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수 인력 투입, 운행률 78.5% 유지
대체 교통 강화 및 공무원 투입 계획
[부산=뉴스핌] 남동현 기자 = 부산시가 부산교통공사 노조의 파업 예고에 따라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했다.
![]() |
15일 부산시청에서 열린 부산교통공사 파업 대비 관계기관 대책회의 [사진=부산시] 2025.09.16 |
시는 지난 15일 오후 시청에서 부산경찰청, 교통공사, 양산시 등과 함께 대응 회의를 열고 관계기관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16일 밝혔다.
부산교통공사 노사는 지난 5월부터 13차례 교섭을 진행했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9일 부산지방노동위원회 조정이 최종 결렬된 이후, 노조는 16일 최종교섭에서도 결렬될 경우 17일 첫차부터 파업에 들어가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시는 파업 시 필수유지 인력을 투입해 도시철도 평균 운행률을 평일 대비 78.5% 수준으로 유지할 계획이다. 1~3호선은 출퇴근 시간대에 평시와 동일하게 4~5분 간격으로 그 외 시간대는 평소의 절반 수준인 8~17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무인 자동화로 운영되는 4호선은 정상 운행한다.
도시철도 운행률 감소에 따른 혼잡을 막기 위해 승용차요일제 운휴일 해제를 포함해 주요 역 주변 택시를 집중 배치해 대체 교통수단을 강화한다.
파업이 장기화하면 1~3호선과 연계된 시내버스 노선을 증차하고 시 공무원을 역무 업무에 투입해 시민 불편을 줄인다는 방침이다.
황현철 교통혁신국장은 "도시철도 파업으로 시민 불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노사 양측이 조속히 합의점을 찾기를 바란다"며 "시는 비상수송대책을 가동해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력하고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ndh40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