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러시아 극동 지역에 파견된 북한 노동자 일부가 러시아군과 계약을 맺고 군 복무에 나선 정황이 포착됐다. 북한과 러시아 간 군사 협력이 한층 노골화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교도통신은 21일, 우크라이나 국방부 정보총국의 정보를 인용해 "북한 노동자 수백 명이 지난 7월께부터 러시아군 기계화 부대와 해병대 등에 배치됐다"고 전했다.
배치 지역은 우크라이나 인접 쿠르스크주 일대다. 실제 전투에 투입됐는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향후 전선에서 활용될 수 있다는 게 우크라이나 측의 판단이다.
북러 양측은 노동자의 군 복무 사실을 부인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 해외 노동자 파견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로 금지돼 있는 상황에서, 노동자가 러시아군에까지 편입된 정황은 단순한 외화벌이를 넘어선 국제 규범 위반 논란을 불러올 수 있다.
전문가들은 북한 인력이 현지에서 통상 집단생활을 하며 당국의 통제를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사례는 노동자의 자발적 선택보다는 북한 체제 차원의 묵인이나 지시가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러시아로서는 병력 부족을 메울 수 있고, 북한은 군 복무를 통한 외화 수입을 기대할 수 있어 양측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셈이다.
이번 정황이 사실이라면 파장은 단순히 전황 보완에 그치지 않을 수 있다. 북한 병력이 실전을 경험하면서 무인기 운용이나 보병 전술, 미사일 기술 등을 습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크라이나 당국은 이 같은 움직임을 예의주시하며 경계 태세를 강화하고 있다.
![]() |
러시아를 지원하기 위해 파견된 북한 군인들이 군복과 군화 등을 지급 받는 장면이라고 우크라이나 군 전략소통정보보안센터(SPRAVDI) 측이 공개한 영상. 본문과 직접 관계 없음 [사진=SPRAVDI 페이스북] |
goldendo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