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은 상승, 경인·지방은 약세…뚜렷해진 '온도차'
단기적 양극화 지속 전망…"후속 정책이 변수"
[서울=뉴스핌] 송현도 기자 = 6·27 대책 이후 전국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급감한 가운데, 서울 아파트값은 나홀로 상승세를 이어가며 시장 양극화가 뚜렷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전국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 6월 5만3220건에서 8월 3만841건으로 크게 줄었다. 수도권은 같은 기간 3만1132건에서 1만2982건으로 반토막 났다. 거래량이 줄면서 가격 상승세도 둔화했다. 전국의 월 평균 거래가격 변동률은 6월 0.94%에서 8월 0.67%로 낮아졌고, 수도권은 1.17%에서 0.57%로 상승 폭이 크게 축소됐다.
![]() |
수도권 안에서도 지역별 온도 차는 뚜렷했다. 서울은 거래량이 급감했음에도 7월과 8월 모두 상승 거래 비중이 각각 56%, 53%를 기록하며 절반을 넘었다. 월평균 가격 변동률도 1%대를 유지하며 수도권 상승을 이끌었다. 특히 용산구는 8월 거래가격이 종전 대비 4.28% 올랐고, 강남·마포·광진 등 도심 지역에서도 강세가 이어졌다.
반면 경기·인천은 6월 50% 수준이던 상승 거래 비중이 7·8월 들어 절반 아래로 떨어지면서 가격 변동 폭도 크게 줄었다. 과천, 분당 등 일부 인기 지역을 제외하면 상승세가 약화된 모습이다. 수도권 외 지방은 6·27 대책의 규제 범위에서 벗어나면서 거래량 감소 폭이 제한적이었고, 가격 변동률은 6월 0.62%에서 8월 0.74%로 오히려 소폭 상승했다.
정부는 공급 부족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 7일 '9·7 공급 대책'을 발표했다. 중장기적으로는 공급 확대 기대감이 커지며 시장 불안 심리를 낮추는 효과가 예상되지만, 실제 체감 공급까지는 시간이 걸려 당장의 시장 반응은 제한적일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단기적으로는 서울 등 선호 지역을 중심으로 한 국지적 강세와 양극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직방 관계자는 "최근 정부가 공급 확대와 시장 안정 기조를 재차 강조한 만큼, 향후 정책적 변화가 예고된 상황에서 시장은 후속 변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dos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