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글로벌

속보

더보기

美증시, '골드만'을 조정 구실로 삼나

기사입력 : 2010년04월19일 07:25

최종수정 : 2010년04월19일 07:25

[뉴스핌=김사헌 기자] 이번주 미국 증시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골드만삭스 기조 사태를 조정의 빌미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특히 이번 SEC의 소송이 다른 은행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것인지 여부가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이며, 이 가운데 민주당이 추진하는 금융규제 개혁이 가속화될 수 있어 주목된다.

또 본격적으로 개시되는 기업들의 실적 발표는 투자자들의 높아진 눈높이를 맞춰야 하고, 그리스 사태는 아직 불확실성 속에 의문의 꼬리를 남기고 있다.


◆ 골드만 기습 폭발, 금융산업 전반으로 불똥 튈까

17일자 로이터통신(Reuters)는 하버포드트러스트의 수석투자전략가인 행크 스미스가 "SEC의 골드만삭스 고소 사태는 향후 골드만삭스 뿐 아니라 금융산업 전반에 대한 규제 우려를 낳을 가능성이 있다"는 논평을 내놓았다고 전했다.

이 경우 투자자들은 엄격한 금융규제가 미래 금융 위기 발생 가능성으로부터의 적절한 보호 없이 은행의 수익성만 잠식하지 않을까 우려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마켓와치(MarketWatch)의 경우 애디슨캐피털그룹의 마이클 처치 대표가 "그 동안 조정 구실을 찾던 증시에게는 좋은 일"이라고 언급했다고 전하면서도, 시장이 좀 더 겸허하게 상황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충고했다고 전했다.

거시지표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금융시장은 앞으로 미국 상원에서의 금융개혁 법안에 대한 표결 진행 전망에 주목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주 해리 리드 민주당 상원 대표는 이번주에 최종 법안이 도출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4500억 달러에 이르면 장외파생상품 시장에 대한 규제 초안이 노출되었는데, 여기서는 대형은행에 대한 보다 엄격한 규제를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골드만삭스에 대한 고소 사태는 좀 더 강한 감시와 규제가 필요하다는 쪽에 힘을 실어주는 요인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는 점에서, 월가에는 우호적인 재료가 되기 힘들어 보인다.

의회는 주로 금융 위기를 촉발할 수 있는 위험한 금융영업에 대해 억제하자는 입장인데, 일부 전문가들은 이 같은 규제 강화가 꼭 정답은 아닐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충분히 규제가 되지 않은 것이 문제가 아니라, 규칙이나 규제 담당자들이 책임을 다하지 않은 것이 문제라는 것이다.


◆ 실적: 높아진 시장의 기대치

한편 미국 증시 랠리 이후 어닝시즌 앞에서 높아진 시장의 눈높이를 맞추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 3월초 이후 8% 가량 상승한 S&P지수는 지난 주말 급락하면서 주간으로 약보합을 기록했다. 6주 연속 랠리가 종료되는 순간이었다.

LPL파이낸셜의 버트 화이트 수석투자전략가는 "어닝시즌 직전에 랠리를 보인 뒤 시즌 개시 후 2주째에 조정받는 것은 벌써 세 번째 반복되면서 '데자부' 양상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이번주에는 다우지수 구성 기업들 중 11곳이 실적을 발표하고, S&P500 기업들 중에서는 무려 123곳의 실적이 나올 정도로 실적의 홍수 사태가 전개되기 때문에 부담이다. 이들 기업이 예상보다 강력할 실적을 내놓더라도 이미 S&P지수가 지난해 3월 기록한 12년래 최저치에서 76%나 급등한 상황이라 추가 주가 상승을 이끌 정도는 아닐 것으로 보인다.

이미 지난주 예상보다 양호한 실적을 발표했으나 최고 낙관적인 전망치에는 미치지 못했다는 이유로 매도 압력에 노출된 구글이 대표적인 사례다. 구글은 지난 주말 7.6%나 급락했다.

맥긴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의 대표인 버니 맥긴은 "주요 기업들에 대해 낙관적으로 판단하고 있지만 이미 이런 판단은 오래전부터 내린 것이라 이제는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 거시지표 일정은 빈약. 전망은 낙관적

미국 거시지표 발표 일정은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 3월 생산자물가지수(PPI)와 주택판매, 내구재주문 그리고 주초 발표되는 경기선행지수 정도가 주목된다.

선행지수는 2월 소폭 상승한 뒤에 3월에는 1.0% 개선 양상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PPI는 0.4% 상승하면서 지난 2월의 0.6%보다는 완만해질 것으로 판단된다. 근원지수는 2월과 같은 0.1%에 머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3월 기존주택매매 규모는 연율 528만호로 2월보다 26만호 증가세를 기록할 것으로, 신규주택판매 역시 연율 30만 8000호에서 33만호로 늘어날 것으로 각각 기대된다.

주간 신규실업수당청구 규모는 48만 4000건에서 46만 건으로 2만 4000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내구재주문은 0.3% 늘어나 2월 증가세에 비해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주 어닝시즌의 주포는 첨단기술 면에서는 IBM과 마이크로소프트이며 금융 면에서는 씨티그룹과 골드만삭스, 모간스탠리 그리고 트래블러스 등이다.

◆ 미국 주요기업 실적 발표 일정
(업체명, 해당분기, 컨센서스, 전년동기 순서. 단위= 미국$)

- 4월 19일 (월)
IBM 1Q 1.93 1.70
CitiGrp 1Q 0.00 - 0.18
Lilly (Eli) 1Q 1.10 1.20

- 4월 20일 (화)
US Bancorp 1Q 0.34 0.24
Johnson & Johnson 1Q 1.27 1.26
Gilead Sciences 1Q 0.96 0.66
Apple 2Q 2.43 1.79
Bank of NY Mellon 1Q 0.53 0.53
UnitedHealth Grp 1Q 0.69 0.81
Coca-Cola 1Q 0.74 0.65
Goldman Sachs Grp 1Q 4.01 3.39

- 4월 21일 (수)
Abbott Labs 1Q 0.80 0.73
Wells Fargo 1Q 0.42 0.56
Freeport-MCM Cpr & Gld 1Q 1.92 0.11
QUALCOMM 2Q 0.56 0.41
Morgan Stanley 1Q 0.57 - 0.57
AT & T 1Q 0.54 0.53
Boeing 1Q 0.65 0.87
McDonald's 1Q 0.96 0.83
Altria Grp 1Q 0.41 0.39
eBay 1Q 0.41 0.39
EMC 1Q 0.24 0.16
United Technologies 1Q 0.90 0.78
Amgen 1Q 1.24 1.08

- 4월 22일 (목)
Verizon Comm 1Q 0.56 0.63
Amer Express 1Q 0.63 0.32
Amazon.com 1Q 0.62 0.41
PNC Fin'l Svcs 1Q 0.54 1.03
Philip Morris Intl 1Q 0.93 0.74
Union Pacific 1Q 0.94 0.72
PepsiCo 1Q 0.75 0.71
Microsoft 3Q 0.42 0.39
Baxter Int'l 1Q 0.93 0.83

- 4월 23일 (금)
Honeywell Int'l 1Q 0.47 0.54
Schlumberger 1Q 0.61 0.78

※출처: 톰슨퍼스트콜, 배런스온라인에서 재인용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여론조사] 尹 지지율 3%p 하락한 32.2%…"채상병 특검법 재공방 등 영향" [서울=뉴스핌] 김승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지난 조사 대비 소폭 하락하며 30%대 초반을 기록한 여론조사 결과가 27일 발표됐다. 종합뉴스통신 뉴스핌의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업체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24~25일 이틀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물은 결과 윤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한 긍정 평가(잘하는 편+매우 잘함)는 지난 조사(35.2%) 대비 3%포인트(p) 하락한 32.2%로 집계됐다. 부정평가(잘못하는 편+매우 못함)는 62.2%→65.3%로 3.1%p 상승하며, 긍·부정 격차는 지난 조사 대비 27.0%p→33.1%p로 격차가 벌어졌다. 성별로 남성은 긍정 29.2%, 부정 69.2%, 여성은 긍정 35.3%, 부정 61.4%다. 연령별로 만18~29세는 긍정 25.2%, 부정 72.3%다. 30대는 긍정 26.8%, 부정 72.2%, 40대는 긍정 18.0%, 부정 80.4%로 가장 낮은 지지율 나타냈다. 50대는 긍정 29.1%, 부정 69.5%, 60대는 긍정 43.5%, 부정 54.3%, 70대 이상은 긍정 54.2%, 부정 39.2%다. 지역별로 서울은 긍정 29.5%, 부정 67.6%, 경기·인천은 긍정 29.5%, 부정 68.7%다. 대전·충청·세종은 긍정 32.8%, 부정 67.2%, 강원·제주는 긍정 36.8%, 부정 60.7%다. 부산·울산·경남은 긍정 35.8%, 부정 63.6%, 대구·경북은 긍정 46.6%, 부정 47.6%다. 광주·전남·전북은 긍정 24.3%, 부정 69.7%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윤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종부세 폐지·상속세율 인하 예고 이후 국정 지지세가 회복될 것으로 예상했으나 청년층과 40대의 취업률 저하 등 체감 민생경제가 악화됐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이어 "의정 갈등에 따른 의료 공백 장기화, 한동훈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의 제3자 추천 채상병 특검법 발의 발언으로 인한 공방, 소련 해체 후인 1996년에 폐기됐던 자동군사개입 조항이 사실상 부활한 러시아-북한 간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 체결로 안보 불안 등이 지지율을 하락하게 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 할당 추출 방식으로 추출된 표본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100%) ARS 전화조사 방식으로 실시했으며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2.9%다. 통계보정은 2024년 1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기준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 값을 부여(셀가중)했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kimsh@newspim.com 2024-06-27 06:00
사진
친족간 재산범죄 처벌 가능해진다...‘친족 상도례’ 헌법 불합치 결정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8촌 내 혈족이나 4촌 내 인척·배우자 간 발생한 절도·사기죄 등 재산범죄에 대한 형을 면제하는 '친족상도례' 조항은 헌법에 위배된다는 헌법재판소 판단이 나왔다. 헌재는 27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재 대심판정에서 형법 제328조 제1항에 대한 위헌확인 소송 4건을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다.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이종석 헌법재판소장을 비롯한 재판관들이 30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헌정사 최초 '검사 탄핵' 사건인 안동완 부산지검 검사 탄핵사건을 비롯해 종합부동산세, KBS 수신료 분리 징수, 양심적 병역거부자 등에 대한 대체복무역 관련 헌법소원 등의 선고를 앞두고 재판정에 자리해 있다. 2024.05.30 choipix16@newspim.com 형법 제328조 제1항은 '직계혈족, 배우자, 동거 친족, 동거가족 또는 그 배우자 간의 제323조의 죄는 그 형을 면제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지적장애 3급의 장애인인 청구인 김모 씨는 삼촌 등을 준사기, 횡령 혐의로 고소했다. 하지만 검찰은 그에게 청구인의 동거 친족으로서 형면제 사유가 있다는 이유로 공소권 없음 불기소처분을 내렸다. 아울러 횡령 혐의로 계부를 고소한 또 다른 청구인 김모 씨, 파킨슨병을 앓고 있는 부친을 대리해 업무상횡령 혐의로 부친의 자녀들을 고소한 장모 씨, 어머니 명의 예금을 횡령한 혐의로 동생과 그 배우자를 고소한 청구인 최모 씨도 모두 비슷한 이유로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 이에 김씨 등은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했다. 친족상도례는 과거 가정 내부의 문제는 국가형벌권이 간섭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정책적 고려와 함께 가정의 평온이 형사처벌로 인해 깨지는 것을 막기 위해 도입됐다. 헌재는 "심판대상조항은 실질적 유대나 동거 여부와 관계없이 적용되고, 또한 8촌 이내의 혈족, 4촌 이내의 인척에 대해 동거를 요건으로 적용된다"며 "이처럼 넓은 범위의 친족간 관계를 일반화하기 어려움에도 일률적으로 형을 면제할 경우, 경우에 따라 형사피해자인 가족 구성원의 권리를 일방적으로 희생시키는 것이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심판대상조항은 강도·손괴죄를 제외한 다른 모든 재산범죄에 준용된다"며 "이러한 재산범죄의 불법성이 일반적으로 경미해 피해자가 수인 가능한 범주에 속한다거나 피해의 회복 및 친족간 관계의 복원이 용이하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피해자가 독립해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사무 처리능력이 결여된 경우 심판대상조항을 적용 내지 준용하는 것은 가족과 친족 사회 내에서 취약한 지위에 있는 구성원에 대한 경제적 착취를 용인하는 결과를 초래할 염려가 있다는 것이다. 헌재는 "그런데 심판대상조항은 이같은 사정들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법관으로 하여금 형면제 판결을 선고하도록 획일적으로 규정해, 대부분의 사안에서는 기소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이에 형사피해자는 재판절차에 참여할 기회를 상실하고, 기소가 되더라도 '형의 면제'라는 결론이 정해져 있어 형사피해자의 적절한 형벌권 행사 요구는 실질적 의미를 갖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끝으로 헌재는 "심판대상조항의 위헌성은 일정한 친족 사이의 재산범죄와 관련해 형사처벌의 특례를 인정하는 데 있지 않고, '일률적으로 형면제'를 함에 따라 구체적 사안에서 형사피해자의 재판절차진술권을 형해화할 수 있다는 데 있다"고 판시했다. 헌재는 심판대상조항에 대해 단순 위헌결정을 하는 대신 헌법불합치결정을 선고하면서 그 적용을 중지해 내년 12월 31일까지 개선입법 기한을 뒀다. 개선입법이 이뤄지지 않으면 해당 조항은 2026년 1월 1일부터 효력을 상실한다. 한편 이날 헌재는 형법 제328조 제2항은 헌법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판단도 내렸다. 형법 제328조 제2항은 '제1항 이외의 친족간에 제323조의 죄를 범한 때에는 고소가 있어야 공소를 제기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헌재는 "심판대상조항은 피해자의 고소를 제한하는 규정이 아니고, 피해자의 의사와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수사나 기소가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라며 "피해자가 사건 재판절차에 증인으로 출석해 의견을 진술하는 등 법관에게 적절한 형벌권을 행사해 줄 것을 청구하는 절차적 권리가 제약된다고 볼 수 없다"고 판시했다. 그러면서 "심판대상조항은 가족의 가치를 중시하는 우리나라의 역사적·문화적 특징 등을 고려해 일정한 친족 사이에서 발생한 재산범죄의 경우 피해자의 고소를 소추조건으로 정해 피해자의 의사에 따라 국가형벌권 행사가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합리적 이유가 있다"고 부연했다. hyun9@newspim.com 2024-06-27 15:48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