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지값 베이징 상하이는 5000만원 달해
‘대신 성묘해드립니다’ 대리 성묘 '꿀알바' 인기
[뉴스핌=홍성현 기자] “생전에는 집값 걱정, 사후에는 묘지 걱정”
올해 청명절(清明節, 칭밍제) 중국에서는 ‘묏자리’ 투기 광풍이 예년보다 훨씬 거세게 몰아쳤다. 일부 지역에서는 부동산 처럼 묘지 구매 제한령이 내려질 정도였다. 베이징, 상하이 등 대도시의 고급 묘지 매입가는 ㎡당 30만~40만위안(한화 5000만원~6500만원)에 달했다.
<사진=바이두(百度)> |
청명절은 조상의 묘를 참배하고 제사를 지내는 중국의 전통명절로, 매년 청명절을 전후로 중국 전역 묘지의 가격은 들썩이기 시작한다.
중국 묘지 매입가는 부동산과 같이 대도시로 갈수록 비싸진다. 베이징의 평균 묘지 가격은 ㎡당 3만~6만위안 정도이지만, 비싼 곳은 30~40만위안에 이른다.
베이징에서는 묘지 너비를 1제곱미터(㎡)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이를 기준으로 계산했을 때 제곱미터 당 30만위안이 넘는 고급 묘지 가격은 실제 집값을 방불케 하는 수준이다. 반려동물의 묘지조차도 비싼 곳은 1만위안을 상회한다. 상하이 지역 고급 묘지 가격도 30만위안에 육박한다.
올해 3월, 쑤저우(蘇州)에서는 쑤저우 호구(戶口 호적)를 소지한 사람만 쑤저우 묘지를 살 수 있도록 하는 ‘묘지 매입 제한령’을 내렸다. 묘지 매매를 중개해 차익을 챙기려는 외지인 매입자들을 규제로 묶어둔 것이다. 지난해 부동산 광풍으로 중국 각 도시에 부동산 구매 제한령이 내려진 상황에서 이번에는 ‘묘지 매입 제한령’이 이목을 끌었다.
이처럼 '사후 안식처'를 중시하는 중국에서는 장례서비스 시장 규모도 수천억위안(수십조원)대에 달한다. 매장(혹은 화장) 서비스는 정부에서 제공하지만 운구, 출관, 빈소 임대, 장의용품 등 기타 서비스는 민간기업에서 담당하며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장례서비스업은 수년 연속 중국 ‘10대 폭리 업종’으로 선정된 바 있다.
실제로 중국 전자상거래 사이트 타오바오(淘寶)에는 한 벌에 도매가로 십위안 정도의 수의(壽衣)가 1천위안 이상의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 가격이 10배로 뛴 것. 유명 브랜드 제품은 수의 가격이 무려 9800위안(160만원)으로 놀라움을 자아낸다.
타오바오(淘寶)에 올라온 수의 <사진=소후닷컴> |
장례는 성대하게 치러야 한다는 중국인들의 인식 때문에 장의용품을 가지고 가격을 흥정하는 일은 거의 없다. 이러한 심리를 이용해 일부 장례식장과 수의전문점이 결탁해 수의 가격을 매우 높게 설정하기도 한다.
한편, 최근 몇 년 사이 중국 젊은이들 사이에서 ‘대리 성묘’가 새로운 성묘 방식으로 떠오르고 있다. 대리 성묘는 바쁜 도시생활로 성묘할 시간 여유가 없는 중국 젊은이들이 ‘성묘를 대신 해줄 사람’을 구하고 있는 것.
중국 소후재경(搜狐財經)에 따르면 대리 성묘는 최근 90허우(90년대생) 사이에서 15분 참배에 800위안(14만원)의 돈을 벌 수 있는 ‘꿀알바’로 통하고 있다. 이렇다 보니 돈을 위해 자기 조상보다는 남의 조상에 성묘하는 젊은 대리 성묘객들이 많아지고 있다. 다만 대리 성묘 알바들은 의뢰인의 정성을 전하는데만 충실할뿐 남의 조상에게 무릎 꿇기나 곡 같은 것은 하지 않는다.
2014-2015 중국 장의사업 발전 보고서에 따르면, 매년 중국 사망인구는 약 800만명 정도로 화장과 매장의 비율은 현재 반반이다. 토지 부족으로 10년 내 중국 각 성(省)의 묘지가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관측되며, 고급 묘지 가격은 천정부지로 치솟는 상황. 묘지값 걱정 때문에 마음대로 ‘죽지 못하는’ 현실에 앞으로는 장례방식을 매장 대신 화장으로 대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청명절(清明節): 중국 전통명절 중 하나인 청명절은 ‘하늘이 점차 맑아진다’는 뜻을 담고 있다. 시기적으로는 음력으로 3월, 양력으로는 4월 5~6일 무렵에 든다. 중국에는 이날 조상의 묘를 돌보고 제사를 드리는 풍습이 있다.
[뉴스핌 Newspim] 홍성현 기자 (hyun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