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수처 검사 위증' 대검 미통보 사건 수사
"출범 두달 째...전반적으로 수사 상황 점검 중"
[서울=뉴스핌] 홍석희 기자 = 순직해병 사망사건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팀이 2일 '수사외압 의혹' 등에 연루된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과 관련한 포렌식 분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정민영 특별검사보는 이날 오전 서울 서초구 특검 사무실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신 전 차관에 대한 포렌식이 어제(1일) 마무리됐다"며 "신 전 차관에 대한 조사가 진행돼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에 대한 조사도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순직해병 사망사건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팀이 2일 '수사외압 의혹' 등에 연루된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과 관련한 포렌식 분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정민영 특검보가 지난 7월 8일 오전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 특검 사무실 브리핑룸에서 언론 브리핑을 하는 모습. [사진=뉴스핌 DB] |
이어 "특검법 개정을 안 한다면 수사기간이 10월 말까지라서 시간이 많지 않다"며 "멀지 않은 시점에 (이 전 장관에 대한) 조사를 해야 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신 전 차관은 사건 당시 해병대수사단이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포함한 8명에게 업무상과실치사 혐의를 적용한 걸 두고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에게 '사단장은 빼라'는 취지로 연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지난 7월 10일 신 전 차관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한바 있다.
한편 특검팀은 '수사외압 의혹'을 수사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소속 검사의 국회 위증 혐의 고발 사건을 대검찰청에 통보하지 않은 건에 대해서도 들여다보고 있다.
정 특검보는 "해당 사건이 대검으로 통지가 안된 이유가 있었는지 살피는 과정이며, 아직 입건을 한다는 전제는 아니"라며 "수사 결과에 직무유기가 될 수 있는데 지금 정할 단계는 아니"라고 설명했다. 특검팀은 해당 사건과 관련해 특검팀에 파견와 있는 공수처 관계자들에게도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있다.
정 특검보는 '향후 공수처장에게 직무유기가 적용될 가능성도 있나'라는 질문에 "지금 그렇게 말씀드리긴 어렵다"며 "일단 압수물을 분석하고 분석이 끝나면 당사자에 대한 조사는 진행될 것"이라고 답했다.
특검팀은 오는 4일 오전 10시 박정훈 해병대수사단장(대령)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hong90@newspim.com