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가치 견고한 기업의 선제적 정상화 조치"
"사업 정상 진행, 채권자 보호와 협의 집중"
[서울=뉴스핌] 송현도 기자 = 국내 3대 부동산 시행사 DS네트웍스가 서울회생법원이 새롭게 도입한 '하이브리드 구조조정 절차'를 신청했다고 26일 밝혔다. 일시적 유동성 위기를 해소하고 경영을 정상화하기 위해 이 같은 방식을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
하이브리드 구조조정 절차는 법원의 회생제도와 채권금융기관 중심의 워크아웃 방식을 결합한 기업 회복 모델로, 법원의 포괄적 금지명령을 통해 비금융 채권자들의 가압류나 강제집행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한편, 주요 금융권 채권단과는 자율 협의를 통해 빠르고 실효적인 채무조정안을 마련할 수 있는 제도다.
![]() |
DS네트웍스 CI [출처=DS네트웍스 홈페이지] |
DS네트웍스는 이번 절차를 통해 채권자 간 형평성을 확보하고, 안정적인 협의 기반 아래 회복 가능한 구조조정을 조속히 마무리할 계획이다.
DS네트웍스 관계자는 "이번 구조조정 신청은 당사의 자산 가치와 사업의 본질적 경쟁력은 건전하다는 전제 아래, 일시적인 유동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책임 있는 선택"이라며, "법원의 보호와 금융권 협의를 통해 진행 중인 프로젝트를 차질 없이 완수하고, 채권자와 고객, 협력사 등 모든 이해관계자의 권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조속한 경영 정상화를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DS네트웍스는 지난해 1600억원대 대규모 손실로 적자 전환하며 위기를 맞았다. 이후 평택 브레인시티 주상복합 부지와 같은 핵심 보유 자산의 상당량을 시장에 내놓는 고육지책으로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주력했으나, 최근들어 대우건설에 1200억원 규모의 공사대금을 미지급해 사업장 2곳의 신탁수익권 가압류 결정을 법원으로부터 통보 받았다.
다만 DS네트웍스는 전국 주요 거점에서 다수의 부동산 개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해온 디벨로퍼로서, 이번 절차를 기점으로 보다 투명하고 건전한 재무 체계를 구축하고, 기업가치의 본질을 회복하는 데 역량을 집중할 예정이다.
dos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