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현지 생산 본격화로 4분기 개선 기대
[서울=뉴스핌] 김정인 기자 = 삼성SDI가 올해 3분기 5913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4개 분기 연속 적자 흐름을 이어갔다. 전기차용 배터리 판매 둔화와 미국의 에너지저장장치(ESS) 관세 정책 영향이 겹치며 부진을 면치 못했다.
삼성SDI는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3조518억원, 영업손실 5913억원을 각각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매출은 전분기보다 4.0%, 전년 동기 대비 22.5% 각각 줄었다. 다만 편광필름 사업 양도에 따른 처분이익 등이 반영되며 순이익은 57억 원 흑자로 돌아섰다.
◆ 전기차·ESS 수요 둔화 직격탄
3분기 배터리 부문 매출은 2조8200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4.8%, 전년 동기 대비 23.2% 감소했다. 영업손실은 6301억 원으로 전분기보다 적자 폭이 확대됐다. 전기차용 배터리 판매 둔화와 함께 미국의 ESS 관세 정책이 부담으로 작용했다.
전자재료 부문은 매출 2318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6.2% 증가했으나 전년 동기 대비로는 12.1%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388억 원을 기록했다.
![]() |
| 삼성SDI 기흥사업장 전경 [사진=삼성SDI] |
◆ 글로벌 110GWh 수주 확보…국내 ESS 첫 중앙계약 낙찰
삼성SDI는 어려운 시장 여건 속에서도 전기차·ESS용 배터리 수주를 확대하며 방어에 나섰다. 회사는 46파이 원통형과 각형 배터리를 기반으로 글로벌 완성차업체들과 총 110GWh 이상 규모의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또 국내 제1차 ESS 중앙계약시장에서도 수주를 따냈다.
또 차세대 ESS용 각형 배터리인 'SBB 1.7(NCA)'과 'SBB 2.0(LFP)'을 선보이며 미국 현지 생산 및 공급을 위한 라인업을 구축했다.
◆ "4분기 실적 개선 기대"…美 ESS 생산 본격화
삼성SDI는 4분기에도 미국 관세정책 등 불확실성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유럽 전기차 시장과 미국 ESS 시장 성장세에 힘입어 실적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회사는 ESS 시장 대응력 강화를 위해 미국 내 현지 생산 체제를 본격화하고 있다. 이달 스텔란티스와의 합작법인 '스타플러스에너지(SPE)'에서 NCA 기반 배터리 라인이 가동을 시작했으며, 내년 4분기에는 LFP 배터리 라인 전환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내년 말까지 미국 내 ESS용 배터리 생산능력을 연간 30GWh 수준으로 확대한다는 목표다.
특히 각형 배터리는 고에너지밀도와 높은 안전성 덕분에 미국 ESS 시장에서 선호도가 높다. 삼성SDI는 비중국계 기업 중 유일하게 각형 배터리를 공급할 수 있는 점을 경쟁력으로 내세우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삼성SDI는 전기차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 프리미엄 전기차에는 하이니켈 46파이 및 각형 배터리를, 보급형 전기차에는 LFP·미드니켈 배터리를 공급하는 투트랙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최근 급증하고 있는 하이브리드 전기차 프로젝트에는 탭리스 원통형 배터리를 투입해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한다는 계획이다.
삼성SDI는 "시장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며 실적 회복과 함께 중장기 미래 성장기반을 착실하게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kji01@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