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 창출과 인플레 통제 충돌
[뉴욕 = 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지난달 9년래 최저치로 떨어진 미국 실업률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에게 커다란 골칫거리라는 주장이 나왔다.
일자리 창출을 포함한 경기 부양 방안과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인상 움직임 사이에 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는 얘기다.
![]() |
채용 공고를 살피는 구직자들 <출처=블룸버그> |
2일(현지시각)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11월 실업률이 4.6%로 9년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표가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한 셈이다.
아울러 11월 실업률은 연준 정책자들의 전망치 하단을 밑도는 수치다. 지난 9월 연준은 연말까지 실업률이 최저 4.7%까지 떨어질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이 때문에 2주 앞으로 다가온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두 번째 금리인상이 확실시된다.
연준은 이미 대통령 선거 결과 발표 직후 트럼프 당선자의 재정확대 및 세금 인하 계획으로 인해 내년 금리인상을 당초 제시했던 두 차례보다 더욱 공격적으로 시행할 여지가 높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실업률이 앞으로 추가 하락할 경우 트럼프 행정부의 재정 지출 확대 및 세금 인하와 맞물려 이미 고개를 든 인플레이션이 더욱 가파르게 뛸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연준은 디플레이션 리스크에서 물가 상승 통제로 정책의 초점을 옮겨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적으로 실업률이 낮을수록 임금 및 물가의 급상승을 초래하지 않는 고용 창출의 범위는 축소되게 마련이다.
![]() |
도널드 트럼프 <사진=블룸버그> |
지난달 실업률 하락이 노동참여 인구의 감소에서 비롯된 측면이 크다는 사실을 감안하더라도 이 같은 메커니즘을 간과할 수 없다.
실업률이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상황에 트럼프 당선자가 제조업을 중심으로 고용 확대를 추진할 경우 임금 측면에서 인플레이션 압박이 거세질 것이라는 지적이다.
이미 일부 연준 정책자들은 이를 우려하고 있다. 대표적인 비둘기파로 분류되는 보스톤 연방준비은행의 에릭 로젠그렌 총재는 공격적인 금리인상이 경기 침체를 일으키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 점진적으로 금리를 올리는 정책 기조가 적절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시장 전문가들은 트럼프 당선자의 1조달러 인프라 투자와 감세, 이민 규제 강화 등 주요 정책이 경기 과열 여부의 커다란 시험대가 될 것으로 경고하고 있다.
연준 정책자들은 이미 최근 1년에 걸쳐 미국 경제가 완전 고용에 이른 만큼 앞으로 신규 일자리 창출이 둔화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하지만 이 같은 예측은 아직 현실화되지 않았고, 트럼프 당선자는 백악관 입성과 동시에 자신의 공약에 대한 발언의 수위를 조절해야 하는 난감한 입장에 처할 것으로 시장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고용 창출의 둔화와 인플레이션의 급상승 사이에서 선택을 내려야 한다는 것.
인디드의 제드 콜코 이코노미스트는 CNBC와 인터뷰에서 “최근 실업률 하락과 신규 고용 증가 추이는 트럼프 행정부에 실상 부담”이라며 “특히 임금 상승이 영속적인 경기 회복을 어렵게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뉴욕 특파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