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경제

속보

더보기

LS산전, 콩고 대통령 특사 전력 인프라 사업 논의

기사입력 : 2012년08월06일 10:09

최종수정 : 1970년01월01일 09:00

[뉴스핌=장순환 기자] 아프리카 콩고민주공화국의 대통령 특사가 6일, 경기도 안양 소재 LS산전(대표 구자균)본사를 방문해 전력인프라 사업 협력을 논의했다.

이번 방문은 지난 6월, 콩고 국영전력회사인 SNEL(La Société Nationale d’Electricité)이 발주한 200만 달러 규모의 변전소 개·보수 프로젝트를 LS산전이 수주한 이후 LS산전 T&D (Transmission & Distribution ; 송배전 시스템) 사업 부분장인 이정철 상무의 초청으로 이뤄졌다.

피델 사파리(Fidele Safari) 콩고 대통령 특사(Excellence ; 한국의 장관급 인사)와 서지 파라이 살루무(Serge Faray Salumu) KCD Global 콩고지사장을 비롯해 총 5명으로 구성된 특사단은 기기(Device)에서 T&D(송·배전) 시스템으로 이어지는 LS산전의 전력 솔루션에 대한 설명을 듣고 현재 진행 중인 변전소 프로젝트에 대한 현황을 공유했다.

LS산전과 콩고의 인연은 2009년 LS산전이 SNEL에 5000만 달러 규모의 전력장비를 납품하기로 합의하고, 같은 해 개∙보수 예정인 기존 변전소에 들어가는 전력기기 샘플을 공급하면서 처음 이뤄졌다.

이후, 샘플에 대한 시범 운영을 통해 기술력을 인정 받은 LS산전은 지난 6월 수주계약을 최종 체결함으로써, 콩고 전력 시장 진출의 첫 물꼬를 텄다.

콩고 대통령 특사단은 이번 방문에서 전력 솔루션 기술뿐만 아니라 LS산전이 보유한 태양광 시스템을 비롯한 그린 비즈니스 분야에도 큰 관심을 보여, 앞으로 이 분야 사업 확대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

피델 사파리 특사는 “현재 콩고의 전력인프라 상황이 매우 열악하여 대통령이 전력 부족위기를 극복하는 것을 최대 현안으로 인식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LS산전이 보유한 전력솔루션과 그린비즈니스 분야의 높은 기술력이 콩고의 발전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LS산전 서정민 해외영업실장은 “향후 콩고는 대통령의 적극적인 의지를 바탕으로 변전소 Turn-key 사업 및 현재 진행중인 국회의사당 신축과 더불어, 댐, 공장 등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를 추가로 발주할 계획”이라며 “콩고 정부에서 LS산전 기술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린 것은 이 시장 진출에 청신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Newspim] 장순환 기자 (circlejang@newspim.co.kr)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정부조직 개편 방식 '안갯속' [서울=뉴스핌] 윤채영 기자 = 이재명 정부의 조직 개편 발표가 오는 8월 13일로 정해진 것으로 확인됐다. 국정기획위원회는 이달 말 대국민보고를 할 계획이었지만 미뤄지면서 정부조직 개편의 구체적인 방식은 안갯속이다. 26일 뉴스핌 취재를 종합하면, 국정위는 정부 조직 개편안 등을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고하며 막바지 정리 작업 중에 있다. 개편이 유력한 기획재정부와 검찰 조직 등에 대한 추가 검토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이한주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장.2025.07.22 gdlee@newspim.com 국정위는 당초 이달 중 대국민보고 등 주요 일정을 마칠 계획이었다. 국정위의 법적 활동 기한은 60일로 오는 8월 14일까지 활동할 수 있다. 1회 한해 최장 20일까지 연장할 수 있지만 국정위는 조기에 활동을 마무리 하겠다고 했다. 국정위의 속도전에 제동이 걸린 데는 정부의 첫 조직 개편인 만큼 조금 더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와 산업자원통상부의 기후와 에너지 파트를 분리해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는 과정에서 각 부처의 반발도 나오는 점 등이 대표적이다. 또 이 대통령이 이달 말에서 내달 초 방미 일정이 잡힐 수 있다는 점도 정부조직 개편이 늦어진 배경인 것으로 전해졌다. 1차 정부조직 개편안에는 기재부의 예산 분리 기능과 검찰청 폐지가 담길 것이 유력하다. 조승래 국정위 대변인은 앞서 "기재부 예산 기능을 분리하는 것과 (검찰청의) 수사와 기소 분리는 공약 방향이 명확하다"고 말했다. 기재부 조직 개편은 ▲예산 편성 기능을 분리해 과거의 기획예산처를 되살리고 나머지 기능은 재정경제부로 개편하는 안 ▲예산처가 아니라 재무부를 신설하는 안 ▲기재부 내에서 기능을 조정하는 안 등이 거론돼 왔다. 이 방안들을 놓고 국정위는 검토하고 있다. 현재는 기획재정부를 기획예산처와 재정경제부로 나누는 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국정위는 초안 등과 관련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는 상황이다. 검찰청 폐지 골자의 검찰 조직 개편안도 이번 조직 개편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여당에서는 검찰의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하는 내용의 '검찰개혁 4법'을 발의했다.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발의한 법안에는 검찰 권력의 핵심인 기소권은 법무부 산하에 공소청을 신설해 여기로 이관하는 내용이 담겼다. 수사권은 행정안전부 산하에 중대범죄수사청을 신설해 이곳으로 넘기기로 했다. 다만 수사권을 행안부 산하에 둘지 법무부 산하에 둘지를 두고는 여권 내에서도 이견이 있어 더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개편 방안을 놓고도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금융위 해체 차원의 '금융위 정책과 감독 기능 분리' 조직 개편안이 유력했다. 그러나 최근 여당에서 기획재정부 내 국제금융 업무를 금융위로 이관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하며 '금융위 존치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금융위 해체론에 제동이 걸렸다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이 역시도 오리무중인 상황이다. ycy1486@newspim.com 2025-07-26 07:00
사진
특검, 한덕수 자택·총리공관 압수수색"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내란특검팀이 24일 국무총리 서울공관에 대한 압수수색에 들어갔다. 국무총리실은 이날 문자 공지를 통해 특검팀의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검은 이날 한덕수 전 총리 자택 압수수색에도 나섰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내란 특검 사무실에서 조사를 마치고 차량으로 이동하고 있다. 2025.07.02 leehs@newspim.com 한 전 총리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계획을 알고도 이를 묵인 또는 방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검은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한 전 총리 등을 다시 조사한 뒤 구속영장 청구 여부 등을 검토할 전망인 것으로 알려졌다. sheep@newspim.com 2025-07-24 13:5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