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사건 수사 중인 내란 특별검사(특검)가 26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보석 주장에 대해 "보석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박지영 특검보는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저희는 수사를 원만하게 하기 위해 구속을 했는데, 각자의 입장이 다른 것 같다. 그리고 이 사건과 기소된 사건은 전혀 다른 내용"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 |
[서울=뉴스핌] 사진공동취재단 = 윤석열 전 대통령이 26일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 재판에 출석하고 있다. 2025.09.26 photo@newspim.com |
그는 "(윤 전 대통령이) 구치소에 있으면서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다'고 말한 것으로 안다"며 "특히 외환 의혹 관련 수사에 있어선 많은 군인이 관련돼 있다. 본인이 나와 직접 '있으면 있다, 없으면 없다' 구체적인 진술을 해주는 것이 가장 이 사건을 잘 해결하는 방법 아닌가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특검은 앞서 윤 전 대통령을 특수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구속기소했다. 이후 특검은 외환 의혹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에게 지난 24일 피의자 조사를 받으라고 통보했지만 윤 전 대통령은 구치소 측에 구두로 불출석 의사를 전달하고 조사에 불응했다.
이에 특검은 윤 전 대통령에게 오는 30일 오전 10시 나와 조사를 받으라고 2차 출석요구서를 전달했다.
박 특검보는 "아직 출석 여부에 대한 별도 의견 표명은 없는 상황"이라며 "이 사건 관련 별도의 변호사 선임서가 제출돼 있지 않다. 조사 일정, 출석 여부 등에 대한 반응이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5부(재판장 백대현)는 이날 오전 10시15분 윤 전 대통령의 특수공무집행방해,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등 사건 1차 공판·보석심문기일을 열었다. 윤 전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건강 악화를 호소하며 불구속 상태로 재판받게 해달라고 재판부에 요청했다.
한편 박 특검보는 김명수 합동참모본부 의장의 경우 아직 피의자 신분 전환 가능성을 논할 단계는 아니며, '검사 파견 지시 의혹' 등을 받는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에 대해선 추가 조사 여부 및 형사소송법적 절차를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hyun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