며 한류나 뷰티, 쇼핑만이 우리나라의 매력을 대표할 수 없다는 것을 스스로 깨닫는 시간이었다는 것이 대부분의 시청자들의 소감이었다.
인바운드 여행업계는 한 국가에 의존하는 기존 관행에서 탈피해 다양한 나라의 여행객들이 좋아할 만한 한국관광 상품을 개발해야 한다. 문체부나 한국관광공사 역시 홍콩과 일본 등 해외관광청들의 좋은 사례를 분석하고 배우려는 자세가 절실한 시점이다.
youz@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