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의 심층적 변화 반영
[뉴스핌=이은지 기자]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임금상승률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이는 경기가 크게 둔화되고 있는 데도 기업들이 필요한 노동력을 구하지 못할 정도로 노동력의 공급이 부족한 상황 때문인데, 이로 인해 중국은 정치적 불안정을 유발하지 않고서도 경기 둔화와 외제에 대한 소비자들의 욕구 증대에도 적응해 나갈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15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의 조사 결과 1분기 도시 가계의 임금소득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나 증가했고. 이주 노동자의 경우 14.9%의 임금 상승률을 기록했다.
또 중국 노동부의 조사에 따르면 1분기 91개 도시의 노동력 수요와 공급 비율을 보여주는 구인비율이 사상 최고치에 도달하는 등 실업이 크게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중국의 타이트한 고용시장 여건은 위기 이후 고실업으로 고통받는 미국과 유럽 등 서구 국가들과는 대조적인 특징이며, 또한 중국 정부가 2009년처럼 막대한 재정투입을 통한 부양정책에 나서지 않고 있는 배경이기도 하다고 WSJ는 지적했다.
1분기 말 기준 중국의 공식 실업률은 4.1%로 나타났다. 그에비해 미국의 6월 실업률은 8.2%, 유로존의 5월 실업률은 11.1%를 기록했다.
국가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중국 민간 제조업 회사의 임금 수준은 지난 2009년에 5% 증가하는데 그쳤지만, 2010년에는 16%, 2011년에는 20%나 급증했다.
지난 2009년 당시에는 세계무역이 급격히 무너지면서 중국 동부 연안 지역에서 2000만 명 넘게 실업자가 발생하는 등 사회불안 요인이 대두된 바 있지만, 지금은 사정이 다르다. 올해 상반기 동안 600만 명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됐고, 이민노동자의 수도 증가했다.
물론 가파른 임금상승은 중국의 초기 성장을 이끌었던 경쟁력을 떨어뜨리고 수출 경제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보스턴컨설팅그룹(BCG)에 따르면 올해 중국 근로자의 임금 수준은 노동생산성 격차를 감안할 때 멕시코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서비스부문의 비중이 확대되고 내수의 역할이 커지는 고임금 경제로 이행하는 것이 직선적으로 이루어지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금융과 통신 등 주요 서비스부문에 대한 개방을 통한 경쟁력 제고와 같은 어려운 정책적 결단이 요구될 수 있는데, 이런 결정은 국영기업과 정부 등과 같은 강력한 이해세력과 충돌할 수 있어 그 실행에 오랜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어쨌거나 중국 경제의 빠른 변화는 중국과 연계된 나라들의 수출 전망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그 동안 수혜를 봤던 원자재 쪽보다는 소비재 쪽이 더 유망해질 수 있다는 얘기다.
과거 중국이 급속하게 경제성장을 하는 과정에서 주요 수혜국들은 원자재 수출국들이었다. 철광석 광산이 풍부한 호주, 고급 기계류 제작의 선두주자인 독일 등이 그들이다. 그러나 미래에는 미국과 유럽 등 고품질 소비재를 생산하는 국가들이 더욱 이익을 보게 될 것이란 전망이다.
한편, 중국의 고임금 시대로 이행은 인구학적인 변화와 정책에도 영향을 받았다.
이미 중국은 인구학적 변화에 따라 경제활동인구의 규모가 고점을 지났으며 앞으로 계속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매년 수백만 명의 젊은 노동력 인구를 수용하기 위해 연평균 10%대의 고성장이 필요했지만 지금은 경제활동인구 홍수가 줄어들어 점차 서비스 부문 성장에 보다 집중할 수 있는 상황이 되고 있다.
중국은 1980년대 시행된 중국의 한자녀 정책으로 향후 중국의 노동 가능 인구가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는 데다가 농촌 지역에서 도시 공장으로 옮겨오는 이주노동자의 수도 줄고 있다.
이 같은 변화가 중국의 성장률이 두 자릿수에서 7% 중반까지 둔화되었는 데도 실업이 크게 발생했다는 소식이 들리지 않고 있는 이유를 설명해 준다. 또한 이는 중국의 잠재성장률 또한 7%~8% 수준까지 하락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지적이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중국 기업들은 점차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첨단기술에 투자해야 하는 상황에 도달하고 있다. 근로자만 충원하면 다 되던 시절이 지나고 있다는 얘기다.
중국 고용시장의 회복탄력 배경은 인구학적 변화에서 극명하게 드러난다. UN 통계자료에 따르면 2005년에는 중국의 15~19세 인구가 총 1억 2070만명이었던 반면 2010년에는 1억 530만명, 2015년에는 9490만명으로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다.
또한 중국국가통계국에 따르면 농촌에서 도시 근로자로 이동할 태세가 된 인구의 규모가 2010년에는 2억 4220만 명에서 2011년에 2억 5280만 명으로 4.4% 증가하는 등 그 증가 속도가 크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CEIC, 중국국가통계국, UN 인적자원및사회보장부. WSJ에서 재인용 |
▶ "왕의 귀환" 주식 최고의 별들이 한자리에 -독새,길상,유창범,윤종민...
▶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Newspim] 이은지 기자 (sopresciou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