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광용·김상률·김종덕 줄줄이 소환…남은건 조 장관
특검, 국조특위에 위증 혐의로 조 장관 고발 요청
[뉴스핌=황유미 기자] 박영수 특별검사팀(64·사법연수원 10기)이 '문화계 블랙리스트' 의혹과 관련해 핵심 관계자를 줄소환하면서 수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해당 의혹 핵심에 놓여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조윤선(50)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향해 특검의 수사망이 좁혀오고 있다는 분석이다.
![]() |
지난해 11월 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한 조윤선 장관. <사진=뉴시스> |
특검은 2일 송광용(64)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송 전 수석도 문화계 블랙 리스트 작성·관리에 관여한 혐의를 받고 있다.
앞서 김종덕(59) 전 문체부 장관, 정관주(52) 전 문체부 1차관, 김상률(56)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 신동철(55) 전 청와대 정무비서관, 김소영(50) 전 청와대 문화체육비서관 등도 특검에 소환돼 조사를 받았다.
블랙리스트 작성 의혹과 관련한 핵심 관계자들이 모두 소환 조사를 마치면서 이제 조윤선 문체부 장관의 특검 소환만이 남은 것으로 보인다.
조 장관은 2014년 6월에서부터 2015년 5월까지 청와대 정무수석으로 재직할 당시 정부에 우호적이지 않은 문화계 인사들의 명단인 이른바 '문화계 블랙리스트' 작성과 전달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유진룡 전 문체부 장관이 문화계 블랙리스트가 정무수석실에서 작성돼 문체부로 넘어왔다고 폭로하고, 조현재 전 문체부 1차관 역시 조 장관이 관련 사안에 대해 보고 받았을 것이라고 밝혀 조 장관의 개입 의혹은 짙어지고 있는 중이다.
문화계 블랙리스트 의혹에 대한 전방위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 특검은 이미 조 장관에 대한 수사 준비를 마친 것으로 보인다.
특검팀은 지난달 30일 국회 국정조사특위에 공문을 보내 조 장관을 청문회 위증 혐의로 고발 의결할 것을 요청했다. 조 장관은 국회 국조특위와 교육문화체육관광위 현안보고 등에 참석해 "문화계 블랙리스트 작성한 적도, 작성을 지시한 적도, 리스트를 본 적도 없다"고 혐의를 부인해온 바 있다.
이같은 고발 요청은 조 장관의 위증 혐의를 밝히는 데 자신있다는 특검의 의지로도 풀이된다.
관련자들의 소환 조사와 지난달 26일 조 장관 자택과 집무실 등의 압수수색을 통해 조 장관이 문화계 블랙리스트 작성과 지시에 관여했다는 진술과 증거 등을 상당 부분 축적했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국조특위는 박영수 특검팀으로부터 들어온 조윤선 장관에 대한 고발요청에 대해 특위 내 다른 의견이 없으면 그대로 고발한다는 계획이다.
특검팀은 고발장이 접수되는 대로 조 장관을 소환해 블랙리스트 개입 의혹을 조사할 방침이여서 조 장관의 수사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전망된다.
특검은 이르면 이번주 내에 조 장관을 김기춘 전 비서실장 등과 함께 소환할 것으로 알려졌다.
블랙리스트와 관련한 의혹의 핵심인 조 장관이 특검에 출석함에 따라 문화계 블랙리스트 작성·관리 전모가 밝혀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뉴스핌 Newspim] 황유미 기자 (hum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