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18일 미국서 국내 주요 대기업 총수들과 트럼프 골프 회동
10월 27일 사우디서 '실권자' 빈 살만 왕세자와 단독 회담
10월 29일 경주 APEC CEO 써밋 참석
10월 30일 서울서 젠슨 황 엔비디아 CEO와 만찬 예정
[서울=뉴스핌] 김승현 기자 = 미국 관세전쟁 등 글로벌 불확실성이 최고조에 달한 경영 환경에서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의 광폭 행보가 경제계의 이목을 끌고 있다.
최근 '지구 한바퀴'를 도는 글로벌 일정에서 만났거나 만날 예정인 인사들이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등 현재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파워맨'들이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친환경 모빌리티로의 전환기에 미국 관세의 직접 타격을 받고 있는 위기 상황을 시장 다변화와 로보틱스·AI 기업으로 거듭나는 혁신으로 극복하기 위한 정 회장의 의지라는 분석이 나온다.
![]() |
| [워싱턴D.C. 로이터=뉴스핌]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루즈벨트룸에서 정의선 현대자동차 그룹 회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마이크 존슨(공화루이지애나) 미국 연방 하원의장, 제프 랜드리 루이지애나 주지사가 자리한 가운데 연설하고 있다. |
29일 업계에 따르면 정의선 회장은 지난 18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팜비치 마러라고 별장 인근 '트럼프 인터내셔널 골프클럽'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한국, 일본, 대만 기업 대표들이 함께한 골프 회동에 참석했다.
회동에는 정 회장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등 주요 대기업 총수들이 함께 했다.
정 회장은 골프 회동에서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참석을 위해 방한을 앞둔 트럼프 대통령에게 "한국 방문에 대해 모두의 기대가 크고, 모두가 합심해 준비를 잘하고 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3월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배석한 자리에서 총 210억 달러(한화 약 30조원) 규모 미국 투자 계획을 직접 발표한 정 회장은 트럼프 대통령과 다시 회동하며 미국 현지화에 가장 적극적인 기업임을 어필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8월 이재명 대통령 취임 후 첫 한미정상회담 이후 대미 투자 규모를 260억 달러로 확대했다.
정 회장은 트럼프 회동 후 사우디아라비아로 이동했다. 현대차그룹의 현지 성장전략을 점검하는 한편, 사우디아라비아를 넘어 중동 지역 최고 실권자인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사우디아라비아 총리)를 만나기 위해서다.
![]() |
| 정의선 회장(가운데), 호세 무뇨스 사장(왼쪽에서 두번째)이 박원균 HMMME 법인장(오른쪽에서 첫번째)에게 신공장에 대한 보고를 받고 있다. [사진=현대차그룹] |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정 회장은 지난 27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리츠칼튼 호텔에서 빈 살만 왕세자를 만나 자동차 산업과 스마트시티 등의 분야에서 폭넓은 의견을 나눴다. 두 사람은 지난 2022년 빈 살만 왕세자의 방한 당시 면담을 비롯해 과거 두 차례 만났지만, 단독 면담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중동 최대의 자동차 시장이다. 사우디아라비아는 국부펀드를 중심으로 자동차 산업 강화를 위해 현대차를 비롯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 유치에 힘을 쏟고 있으며, 중장기적으로 중동뿐 아니라 북아프리카 지역을 아우르는 자동차 허브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사우디아라비아에 현대차 사우디아라비아 생산법인(HMMME)을 건설 중이며, 사우디아라비아 주요기관 및 기업 등과 활발하게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정 회장은 빈 살만 왕세자에게 현대차그룹에 대한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에 감사를 전하며, 사우디아라비아의 미래 비전 실현을 위한 협력 파트너로서 현대차그룹이 진행 중인 협업 사업들과 구상 등을 설명했다.
정 회장은 "현대차그룹은 사우디아라비아 산업 수요와 고객 니즈에 부응하기 위해 특화설비를 적용한 현지 맞춤형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며 "향후 시장 상황을 감안해 생산능력 확대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사우디아라비아 비전 2030의 의미와 중요성을 깊이 이해하고 있으며, 현대차그룹의 경쟁력 있는 사업역량을 기반으로 사우디아라비아의 기가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며 "신재생에너지, 수소, SMR, 원전 등 차세대 에너지 분야에서 다각적인 사업 협력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사우디아라비아 일정을 마치고 쉴 틈 없이 다시 귀국 비행기에 오른 정 회장은 이날부터 경주에서 열리는 APEC CEO 써밋에 참석했다.
정 회장은 다시 서울로 이동해 오는 30일 전 세계에서 가장 '핫'한 기업인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와 만난다.
![]() |
| [서울=뉴스핌]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오른쪽)과 정의선 현대자동차 그룹 회장이 29일 오전 경북 경주 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년 APEC CEO 서밋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APEC 2025 KOREA & 연합뉴스] 2025.10.29 photo@newspim.com |
재계에 따르면 정 회장은 오는 3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엔비디아 그래픽카드(GPU) '지포스'의 한국 출시 25주년 행사에 참석한 황 CEO와 만찬 회동을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만찬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도 함께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 회장은 지난 8월 이재명 대통령의 첫 한미정상회담을 위한 방미 일정에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서도 황 CEO를 만난 바 있다.
현대차그룹과 엔비디아는 지난 1월 모빌리티 혁신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협력 수준을 높이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DV), 로보틱스 등 핵심 모빌리티 솔루션을 지능화하고 사업 운영 전반에 걸쳐 인공지능(AI) 기술 적용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해 가상 환경에서 신규 공장 구축 및 운영 과정을 시뮬레이션 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조 효율성과 품질 향상 및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엔비디아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 옴니버스(Omniverse)를 활용할 계획이다.
아울러 엔비디아의 가속 컴퓨팅 하드웨어와 생성형 AI 개발 툴을 활용해 AI 모델이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학습시키기 위한 체계를 마련하고 이를 통해 밸류체인 전반에 필요한 AI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또한 엔비디아의 로보틱스 플랫폼인 아이작(Isaac)으로 AI 기반 로봇을 개발하고 로봇 학습에 필요한 가상환경 구축을 위해 엔비디아와 협력한다.
kimsh@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