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일주일만에 15개 과제 발표 "올해 성과 거두겠다"
[세종=뉴스핌 곽도흔 기자] "7년의 공백을 채우겠다."
해양수산부는 노무현 정부에서 이명박 정부로 넘어오면서 국토해양부로 합병됐다. 박근혜 정부에서 부활했지만 지난해 세월호 사고를 겪으며 호된 시련을 겪었다. 결국 지난 7년 동안 이렇다할 해양 정책을 세우지 못했고, 이로 인해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는 해양 경쟁에서 뒤처지는 신세가 됐다.
유기준 해양수산부 장관은 23일 취임 일주일만에 기자간담회를 갖고 해양신산업, 수산업, 선박 현대화, 글로벌 역량 제고 등 4개 분야 15개 과제를 발표했다. 당장 올해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과제부터 중장기적인 과제까지 망라했다.
특히 유기준 장관은 국정과제이자 경제혁신 3개년 계획에도 포함된 크루즈, 마리나 활성화를 강조했다.
유기준 장관은 "연내 국적 크루즈선을 1개 이상 띄우겠다"며 "여러 업체에서 관심을 가지고 문의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 |
유기준 해양수산부 장관이 23일 기자간담회에서 올해까지 국적 크루즈 선사 1개 이상을 띄우겠다고 밝혔다. |
해수부는 지난 2월 크루즈법이 국회를 통과한 뒤 국적선사 육성을 위해 금융세제지원, 인프라 구축, 국내 크루즈 저변 확대 등에 정부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크루즈를 통해 지난해 105만명의 관광객이 들어온 데 이어 올해는 120만명이 들어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여기서 1조4000억원의 경제효과를 거둘 것이라는 설명이다.
유기준 장관은 특히 선상 카지노를 내국인도 이용할 수 있도록 추진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유 장관은 "현재 선상 카지노는 내국인이 이용하지 못한다"며 "새 사업자가 들어오는데 어떤 유인이 있는지 분석해서 다시 국회와 논의해보겠다"고 말했다.
거점 마리나의 경우는 올해 안에 5개소의 민간 사업자를 선정하고 관련 서비스업체를 100개 이상 창업할 수 있게 한다는 계획이다.
유 장관은 "국내업체 2곳, 스페인 1곳이 마리나 항만에 참여의사를 밝혔다"며 "올해 안에 제정할 해양경제특별구역에 요트업체를 넣어서 집중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또 마리나 선박 대여업을 활성화해 일반 국민들도 저렴하게 요트를 이용할 수 있게 하기로 했다.
현재 레저선박은 2007년에 비해 3배(3944척→1만2985척), 조종면허는 2배(6만5758명→15만3559명) 이상 늘어났지만 인프라 확충은 미흡하다는 평가다.
유 장관은 "요트가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고급레저에 속하지만 골프처럼 활성화시키면 국민들이 요트를 통해 다도해의 천혜의 자연을 누릴 수 있다"며 "마리나가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곽도흔 기자 (sogoo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