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자 80% "위안화 약세, 올해 말까지 진정될 듯"
[뉴스핌=우수연 윤지혜 기자] 외환전문가들은 달러/위안 환율이 향후 3개월내 예상 등락 범위를 평균 6.11~6.30위안으로 제시했다.
지난 21일 달러/위안 환율이 6.20위안을 넘어서며 1년래 최고(위안화 가치 최저)치를 돌파했지만, 상반기 내 6.30위안선까지 상승 가능성을 열어놓은 셈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올해 연말 위안화 환율이 6.08위안까지 하락하는 등 하반기 중에 다시 하향 안정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24일 뉴스핌이 국내 및 외국계 은행·증권사의 외환 딜러, 이코노미스트 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문가들은 향후 3개월간(올해 2분기) 위안화 환율이 달러당 평균 6.11~6.30위안 수준에서 움직인다고 예상했다.
또한 응답자들의 80%가 올해 말에는 달러/위안 환율이 다시 하락세를 나타낼 것으로 내다봤으며, 나머지 20%는 중국 경제의 부실이 생각보다 심각하다고 보고 내년까지도 위안화 약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달러화 대비 위안화 가치는 올해 들어 2.8% 하락(위안화 환율 상승)했으며, 이는 지난 10여 년간 이어오던 절상 기조와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특히 올해 1월을 기점으로 위안화 가치는 급격하게 떨어지기 시작했다.
특히 지난 17일부터 중국 인민은행은 일일 위안화 환율 변동폭을 기존의 ±1%에서 ±2%로 확대하자 위안화 약세는 더욱 심화됐다. 환율 변동폭 확대 이후 위안화 가치는 1.3% 하락했다.
![]() |
2013년 이후 달러/위안 환율 변동 추이 |
◆전문가들 "2Q 달러/위안, 평균 6.11~6.30 위안 예상"
뉴스핌이 국내외 외환 전문가 10인에게 조사한 결과, 향후 3개월간 달러/위안 환율은 평균 6.11~6.30위안에서 움직일 것으로 전망됐다.
예측 저점 중에서 최저치는 달러당 6.00위안, 최고는 6.20위안이었으며 이중 6명의 응답자가 레인지 하단으로 6.10 위안을 전망했다. 예측 고점의 최저치는 6.15위안, 고점은 6.40위안이었다. 이중에서 6명이 레인지 상단으로 6.30위안을 제시했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중국의 불안요인이 올해 하반기 이전까지 해결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내다보고 있으나, 중국 정부의 의지에 따라 위안화는 연말로 갈수록 강세 전환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 위안화 환율 관련한 파생상품의 손해 임계점인 달러당 6.20 위안 수준도 지난 주말 돌파했기 때문에, 환율의 일방적인 상승에 대한 경계감이 살아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지난 21일, 중국 상하이 외환시장에서 달러대비 위안화 환율은 장중 한때 6.2233위안까지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3월 이후 1년래 최고(위안화 가치 최저)치다.
하나금융연구소 장보형 연구위원은 "달러/위안 환율은 6.20위안 정도가 고점이라 보고 있고 더이상 오를 여지는 없다고 본다"며 "이제는 언제 꺾이느냐가 관건이라 곧 조정이 있을 것으로 보고 빠르면 시기는 4월쯤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부산은행 이현경 과장은 "중국 정부가 이제는 부실한 금융기관, 기업들을 구조조정하는 식으로 경제정책 기조를 바꾸고 있다"며 "이러한 측면에서 위안화 약세에 힘을 더 실어주는 듯하다"고 말했다.
그는 "임계 레벨(critical level)인 달러당 6.20위안의 저항선을 뚫고 올라가면 6.30위안까지도 상승가능하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 응답자 80% "위안화 환율, 연말까지 하향 안정화"
응답자의 80%는 달러/위안 환율이 올해 말까지 하향 안정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응답자들이 제시한 올해말 달러당 위안화 가격을 평균해 본 결과 6.08위안으로 컨센서스가 모아졌다. 중국 정부의 의지는 환율 쏠림이 아닌 변동폭의 확대이므로, 당국에서 일방적인 위안화의 절하를 두고보지는 않을 것이라는 기대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정부의 주도로 지금의 경제 불안을 잘 넘긴다면, 결국 성장률이 높은 중국으로 외국 자본이 유입되고 경상흑자 기조가 유지되면서 환율 하락 재료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LG경제연구원 이창선 연구위원은 "중국이 경착륙하지 않는다면, 상대적으로 성장률이 높아 메리트가 있는 중국으로 해외자본이 유입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중국 수출의 부진이나 신흥국 통화 약세로 위안화도 절하 압력을 받는 경향이 있겠으나 중장기적으로 보면 중국의 경상수지 흑자는 여전히 유지되는 측면이 있어 환율 하락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올해 하반기까지 중국 정부 주도의 경제 구조조정이 이루어진 이후 환율이 다시 하향 안정세를 찾을 것으로 주장했다. 다만, 중국 자산관리상품(WMP)의 만기가 몰려있는 9월까지는 위안화 환율의 변동성이 크게 확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동부증권 박유나 연구원은 "올해 3분기까지 디폴트 우려가 있는 회사채들이 정리가되고 선반영돼 위안화 환율은 3분기 정도에 상승세의 정점을 찍고 이후로는 안정세를 찾을 전망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중국 경제의 국내외 불안요소가 쉽게 일단락되기는 어렵다고 보고 위안화 약세가 장기화 될 수도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외환은행 경영연구소 서정훈 연구위원은 "위안화 환율은 단기적으로는 6월까지 약세를 보이겠고, 올해 말을 지나서까지도 약세는 지속될 것"이라며 중국 경제 펀더멘털을 비롯한 불안 요인이 아직까지 해결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내부적으로도 금융 리스크가 불거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서 연구원은 "중국 내부에 있는 사람들이 중국 경제에 대해 인식하는 정도가 생각보다 심각하다"며 "대외적으로도 미국의 조기금리 인상 경계로 글로벌 달러 강세가 탄력을 받아 상대적인 위안화의 약세폭이 커질 가능성이 높고, 중국 경제 둔화에 따른 투자심리 위축으로 위안화 약세는 장기화될 것"으로 판단했다.
[뉴스핌 Newspim] 우수연 윤지혜기자 (yes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