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2분기" 예상..."금리인상시 소비여력 위축"
[편집자] 이 기사는 8월 21일 오후 3시09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김선엽 허정인 기자] 청와대발 금리인상론이 모락모락 피어오르고 있다. 하지만 채권시장 참여자 대다수는 한국은행이 연내 인상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부동산 가격 상승세를 잡기 위해 금리인상 카드를 사용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인식이다.
대신 시장참여자들은 기준금리 인상 시기를 내년 1분기 또는 2분기 중으로 예상했다.
뉴스핌이 지난 17~18일 채권 펀드매니저, 애널리스트, 이코노미스트 등 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단 2명만이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예상했다. 나머지 25명(92.6%)은 올해 중 금리인상이 어렵다고 응답했다.
응답자 중 가장 많은 13명(48.1%)이 내년 1분기에 인상할 것으로 봤고, 그 다음으로 6명(22.2%)이 내년 2분기를 예상했다. 내년 하반기 이후에나 인상할 것이라는 전망도 6명이었다.
시장 참여자들은 정부가 부동산 가격 상승세를 잡기 위해 금리인상 카드를 사용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강한 거부감을 표시했다. 27명 중 20명(74%)이 '적절치 못하다'고 답했다. 부동산 하나만을 보고 금리를 움직이는 것은 위험하다는 것이 요지다.
시중은행의 한 채권 매니저는 "임금 상승 없는 기준금리 인상은 결국 가계의 소비여력을 줄이게 되고 경기를 위축 시킬 수 있다"며 "부동산 가격 안정화를 위한 기준금리 인상에 앞서 국민들의 실질소득을 높여줄 방안들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용구 신영증권 애널리스트는 "금리 변경은 대내외 거시경제 여건과 물가 등 모든 상황을 고려해야 하며, 사용하더라도 최후의 선택이 되어야 한다"며 "올해는 기존 미시정책의 효과를 지켜보며 최적의 금리 인상 시점을 모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다만 일부에선 당장은 아니어도 부동산 안정을 위한 후속 대책으로서 금리 인상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고 봤다. 특히 정책공조 차원에서 원샷 인상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외국계 증권사의 한 전문가는 "자산가격은 이자율의 함수이므로 부동산 대책을 고려해 금리를 올릴 수 있다"고 말했다.
윤여삼 미래에셋대우 애널리스트는 "미시정책 실행 이후 실질적인 대출규제를 강화하기 위해 인상을 실시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증권사 채권 운용역은 "정책공조로서 1회 인상은 가능하다고 본다"고 언급했다.
한편 북핵 리스크와 관련해선 금리 인상 요인(1명)이라기보다는 인상 억제 요인(9명)이라고 봤다. 기준금리를 올려 채권시장에서의 외국인 이탈을 막는 것은 한계가 있고 오히려 시장 안정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한 자산운용사 채권운용본부장은 "북한리스크 고조될수록 통화정책은 보수적으로 갈 수 밖에 없고 인상 가능성이 옅어진다"며 "외국인 이탈은 금리정책을 바꿔서 대응할 문제가 아니며 기준금리를 올린다고 해서 돌아오지도 않는다"라고 말했다.
한은 관계자 역시 "교과서적으로는 중앙은행이 금리를 올리면 시장금리도 오르고 외국보다 한국채 금리가 높아지면 외인이 한국채를 사겠지만 이것은 외환위기 때 이야기"라며 "외인은 보통 3, 5년 중장기물을 많이 갖고 있는데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렸을 때 단기물은 반응이 빠르지만 중장기물은 반응이 느리고 그만큼 통화정책 효과도 적다"고 지적했다.
[뉴스핌 Newspim] 김선엽 기자 (sunup@newspim.com) 허정인 기자 (jeong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