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펀드와 기관 일임자금으로 500억 모아"
내년 기관 자금집행 늘어날 듯
[뉴스핌=이광수 기자] 문재인 정부의 기업 지배구조 개선 의지로 책임투자에 대한 시장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중소형 운용사인 하이자산운용의 사회책임투자 관련 운용자산이 7개월 새 500억원을 돌파했다.
사회책임투자는 환경(Environment)과 사회적 책임(Social Responsibility), 기업지배구조(Governance) 등 비계량적인 요소를 고려해 이른바 '착한 기업'에 투자하는 것을 뜻한다.
![]() |
2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하이자산운용은 사회책임투자 관련 운용자산으로 약 500억원의 자금을 모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이운용 관계자는 "하이사회책임투자 펀드가 출시 7개월 만에 약 350억원, 기관 일임 투자금으로 150억원을 받아 현재 500억원 수준을 운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이자산운용은 지난 4월 공무원연금 출신 최영권 대표가 취임한 이후 사회책임투자를 운용철학으로 내세우며 관련 흐름에 앞장서고 있다. 지난 5월에는 책임투자리서치팀을 조직해 설정한 '하이사회책임투자펀드'를 출시했고 지난 13일에는 업계에서 한화자산운용에 이어 업계 두 번째로 'KRX ESG 리더스 150 지수'를 추종하는 '하이 FOCUS ESG 리더스 150 상장지수펀드(ETF)'를 거래소에 상장시켰다.
업계에선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사회책임투자 관련 상품에 투자금이 유입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최근 국민연금 등 연기금과 공제회는 사회책임투자를 위한 운용사를 선정하는 등의 작업에 착수했다.
행정공제회는 전날 사회책임투자를 위한 국내 주식 운용사 선정 공고를 내고 내달 24일까지 두 곳을 선정할 예정이다. 행정공제회가 사회적책임 투자를 위해 전문 운용사를 선정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교직원공제회는 이보다 앞서 사회책임투자를 추진하기 위한 로드맵을 마련했다. 내년부터는 투자대상기업이나 운용사의 ESG 기준 준수여부 판단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오는 2019년부터는 모든 투자 의사결정에 비재무적 요소도 함께 고려할 예정이다.
국민연금은 역시 기금운용위원회 산하에 '사회적책임투자전문위원회'를 설치할 계획이다. 내년 1분기 안에 위원회 구성과 운영에 관한 세부 내용을 마련할 예정이다.
[뉴스핌 Newspim] 이광수 기자 (egwangs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