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바스라 남부 유전에 해수 처리 설비 및 부대시설 건설
이라크 카르발라 정유공장 이후 최대 규모 플랜트 공사
[서울=뉴스핌] 송현도 기자 = 현대건설이 이라크에서 4조원이 넘는 초대형 해수 처리 플랜트 공사를 수주했다. 지난 2023년 이라크 카르발라 정유공장 현장 이후 최대 규모 플랜트 공사다.
15일 현대건설은 전날(현지시간) 이라크 바그다드에 위치한 이라크 총리실에서 약 30억달러(한화 4조1763억원 상당) 규모의 해수공급시설(WIP) 프로젝트에 관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
14일(현지 시간) 이라크 총리실에서 열린 계약 서명식에서 패트릭 토탈에너지스 푸얀 CEO(왼쪽), 류성안 현대건설 플랜트사업본부장이 모하메드 시아 알수다니 이라크 총리(가운데)가 지켜보는 가운데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제공=현대건설] |
이날 계약 서명식에는 모하메드 시아 알수다니 이라크 총리, 하얀 압둘 가니 이라크 석유부 장관, 사드 셰리다 알 카비 카타르 에너지부 장관, 패트릭 푸얀 토탈에너지스(TotalEnergies) CEO, 류성안 현대건설 플랜트사업본부장을 비롯한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현대건설이 수행하는 WIP 프로젝트는 이라크 수도인 바그다드로부터 남동쪽으로 약 500km 떨어진 코르 알 주바이르 항구 인근에 하루 500만 배럴 용량의 용수 생산이 가능한 해수 처리 플랜트를 건설하는 공사다. 이곳에서 생산된 용수는 이라크 바스라 남부에 위치한 웨스트 쿠르나, 남부 루마일라 등 이라크 대표 유전의 원유 증산을 위해 사용된다.
이번 프로젝트는 프랑스 에너지 기업 토탈에너지스와 이라크 석유부 산하 바스라석유회사(Basrah Oil Company), 카타르 국영 석유기업인 카타르에너지(QatarEnergy)가 공동 투자하는 사업으로, 공사 기간은 착공 후 49개월이다.
이라크는 2030년까지 원유 생산량을 하루 800만 배럴까지 증산하기 위한 주요 정책사업 중 하나로 WIP를 추진 중이다. 이 프로젝트가 완공되면 이라크 내 원유 생산량 증가는 물론 국가 재정 확충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현대건설은 1978년 이라크에 진출한 이래 알무사이브 화력발전소, 카르발라 정유공장 등 약 40건, 90억 달러에 이르는 국가 주요 시설을 건설해왔다. 특히 WIP는 2023년 현대건설이 준공한 카르발라 정유공장 이후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이번 수주는 전쟁과 코로나19와 같은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이라크에서 오랜 기간 책임감 있게 주요 국책 공사를 수행하며 경제성장에 기여한 현대건설에 대한 굳건한 신뢰감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며 "향후에도 이라크에서 지속적으로 발주될 것으로 전망되는 다양한 분야의 수주 경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건설은 이번 프로젝트처럼 전통적 수주 우위 지역인 중동에서 초대형 사업을 이어가는 한편, 토탈에너지스, 미국 엑손모빌(ExxonMobil), 로열더치셸(Royal Dutch Shell) 등 글로벌 에너지사와의 협력을 강화해 해외 에너지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보다 공고히 한다는 계획이다.
dos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