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하나, 올해 실행분 제한
신한·우리도 중단 가능성 높아
[서울=뉴스핌] 남정훈 기자 = 올해 시중은행들이 가계대출 총량 관리에 잇달아 실패하면서, 연말로 갈수록 대출 문이 더욱 좁아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일부 은행은 이미 비상조치를 발동해 주택담보대출 등 주요 상품의 접수를 제한하거나 중단한 상태다.
금융권에 따르면 23일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액(정책금융 제외)은 올해 1월부터 이달 20일까지 총 7조8953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금융당국에 제출한 연간 증가 한도 목표치인 5조9493억원을 무려 32.7% 초과한 규모다.
![]() |
| 한 시중은행 대출 창구에서 직원과 고객 사이 상담이 이뤄지고 있다. [사진=뉴스핌DB] |
금융당국은 지난 6·27 부동산 대책을 내놓을 당시, 가계대출 확산을 막기 위해 각 은행에 하반기 가계대출 증가 목표를 연초 계획의 절반 수준으로 줄여 제출할 것을 요구했다. 은행권은 이에 맞춰 목표치를 다시 설정했지만, 11월 하순 기준 실제 증가 규모는 이미 새롭게 조정된 목표를 크게 웃돌고 말았다.
4대 은행 모두 개별 총량 목표를 이미 초과한 가운데, 은행별 초과율은 최저 9.3%에서 최고 59.5%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범위를 5대 은행으로 넓히면, NH농협은행만이 유일하게 아직 증가액이 목표치에 도달하지 않아 연말까지 총량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총량 초과가 현실화되면서 은행들은 속속 대출 창구를 걸어 잠그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지난 22일부터 비대면 채널에서 올해 안에 실행되는 주택구입용 주택담보대출 신규 접수를 중단했다. 다른 은행에서 갈아타는 타행 대환 주담대·전세대출·신용대출도 같은 날 접수가 막혔다. 비대면 신용대출 상품인 'KB스타 신용대출 Ⅰ·Ⅱ' 역시 판매가 일시 중단됐다.
대면 지점에서도 조치가 이어졌다. KB국민은행은 24일부터 지점 창구에서도 올해 실행분 주택구입용 주담대 접수를 하지 않는다. 하나은행도 뒤이어 25일부터 주택담보대출과 전세대출의 신규 접수를 제한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업계에서는 신한은행과 우리은행도 조만간 대출 취급 축소나 중단을 발표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연말로 갈수록 총량 관리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주택 구입이나 전세 계약을 앞둔 실수요자들의 불편도 커질 전망이다.
wcn05002@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